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가 아닌 펌글, 영상 등 가볍게 볼 수 있는 글들도 게시가 가능합니다.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5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특정인 비방성 자료는 삼가주십시오.
Date | 23/02/08 16:34:24 |
Name | 그저그런 |
File #1 | Screenshot_20230208_013255.jpg (89.1 KB), Download : 2 |
Subject | 이순신 장군의 유일한 라이벌이 원균인 건에 대하여 |
하지메 사토루 (元均) 임란 시작과 동시에 판옥선 70여척을 침몰, 조선수군 전력의 25%를 그것도 최전방에서 박살낸 뒤 임진왜란 중 유일하게 이순신장군을 제거 직전까지 몰아넣고 조선 수군의 90%를 박살낸 전략무기 급 활약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그저그런님의 최근 게시물
|
진지하게 소모될 글이 아니고 저야말로 원균을 매우 비웃으며 바라보지만, 70척 부분은 원균 입장에서 많이 억울한 부분이 있습니다.
당시의 수군은 지금의 해군처럼 모항에 전선들이 다 모여있지 않았습니다. 각 지역의 진마다 적게는 한 척, 많게는 몇 척씩 흩어져서 배치되고, 수군절도사가 언제까지 모이라 소집을 하면 그때 수영으로 모이는 방식이었습니다. 때문에 개전 즉시 원균이 인지하고 소집 명령을 내렸어도 경상우수영의 커버 범위가 넓기 때문에 시간 안에 맞출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례는 전라우수사 이억기에서 잘 드러나는데, ... 더 보기
당시의 수군은 지금의 해군처럼 모항에 전선들이 다 모여있지 않았습니다. 각 지역의 진마다 적게는 한 척, 많게는 몇 척씩 흩어져서 배치되고, 수군절도사가 언제까지 모이라 소집을 하면 그때 수영으로 모이는 방식이었습니다. 때문에 개전 즉시 원균이 인지하고 소집 명령을 내렸어도 경상우수영의 커버 범위가 넓기 때문에 시간 안에 맞출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례는 전라우수사 이억기에서 잘 드러나는데, ... 더 보기
진지하게 소모될 글이 아니고 저야말로 원균을 매우 비웃으며 바라보지만, 70척 부분은 원균 입장에서 많이 억울한 부분이 있습니다.
당시의 수군은 지금의 해군처럼 모항에 전선들이 다 모여있지 않았습니다. 각 지역의 진마다 적게는 한 척, 많게는 몇 척씩 흩어져서 배치되고, 수군절도사가 언제까지 모이라 소집을 하면 그때 수영으로 모이는 방식이었습니다. 때문에 개전 즉시 원균이 인지하고 소집 명령을 내렸어도 경상우수영의 커버 범위가 넓기 때문에 시간 안에 맞출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례는 전라우수사 이억기에서 잘 드러나는데, 이순신이 맡은 전라좌수영보다 전라우수영의 커버 범위가 훨씬 넓기 때문에 이억기는 전라우수군을 소집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때문에 이순신은 1차 출전 때 전라좌수군만 출전했고, 2차 출전 때도 이억기 전라우수군이 뒤늦게 합류했습니다.
당시의 수군은 지금의 해군처럼 모항에 전선들이 다 모여있지 않았습니다. 각 지역의 진마다 적게는 한 척, 많게는 몇 척씩 흩어져서 배치되고, 수군절도사가 언제까지 모이라 소집을 하면 그때 수영으로 모이는 방식이었습니다. 때문에 개전 즉시 원균이 인지하고 소집 명령을 내렸어도 경상우수영의 커버 범위가 넓기 때문에 시간 안에 맞출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례는 전라우수사 이억기에서 잘 드러나는데, 이순신이 맡은 전라좌수영보다 전라우수영의 커버 범위가 훨씬 넓기 때문에 이억기는 전라우수군을 소집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때문에 이순신은 1차 출전 때 전라좌수군만 출전했고, 2차 출전 때도 이억기 전라우수군이 뒤늦게 합류했습니다.
사실 원균이 그렇게 개 말아먹지 않았다면 이순신 장군의 위대함이 좀 덜 했을거 같습니다.
이순신이 대단한게 아니라 조선 해군이 개 쎈거 아님? 이라는 의문을 한방에 날려주었으니...
이순신이 대단한게 아니라 조선 해군이 개 쎈거 아님? 이라는 의문을 한방에 날려주었으니...
적당히 망했어도 비교군이 됐을텐데 역대급으로 드라마틱하게 무능해서 역대급으로 폭망하는 비람에 더더욱 부각되었다는게 참 아이러니 그 잡채.....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