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1/07 23:21:09수정됨
Name   떡깔나무
Subject   좋은 중고등학교에 가는것이 좋은지..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떡깔나무님의 최근 게시물


    Cascade
    하등 도움이 안 되고 사회를 흐리게 하는 존재라...

    암만 글 잘 써도 어그로 끄는 한 문장으로 글을 망치기 일쑤인데 딱 이 글이 전형적인 그런 글이네요.
    떡깔나무
    부유한 자녀중에 정신을 못차리고 등골브레이킹을 하는 자녀는 하등 도움이 안되고 사회를 흐리게 하는 존재입니다.
    그 비중이 위의 명문 학군에 많다는 얘기입니다.
    Cascade
    정신 못차리고 등골브레이킹을 하건 말건 그건 그 집안 문제지

    사회를 흐리게 하는 존재는 아니죠;;

    어떤 면에서 그렇게 생각하시는 건지 궁금하네요
    떡깔나무
    그렇네요. 사회적으로는 어쩌면 도움이 되는 존재겠군요.
    많은 소비를 만들어 내고 유행을 주도하면서 사회를 돌아가게 하는 주요 소비자니까요
    사나남편
    제가 수천명 본봐로는 똑같은 등급이라도 안좋은 공립학교 가는것과 좋은 사립학교 가는걸로도 입학하는 대학이 다릅니다.

    학군 엄청 중요합니다.
    떡깔나무
    비슷한 지력의 사람을 놓고 비교해봤을때 학교 입학 뿐만 아니라 후에 직업결정까지 봐도 후자의 사람이 전혀 뒤쳐지지 않는거같던데요. 오히려 앞설수도있고
    Cascade
    비슷한 지력이라는 걸 도대체 어떻게 평가하나요?
    본인이 생각하기에 비슷한 지력???

    다 자기가 보는 시각에서만 볼 수 있는 건데 내가 이러이러한 사람을 봤으므로 세상이 다 그럴 것이다라거 말하시면 안 되죠. 최소한 통계자료라도 들고오시던가요. 강남 3구가 얼마나 대학 잘 보내는 지 알면 학군이 필요없다 이 소리는 쏙 들어갈 텐데 말이죠.
    2
    떡깔나무
    대중매체는 이렇기 때문에 본질을 흐린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하는 말 중에 설명력이 10%정도만 되어도 저는 현상을 잘 설명한 거라 생각하구요.
    대다수 말들이 이 10%도 제대로 설명을 못하고 흐리기만 하죠. 정확도를 따져서 뭘 얻겠다는건지 몰겠군요.
    명문 학군이 필요 없는 것 하고 개천에서 용나게 하는 것과는 무슨 상관관계가 있나요?


    이론적으로야 본인이 열심히 하게 만드는게 좋겠죠. 그런데 그게 안 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고 그나마 어느 정도 갖춰진 환경에서 남들 쫓아가기만 해도 어느 정도 결과는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밑바닥에서 열심히 한번 해보겠다. 고등학교 수험생활 3년으로 인생을 바꿔보겠다 하는 학생들은 부유한 부모 밑에서 나태해진 정신력으로 소위 말하는 등골브레이킹을 하는 학생들이 다수라고 하더라도 별 영향 안 받습니다.
    떡깔나무
    명문 학군이 필요불필요 문제는 아니고, 그냥 부유층이 많은 학교 근처를 명문 학군이라 명명할 뿐이죠.
    위에서 말한 명문 학군에 가면 그 영향이 긍정일지 부정일지에 대한 생각이였습니다.
    AGuyWithGlasses
    정말 죄송한데, 글 내용에 하나도 동감을 못 하겠습니다. 학군 차이는 교내 분위기부터 차이납니다. 그냥 a부터 z까지 다 달라요. 학군이 좋지 않은 곳에선 그런 시도조차 못합니다. 기회가 있는데 확률이 낮은거랑 기회조차 안 주는 것은 아예 다른 레벨이에요.
    떡깔나무
    예전엔 그랬죠. 요즘엔 인터넷 강의가 있어 본인만 따라가면 되니까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질적인 면을 보면 그쪽은 선행학습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수업 자체에서는 많은것을 배울수 없습니다.
    그리고 부유한 자녀중에 정신을 못차리고 등골브레이킹을 하는 자녀는 하등 도움이 안되고 사회를 흐리게 하는 존재라고 하셨는데 그들이 소비하기 때문에 자산이 사회로 돌아오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회적으로 하등 도움 안 되는거 아니에요.
    떡깔나무
    네, 사회전체적으로는 많은 소비를 만들어 내고 유행을 주도하면서 사회를 돌아가게 하는 주요 소비자로서 많은 가치가 있겠네요. 다만 주변에 있는 사람은 안좋은 영향을 받게된다는 취지였습니다.
    Cascade
    본인이 쓸려간 거면 본인 잘못이죠.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안 좋은 영향 끼친다고 해서 그 사람 탓만 할거면 그게 롤 정치하는 거랑 다를 바가 1도 없는 거죠.
    떡깔나무
    그들 덕을 보려고 명문학군을 선호하는데 실상 들어가보면 별것 없고 오히려 마이너스 될수 있다는 뜻이였습니다.
    Cascade
    뭐 그거야 내로라하는 명문 학군 안 가봐서 모르겠지만

    암만 봐도 양아치 고등학교 1픽보다는 명문학교 어중따리가 나은 것 같은데... 물론 그렇게 생각 안 하시는 것 같긴 하지만요
    Cascade
    (예를들면 의사 부모집안의 자녀로서 태생부터 치밀하고 확고하게 틀을 형성시켰기 때문에 그런경우에는
    머리가 돌이 아니고서야 대체로 따라가는 부분입니다)

    근데 이 부분은 진짜 무슨 말인지 1도 이해가 안 되요.
    태생부터 치밀하게? 유전자 조작이라도 한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어릴 때 부터 세뇌?

    확고한 무슨 틀을 형성시켰다는 내용도 없고 그냥 뇌피셜에 원하던 결론 적어두면 글이 끝인가요?
    떡깔나무
    구체적인 직업언급은 삭제했습니다. 제가 전제하는 밑바닥에서 3년간 열심히 치열하게 수험생활을 해보겠다는 사람의 경우 그들과 같은 출발선이 아니기 때문에 대체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빙산의 일각 밑에 깊이의 차원이 다른 친구들을 동료로 두는건 좋은 자극을 받기 힘들듯합니다. 확고한 틀은 실제로 어떻게 형성시키는지 한번 보세요. 사회적으로 터부시 되니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을뿐이죠.. 또한 그들이 가진 사다리를 지키기 위해서죠. 공식적인 문서도 아니고 그냥 개인의견입니다.
    Cascade
    아 그럼 터부시 안 할 테니까 얘기 한 번 해보세요 뭔데요 도대체 그 틀이라는 게??
    떡깔나무
    그걸 왜 여기서 말할까요. 그게 그들을 존재하게 한거고 그들은 그걸로 먹고사는데요. 왜 고액과외는 금지되어도 비밀리에 성행할까요?
    Cascade
    아니 무슨 의대 집안이 프리메이슨이세요?

    여기 의사분들 많은 걸로 아는데 그럼 그분들은 이미 자녀 교육의 진리를 깨우쳤지만 절대로 말 안한다 이 얘깁니까?

    고액과외가 성행하는 이유요?
    내가 번 돈을 통해서 이 부를 자식에게 넘겨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자식이 돈을 잘 벌게 만들면 되는 거니까 고액 과외가 있는 거죠. 근데 그런 방식을 의사 부모는 알고 딴 사람은 모릅니까? 사업가 부모는 모르는 건가요? 본인이 글을 공감받지 못하는 방식으로 써 둔 다음에 댓글로 이랬다 저랬다 하면 뭐가 바뀔 것 같습니까?
    떡깔나무
    왜 그렇게 직업명에 민감하게 반응하시는지요. 저는 삭제를 했고 논의의 중점이 아닙니다.
    떡깔나무
    공감받는 형식으로 쓰면 아무 목적에도 부합할수 없습니다. 그게 사회인이냐 아니냐의 차이겠죠. 굳이 일기장에 쓸글을 여기 쓴게 문제가 되겠네요. 그렇지만 진실은 이쪽에 더 가깝습니다.
    [사회인이냐 아니냐의 차이] [진실은 이쪽에 더 가깝습니다]

    와우...정말 주옥같은 발언이네요!
    떡깔나무
    주옥을 알아보는 당신도 주옥이군요.
    그냥 글은 저도 많이 잘 씁니다. 그렇지만 그것은 사회적 가면을 쓴 위선입니다.
    그게 없으니까 이런글도 써보는거죠
    떡깔나무
    더이상 논의할 가치가 없어 삭제하겠습니다.
    Cascade

    그럼 글만으로 까드리죠.

    명문 학군 주변에 집값도 오르고 여러가지로 프리미엄이 붙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부모들의 학구열이 높고, 또 명문 학군에 가면 공부를 잘하게 된다는 기대를 하는거 같아요.

    어디를 명문 학군이라 부를지 사람마다 다르지만
    저는 들어갈때 선발 시험으로 거르는 자사고 같은 곳을 빼고,
    뺑뺑이로 배정하는 평준화 학교 중에 부자 동네에 있는 명문 학군 주변만 생각해보겠습니다.

    제가 느낀바로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입니다.

    1) 일단 글 내용에서 구체적인 자료는 없음. 서... 더 보기
    그럼 글만으로 까드리죠.

    명문 학군 주변에 집값도 오르고 여러가지로 프리미엄이 붙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부모들의 학구열이 높고, 또 명문 학군에 가면 공부를 잘하게 된다는 기대를 하는거 같아요.

    어디를 명문 학군이라 부를지 사람마다 다르지만
    저는 들어갈때 선발 시험으로 거르는 자사고 같은 곳을 빼고,
    뺑뺑이로 배정하는 평준화 학교 중에 부자 동네에 있는 명문 학군 주변만 생각해보겠습니다.

    제가 느낀바로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입니다.

    1) 일단 글 내용에서 구체적인 자료는 없음. 서울대 진학률 자료를 보면 20위 안에 있는 서울소재 고등학교는 두 곳을 빼면 모두 강남임.
    심지어 나머지 두 곳 중 하나는 목동. 이래도 학군이 의미가 없다?

    대체로 상위 상류 집단에 속해 있으면 주변 환경이 좋으니 덩달아 좋은 영향을 받을거라 생각하는듯 하는데
    그런 장점 보다는 단점이 더 많다고 느꼈습니다.

    잘하는 학생들이야 많죠. 그런데 문제는 그런 친구들은 대체로 어떻게 하더라도 따라갈수 없습니다.
    (예를들면 전문직 부모집안의 자녀로서 태생부터 치밀하고 확고하게 틀을 형성시켰기 때문에 그런경우에는
    머리가 돌이 아니고서야 대체로 따라가는 부분입니다)

    2) 무슨 말 하는 지 감이 1도 안 잡힘. 전문직 부모는 철저히 애들을 교육시켜서 애들이 대체로 따라간다는 것 같은데 그건 전국에 있는 어느 부모나 다르지 않음. 전문직 부모 밑에서 전문직 자녀가 나온다는 얘기를 하고 싶은 것 같은데 역시나 자료에 근거는 없음. 내가 그렇게 느꼈다라고 주장하는 것뿐. 그리고 도대체 치밀하고 확고하게 틀을 형성시켰다는 건 무슨 뜻일까. 세뇌라도 했다는 건가.

    그리고 대부분은 부유한 부모 밑에서 나태해진 정신력으로 소위 말하는 등골브레이킹을 하는 학생들이 다수입니다.
    정말 밑바닥에서 열심히 한번 해보겠다. 고등학교 수험생활 3년으로 인생을 바꿔보겠다 하는 학생에겐 부정적인게 더 많은듯합니다.

    3) 가난한 부모한테는 당연히 등골브레이킹을 하기가 어렵다. 등골브레이킹 하는 사람 열명을 봤다면 그 중에선 당연히 돈 많은 자녀들이 많을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경우 넘쳐나는 돈으로 등골브레이킹을 하다가 수능에서 쓴잔을 마시고, 그때야 정신 차려서
    집에있는 자금력으로 겨우겨우 학교 등록을 하는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그나마 자금력이랑 배경이 있으니 그정도 한거지.. 같은 학교를 다녔지만 재수 삼수 까지 해서 들어온 것을 보면 한심하기 짝이없고
    또 나이가 차니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겠다고 하더군요..

    4) 집에 돈이 많고 배경이 있는데 재수 삼수 해서 대학 들어온거 보면 한심하다. 라고 생각하신다는 거 맞죠?

    그때 그나마 집에 아무것도 없으면서 덩달아 놀았던 친구들은 재수 삼수조차 하지도 못하고 그대로 사라져 버렸습니다.
    위에서 얘기한 친구들은 정신만 흐리게 할 뿐입니다.

    5) 집에 재수 삼수 할 돈도 없으면서 놀았던 친구들은 만약 저렇게 돈 많은 친구가 옆에서 정신을 흐리게 하지 않았다면 멀쩡하게 대학을 가서 잘 살았을까요? 왜 주변에서 논다고 따라 놀았으면서 남탓을 합니까. 본인 탓이지.

    정말 개천에서 용나려면 적당한 학군에서 본인이 열심히 하게 할 유인이 필요한 것이지,
    주변환경에 집착하는것은 오히려 악영향을 주는 부분이 많은것 같습니다.

    6) 주변환경에 집착하는 이유? 당연하게도 좋은 학군이 좋은 결과를 더 높은 확률로 전해다주거든요. 그리고 솔직히 진짜 답 없는 고등학교 가서 애가 잘 하기보다는 맛이 갈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당연히?
    떡깔나무
    1) 학군이 의미없는게 아니라 제가 가정한 류의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줄수 도 있다.
    2) 그런류의 학생을 따라가려고 거기를 보내는데 애초에 따라갈수가 없음.
    6) 답없는 고등학교라고 한적 없고 적당한 곳에서 본인이 할 유인이 중요함.
    본인이 공감하지 못하면 그냥 지나가세요. 논의할 생각없습니다.
    Cascade
    논의할 생각이 없으시다니 아쉽지만요, 그럼 글을 쓰지 마세요.

    지우셔서 별 말은 더 안 하겠지만 글을 쓰신 뒤에 피드백을 받기 싫으시다면 글을 쓰지 않으시는 게 정답입니다.

    본인이 의도한 방식대로 글을 전개하지 않은 다음에 내 의도는 이런 식이였다고 댓글에서 말하는 것 만큼 무의미한 일이 없다고 생각되거든요. 다음에는 조금 더 확실하고 클리어하게 본인 주장을 쓰시면 좋겠네요.
    2
    Cascade님도 공격이 지나치십니다.
    몇번의 의견교환으로 성향이 안맞는다 싶으면 그걸로 끝내셔야지, 계속 물고 늘어지시면 시비거는 것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1
    Cascade
    알겠습니다 다음부터는 좀 덜 공격적으로 댓글 달도록 하겠습니다.
    어그로를 끄는 글은 까도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거 같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어그로인지 아닌지 부터 따져봐야 하고, 설령 글의 내용이 도발적인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보다 더 큰 도발로의 대응이 정당화 되지 않습니다.
    12
    떡갈나무님께도 앞으로 글을 좀 더 주의해서 써주실 것과, 대화하는 이들의 의견을 인정하는 태도를 요청드리고 싶네요.
    이 글에 달린 악플이 있다면, 그 악플을 불러온 원인은 원글에 있습니다.
    보는 이를 배려하지 않고 도발적 일 수 있는 표현을 주의없이 사용한다면 그로 인한 결과는 본인이 감당하셔야 할 책임으로 돌아옵니다.
    5
    저는 글 쓰신분이 어떤 맥락에서 하신 지 좀 이해가 가는 면이 있습니다. 제 조카도 그렇고, 저희 직장에도 비슷하게 좀 망가진다는 느낌이 드는 애들 부모가 있어요. 물론 그 애들이 다른데 가면 어떨지는 당연하게 알 수는 없지만 부모들은 후회하고 있어요.
    2
    제로스
    삭제되었지만 남아있던 이야기를 보면 쬐끔은 알 것 같네요.
    소꼬리보다 닭대가리..
    소위 '성공의 경험', '노력의 성취'를 더 체험하기 좋은
    normal, 혹은 easy 난이도 환경의 학교가 어떤 학생들에게는 더 좋은
    환경일 수 있지 않느냐..같은 이야기를 하고싶지 않았나 합니다.
    그런 이야기도 있는데 그거 보다 '망가짐'에 더 중점이 가는 이야기였습니다.
    탈퇴했네요.... ㅜ,.ㅜ
    멀티인가....?
    crowley
    제가 소위 똥통학교에서 나고 자라서 특목고 나와 대치동 압구정에서 학원 선생 해봤는데요!
    여러분 무조건 좋은학교 보내셔야 합니다 !!!!!!!!!!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89 일상/생각2018 웰컴티파티 후기 16 토비 19/01/22 5740 65
    8788 꿀팁/강좌영어권 현지 방송을 들어보자 - inner circle편 2 Darker-circle 19/01/22 6142 7
    8787 음악구름과 밤 새를 불러줘 8 바나나코우 19/01/22 3588 2
    8786 도서/문학서평 - 「나무 위의 남작」 – 이탈로 칼비노 2 메아리 19/01/21 4833 10
    8785 여행혼자 3박 4일 홋카이도 다녀온 이야기 (스압) 20 타는저녁놀 19/01/21 8787 20
    8784 일상/생각1인가구 건조기 구매고민건 22 오디너리안 19/01/21 5984 0
    8783 음악190120 23:49 8 Darker-circle 19/01/20 4372 5
    8782 일상/생각하버드에서 나누었던 인상적인 대화 8 은때까치 19/01/20 4687 29
    8781 게임[내폰샷] No. 05 - 아이러브커피 (03) The xian 19/01/20 5108 0
    8780 오프모임[마감]오늘 저녁 미역국정식 오프 모집합니다 7 벚문 19/01/20 4815 4
    8779 게임[내폰샷] No. 04 - 아이러브커피 (02) 4 The xian 19/01/20 5141 0
    8778 음악[클래식] 바흐 G선상의 아리아 Air on the G String 6 ElectricSheep 19/01/19 3584 6
    8777 게임[LOL] 2019 LEC Spring Week1 Day1 Review 1 암사자 19/01/19 4424 3
    8776 음악[팝송] 체인스모커스 새 앨범 "Sick Boy" 2 김치찌개 19/01/19 4396 1
    8775 IT/컴퓨터컴퓨터는 메일을 어떻게 주고 받을까? 13 ikuk 19/01/18 5955 17
    8774 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3894 18
    8773 방송/연예TV방송국은 인터넷 방송에 대해 어떤 관계를 맺게 될까? 파이어 아벤트 19/01/18 4375 1
    8772 음악로또의 꿈 2 바나나코우 19/01/18 3928 4
    8770 문화/예술LCK 개막 기념(?) 김정기 X LoL 아트웍 7 여름 19/01/17 4527 0
    8769 게임네버윈터 나이츠 - 명작이라도 못해먹겠는 이유... 15 덕후나이트 19/01/16 10987 0
    876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8204 8
    8767 기타꿀뷰 꿀팁.jpg 7 김치찌개 19/01/16 4078 6
    8766 음악[클래식] 비발디 사계 겨울 1악장 Vivaldi : Winter 1st mvt 7 ElectricSheep 19/01/15 4811 4
    8765 오프모임[을지로]비밀스런 인쇄소 카페탐방 25 무더니 19/01/15 5003 2
    8764 스포츠지난 10년간 EPL 구단 재정 분석 그래프 8 손금불산입 19/01/14 9973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