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10/31 00:27:45
Name   키즈
Subject   죽음도 못 바꾼 판결
지난 5월에 아래와 같은 안타까운 사정이 알려진 적이 있습니다. 남편 친구가 성폭행을 하였다고 신고하였는데, 1심에서 강간 혐의에 대해 무죄가 선고되자, 부부가 억울함을 호소하며 동반자살을 선택해 충격을 주었던 사건입니다.

죽음도 못바꾼 판결…'친구아내 성폭행 혐의' 30대, 항소심도 '무죄'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3354834

오늘 강제징용 관련해서, 주목할만한 판결이 나오기도 했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위 기사 후속 판결이 더 눈길을 끌었습니다.

http://www.scourt.go.kr/portal/news/NewsViewAction.work?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seqnum=6387&gubun=4&type=5

2018도7709   강간 등   (아)   파기환송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이 문제된 사건]
◇1. 성폭행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함에 있어 법원이 유념하여야 하는 점 및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 방법, 2. 강간죄가 성립하기 위한 폭행·협박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기준, 3. 피고인 진술의 신빙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사정이 공소사실을 뒷받침하는 증거에 해당하는지 여부◇
  1. 법원이 성폭행이나 성희롱 사건의 심리를 할 때에는 그 사건이 발생한 맥락에서 성차별 문제를 이해하고 양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성인지 감수성’을 잃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양성평등기본법 제5조 제1항 참조). 우리 사회의 가해자 중심의 문화와 인식, 구조 등으로 인하여 성폭행이나 성희롱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알리고 문제를 삼는 과정에서 오히려 피해자가 부정적인 여론이나 불이익한 처우 및 신분 노출의 피해 등을 입기도 하여 온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성폭행 피해자의 대처 양상은 피해자의 성정이나 가해자와의 관계 및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개별적, 구체적인 사건에서 성폭행 등의 피해자가 처하여 있는 특별한 사정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피해자 진술의 증명력을 가볍게 배척하는 것은 정의와 형평의 이념에 입각하여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따른 증거판단이라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18. 4. 12. 선고 2017두74702 판결 참조).
  2. 강간죄가 성립하기 위한 가해자의 폭행․협박이 있었는지 여부는 그 폭행․협박의 내용과 정도는 물론 유형력을 행사하게 된 경위, 피해자와의 관계, 성교 당시와 그 후의 정황 등 모든 사정을 종합하여 피해자가 성교 당시 처하였던 구체적인 상황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며, 사후적으로 보아 피해자가 성교 이전에 범행 현장을 벗어날 수 있었다거나 피해자가 사력을 다하여 반항하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가해자의 폭행․협박이 피해자의 항거를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에 이르지 않았다고 섣불리 단정하여서는 아니 된다(대법원 2005. 7. 28. 선고 2005도3071 판결 등 참조).
  3. 강간죄에서 공소사실을 인정할 증거로 사실상 피해자의 진술이 유일한 경우에 피고인의 진술이 경험칙상 합리성이 없고 그 자체로 모순되어 믿을 수 없다고 하여 그것이 공소사실을 인정하는 직접증거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사정은 법관의 자유판단에 따라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뒷받침하거나 직접증거인 피해자 진술과 결합하여 공소사실을 뒷받침하는 간접정황이 될 수 있다.
☞  피고인이 친구의 아내를 강간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해자가 처하여 있는 특별한 사정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배척하기에 부족하거나 피해자의 진술과 양립 가능한 사정만을 근거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배척하여 무죄로 판단한 원심을 파기한 사례

성인지 감수성이 명시적으로 판결문에 등장하는데요,
아무튼 누구든 억울한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키즈님의 최근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47 사회Case Study : 포드 핀토(Ford Pinto)에 관련한 세 가지 이야기 21 Danial Plainview 18/10/31 7070 11
    8445 사회죽음도 못 바꾼 판결 키즈 18/10/31 3907 2
    8417 사회뉴욕과 워싱턴에서 폭발물을 이용한 연쇄 테러 시도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1 키스도사 18/10/25 5296 0
    8261 사회미국의 임대주택 사업 중에 BMR 5 풀잎 18/09/22 5872 4
    8230 사회생계형 범죄자를 위한 출퇴근 교도소를 맹근다고 합니다. 3 NoviPo 18/09/14 5429 0
    8184 사회풀무원 식중독 사건 피해자가 2200명을 넘어섰습니다. 15 Leeka 18/09/08 5639 0
    8182 사회서구사회에 보이는 성별,인종에 대한 담론 28 rknight 18/09/08 9758 19
    8177 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29 烏鳳 18/09/07 69889 83
    8148 사회학교내 폭력 학교자체 종결제 도입 추진과 관련된 단상 8 맥주만땅 18/08/31 6370 0
    8140 사회2008 수능 - 죽음의 트라이앵글 20 Under Pressure 18/08/30 9793 2
    8128 사회삽자루 vs 최진기&설민석 - 댓글 주작사건 논란?? 10 Groot 18/08/28 9852 1
    8101 사회공익법 재단 공감의 안희정 판결 톺아보기를 톺아보기 4 DrCuddy 18/08/23 5483 11
    8098 사회국민연금 광고는 진실일까? 2 맥주만땅 18/08/23 5216 1
    8085 사회초자본주의 사회 중국의 일면 15 Toby 18/08/21 5551 3
    8056 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4 tannenbaum 18/08/14 5412 9
    8031 사회동일범죄 동일처벌과 워마드 운영자 체포영장에 대해 7 DrCuddy 18/08/10 4658 3
    7952 사회가짜학회에 논문을 내는 한국 교수들 39 CIMPLE 18/07/26 9628 11
    7787 사회아시아나 기내식 대란 사태를 나름 개조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5 CIMPLE 18/07/04 4842 7
    7733 사회대구 수돗물 사태 대구시/환경부 해명 3 DogSound-_-* 18/06/23 3687 0
    7706 사회OSCE란 이상한 시험에 대해서 알아보자. 15 맥주만땅 18/06/18 8214 4
    7646 사회커뮤니티, 여성, 현실에서의 괴리감 15 셀레네 18/06/10 7468 13
    7636 사회다문화와 교육 -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15 호라타래 18/06/08 6261 11
    7615 사회나도 노동법 알고 알바해서 인생의 좋은 경험 한번 얻어보자! 7 우주최강귀욤섹시 18/06/02 6149 21
    7440 사회나 오늘 설거지 못하겠어! 4 사나남편 18/04/26 6285 6
    7427 사회픽션은 사회를 어떻게 이끄는가 (2) 8 Danial Plainview 18/04/22 5672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