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8/07/06 01:57:31 |
Name | 2032.03.26 |
Subject | "하느님은 남자가 아니다"…종교계까지 파고든 성평등 바람 |
http://news.joins.com/article/22776384 "하느님은 남자가 아니다"…종교계까지 파고든 성평등 바람 [출처: 중앙일보] "하느님은 남자가 아니다"…종교계까지 파고든 성평등 바람 God는 무성無性 아닐까요? 제 개인적인 생각..... 따라서 하나님 아버지라든지 하는걸 좀 바꿀 필요는 있어보이긴 합니다.(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런거....) 그렇다고 어머니라고 바꾸는건 에바참치고요.... 뭐 신자가 아니니 바꾸든 말든 상관 없긴 하지만 ㅡㅡ;; 아무튼 팝콘각입니다. 화이팅!!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2032.03.26님의 최근 게시물
|
하나님이 남자냐고 목사님께 물어보면 당연히 성과 무관한 분이라고 하겠죠. 그런 의미로 접근하는 거야 누구나 하는 일이고요.
다만, 왕의 호칭을 성중립적으로 지도자로 바꾸는 것은 한국에서는 언어적 특성상 무관한 일이고, 아버지라는 호칭을 창조주로 바꾸는 것은 성중립적일지는 몰라 신약의 가족성과 너무 충돌한다는 생각도 들어요. 구약과 신약에서 하나님에 대한 호칭의 큰 차이가 바로 "아버지"인데,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잘 부르지 못하고, 그 이름을 두려워 하고 주로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에서 이해하려 했지만, 예수님은 ... 더 보기
다만, 왕의 호칭을 성중립적으로 지도자로 바꾸는 것은 한국에서는 언어적 특성상 무관한 일이고, 아버지라는 호칭을 창조주로 바꾸는 것은 성중립적일지는 몰라 신약의 가족성과 너무 충돌한다는 생각도 들어요. 구약과 신약에서 하나님에 대한 호칭의 큰 차이가 바로 "아버지"인데,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잘 부르지 못하고, 그 이름을 두려워 하고 주로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에서 이해하려 했지만, 예수님은 ... 더 보기
하나님이 남자냐고 목사님께 물어보면 당연히 성과 무관한 분이라고 하겠죠. 그런 의미로 접근하는 거야 누구나 하는 일이고요.
다만, 왕의 호칭을 성중립적으로 지도자로 바꾸는 것은 한국에서는 언어적 특성상 무관한 일이고, 아버지라는 호칭을 창조주로 바꾸는 것은 성중립적일지는 몰라 신약의 가족성과 너무 충돌한다는 생각도 들어요. 구약과 신약에서 하나님에 대한 호칭의 큰 차이가 바로 "아버지"인데,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잘 부르지 못하고, 그 이름을 두려워 하고 주로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에서 이해하려 했지만, 예수님은 어린 시절 아버지 집에 있었을 뿐이라고 자기를 찾던 마리아와 요셉을 타이르는 장면부터가 그런 관계의 전환을 암시하거든요. 예수님이 끊임없이 하나님을 아버지로 호칭함을 통해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가족관계와 인류의 자녀성, 하나님의 부성이 드러나는 것인데 어떤 사람들은 그걸 구약시대로 되돌리자는 거냐며 반발하지 않을까 싶네요.
다만, 왕의 호칭을 성중립적으로 지도자로 바꾸는 것은 한국에서는 언어적 특성상 무관한 일이고, 아버지라는 호칭을 창조주로 바꾸는 것은 성중립적일지는 몰라 신약의 가족성과 너무 충돌한다는 생각도 들어요. 구약과 신약에서 하나님에 대한 호칭의 큰 차이가 바로 "아버지"인데,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잘 부르지 못하고, 그 이름을 두려워 하고 주로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에서 이해하려 했지만, 예수님은 어린 시절 아버지 집에 있었을 뿐이라고 자기를 찾던 마리아와 요셉을 타이르는 장면부터가 그런 관계의 전환을 암시하거든요. 예수님이 끊임없이 하나님을 아버지로 호칭함을 통해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가족관계와 인류의 자녀성, 하나님의 부성이 드러나는 것인데 어떤 사람들은 그걸 구약시대로 되돌리자는 거냐며 반발하지 않을까 싶네요.
유대교 분파중에 그리스나 이집트의 경우처럼 야훼 & 야훼 마누라, 이렇게 부부신을 섬긴 경우가 있었어요 (갓띵작 [이집트인 모세] 참조). 하지만 결국 야훼 단독신앙쪽이 살아남았...다고 한 듯.
그러니까, 야훼는 어쩌면 태생부터 남신이었던 셈.
그러다가 중세때 그리스철학의 실체-속성론을 경유하면서 '신은 무속성/무규정이어야 한다'는 교리가 정립됨.
하지만 교리정립 이후에도 별 반성 없이 아빠아빠 부를 수 있었던 이유는 걍 유럽 문화에서 남자가 디폴트요 기본형이요 무속성인 반면... 더 보기
그러니까, 야훼는 어쩌면 태생부터 남신이었던 셈.
그러다가 중세때 그리스철학의 실체-속성론을 경유하면서 '신은 무속성/무규정이어야 한다'는 교리가 정립됨.
하지만 교리정립 이후에도 별 반성 없이 아빠아빠 부를 수 있었던 이유는 걍 유럽 문화에서 남자가 디폴트요 기본형이요 무속성인 반면... 더 보기
유대교 분파중에 그리스나 이집트의 경우처럼 야훼 & 야훼 마누라, 이렇게 부부신을 섬긴 경우가 있었어요 (갓띵작 [이집트인 모세] 참조). 하지만 결국 야훼 단독신앙쪽이 살아남았...다고 한 듯.
그러니까, 야훼는 어쩌면 태생부터 남신이었던 셈.
그러다가 중세때 그리스철학의 실체-속성론을 경유하면서 '신은 무속성/무규정이어야 한다'는 교리가 정립됨.
하지만 교리정립 이후에도 별 반성 없이 아빠아빠 부를 수 있었던 이유는 걍 유럽 문화에서 남자가 디폴트요 기본형이요 무속성인 반면 여성은 '남성 아닌 것'으로 정의되었기 때문이죠. (무속성이야? 그럼 남자네 껄껄)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남성이 기본형이 아니라는 반성이 생겼고, 이에 따라 신학적 난제가 하나 따라온 셈인데, 뭐... 전 기독교인이 아니니 걍 불구경하는 셈치고 관전하면 되지만 신학러들에겐 저게 되게 골치아픈 거라능..'ㅅ'
그러니까, 야훼는 어쩌면 태생부터 남신이었던 셈.
그러다가 중세때 그리스철학의 실체-속성론을 경유하면서 '신은 무속성/무규정이어야 한다'는 교리가 정립됨.
하지만 교리정립 이후에도 별 반성 없이 아빠아빠 부를 수 있었던 이유는 걍 유럽 문화에서 남자가 디폴트요 기본형이요 무속성인 반면 여성은 '남성 아닌 것'으로 정의되었기 때문이죠. (무속성이야? 그럼 남자네 껄껄)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남성이 기본형이 아니라는 반성이 생겼고, 이에 따라 신학적 난제가 하나 따라온 셈인데, 뭐... 전 기독교인이 아니니 걍 불구경하는 셈치고 관전하면 되지만 신학러들에겐 저게 되게 골치아픈 거라능..'ㅅ'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