-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8/11/22 20:21:08 |
Name | 메리메리 |
Subject | 과학/바이오 [IF]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공 세포… "실제 세포에 가장 근접"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2/2018112200120.html 플라스틱으로 인공 세포를 만들다니, 기름이란 게 용도가 계속 생기니 대단도 하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리메리님의 최근 게시물
|
genomatica, evonik, cj 등 여러 산업용 미생물 개발 회사들이 이미 당을 발효시켜 합성섬유나 합성 플라스틱의 원료를 만드는 연구를 많이 해왔고 산업용으로 가능한 원가 수준까지도 거의 연구가 완성되어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역대급 저유가 기조가 한동안 이어진데다가 중국에서 저가 물량공세가 이어진 탓에 버티질 못해서 많이들 연구 자체를 접었습니다. 산업화 직전 단계에서요.
만약 언젠가 석유가 고갈 조짐을 보여서 가격이 올라가게 되면 미생물 기반으로 생산한 플라스틱이 빠르게 자리를 대체 할겁니다. 플라스틱 수급 걱정은 크게 안 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역대급 저유가 기조가 한동안 이어진데다가 중국에서 저가 물량공세가 이어진 탓에 버티질 못해서 많이들 연구 자체를 접었습니다. 산업화 직전 단계에서요.
만약 언젠가 석유가 고갈 조짐을 보여서 가격이 올라가게 되면 미생물 기반으로 생산한 플라스틱이 빠르게 자리를 대체 할겁니다. 플라스틱 수급 걱정은 크게 안 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조금 더 말씀드리면, 미생물로는 폴리머 구현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모노머 단계까지만 미생물로 합성하고 그 이후는 아마 기존의 화학회사들이 폴리머를 만드는 작업을 하게 될거에요. 기존 플라스틱/합성섬유와 물성이 다소 달라질 수는 있겠습니다만, PLA/나일론/우레탄 류는 상업적 스케일에서 파일럿 테스트는 거의 다 완료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sc-PLA 같은 경우 좀 더 개발하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까지도 가능한 수준이어서... 자동차 같은 곳에 들어가는 초 고강도 플라스틱까지는 당장은 무리더라도 어느 정도 산업용 플라스틱까지도 만들어 낼 수는 있습니다.
제가 본 제품은 안경렌즈용 플라스틱, 차량 내/외장재 까지는 실제 구현 가능했었습니다 ㅎㅎ
제가 본 제품은 안경렌즈용 플라스틱, 차량 내/외장재 까지는 실제 구현 가능했었습니다 ㅎ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