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가 아닌 펌글, 영상 등 가볍게 볼 수 있는 글들도 게시가 가능합니다.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5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특정인 비방성 자료는 삼가주십시오.
Date | 15/09/21 06:17:44 |
Name | 눈부심 |
Subject | \'메이드 인 차이나\' 쇼트 |
MADE IN CHINA from GOBELINS pro on Vimeo. 제목이 '메이드 인 차이나'예요. '메이드 인 차이나'가 주는 이미지를 익히 알고 있는지라 도대체 제목을 어떻게 표현했을까 너무 궁금해서 봤는데 메세지는 무표정하고 기계같은 인간과 뭐 하나 짜가가 아닌 게 없는 물건들이 나와요. 와... 이거 아무리 중국을 잘 표현했다고 해도 중국사람들이 보면 화 엄청 나겠다 싶었어요. 그래서 댓글을 확인하는데... My favorite! Supercool design! Outstanding work Vincent - feels unique & impactful Love this. Added to our animation category one of the best things i've seen so far. Really strong design. toy situation is a tough situation Wow! This is so crazy, good, funny awesome. I can't find more words right now... 이게 서양사람들과 동양사람들의 시각차이인 건지 뭔 건지 모르겠네요. 댓글에 China란 말이 안 나오고 작품칭찬만 하니까 이걸 보는 중국사람들로선 화도 못 내고 참 당황스럽겠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누가 '중국 가 봐 동영상처럼 짜가가 판 쳐'라고 누가 달았다면 분명 쌈박질이 났을 법하거든요. 이렇게 영리하게 갈등이 숨어 있으면서 속시원할 사람은 다들 속시원한 광경은 뭔가 신기해요. 놀라운 건 댓글들이 방향이 의도된 게 아닐 거란 거예요. 서양과 동양의 시각차는 실험을 통해서도 확연하게 드러나거든요. 우리는 작품을 보고 맘 상할 사람이라든지, 숨은 의도라든지, 타인에게 심리적으로 어떻게 타격을 입힐 것인지에 신경을 쓰는데 서양인들은 오로지 작품자체만을 감상하는 것 같아요. 0
|
서양문화 - 동양문화의 차이보다는 그냥 사이트의 문화 차이 때문일 것 같네요.
1. 유튜브가 온갖 사람들과 미디어가 오가면서 자기 할말을 주장하는 경향이 강한 [광장]같은 느낌이라면, 이 동영상이 게시된 사이트인 비메오는 \'창작자\'들 위주의 소모임같은 분위기라서 우리나라 방송영상 제작자들도 [포트폴리오]용으로 유튜브 보다는 비메오로 올리는 경향이 있거든요. (그렇다고 비메오에 악플이 전혀 없지는 않지만)
2. 그리고 위에 언급한 특성 때문에 비메오에 인권/사회를 다루는 단편도 많이 올라오는 편이고 [창작물 우선] 정책 때문에 불법 영상물을 쉽게 올릴 수 없는 곳이기에 중국인들은 별 관심 없을 수도 있죠.
1. 유튜브가 온갖 사람들과 미디어가 오가면서 자기 할말을 주장하는 경향이 강한 [광장]같은 느낌이라면, 이 동영상이 게시된 사이트인 비메오는 \'창작자\'들 위주의 소모임같은 분위기라서 우리나라 방송영상 제작자들도 [포트폴리오]용으로 유튜브 보다는 비메오로 올리는 경향이 있거든요. (그렇다고 비메오에 악플이 전혀 없지는 않지만)
2. 그리고 위에 언급한 특성 때문에 비메오에 인권/사회를 다루는 단편도 많이 올라오는 편이고 [창작물 우선] 정책 때문에 불법 영상물을 쉽게 올릴 수 없는 곳이기에 중국인들은 별 관심 없을 수도 있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