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10/05 20:52:39수정됨 |
Name | 원림 |
Subject | 프루스트의 질문 |
갑자기 이게 생각나서 검색하다 가져왔어요. 이하 모든 내용은 위키피디아 페이지를( https://en.wikipedia.org/wiki/Proust_Questionnaire ) 요약하고 번역한 내용입니다. 의역이 기본이고 심지어 틀린 게 있을 수 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정확하게 알고 싶은 분은 위키피디아 페이지 고고! 그리고 틀렸음 알려주셔요ㅋㅋㅋ 프루스트가 살았던 시절 사교모임에서는 서로의 취향에 대해 질문하고 대답하는 문답이 인기있었다고 해요. 소설에서도 느껴지는 그의 특성이지만, 프루스트는 모든 것에 진심으로 화답하는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그런 문답들에도 매우 솔직하게 정성을 다해서 대답했죠. 지금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건 그가 10대에 대답한 문답과 20대에 대답한 문답입니다. 그리고 이 '프루스트의 질문Proust Questionnaire'은 그의 사후에도 현재형으로 살아남았죠. 프랑스의 방송 아포스트로프, 잡지 배니티 페어, 영국의 더 넥스트 챕터 등에서는 이 설문지를 참고하여 게스트들에게 질문한다고 합니다. 오늘 검색하다 보니까 GQ에서도 이런 특집을 했던 적이 있더라고요. 다음은 위키피디아에 있는 1891 혹은 1982년의 질문입니다. 당신의 성격 중에서 가장 주요한 측면은? 사랑받고 싶은 갈망; 더 정확하게는, 칭찬받고 싶다기보다는 나를 어루만져주거나 내 응석을 받아주기를 원하는 것. 남자들에게서 바라는 자질은? 여성적인 매력 여자들에게서 바라는 자질은? 남자다운 미덕과 진정한 교우관계 당신이 교우관계에서 가장 감사하게 생각하는 것은? 친구들의 인격이 상냥함을 베풀 만큼 아름답다는 전제 하에, 상냥함. (+What I appreciate most about my friends. To have tenderness for me, if their personage is exquisite enough to render quite high the price of their tenderness 제가 갸우뚱했던 부분 자진신고.. 추가합니당.. 뭔가 아귀가 묘하게 안 맞지 않아요? 위키피디아 말고 프랑스어 원문의 답과 질문이 궁금하더라고요.) 당신이 가진 결점은? 무지함, 적극성의 결여 가장 좋아하는 일은? 사랑하는 것. 당신이 바라는 행복은? 그게 시시하게 들릴까봐 걱정되고, 그걸 말할 용기도 없고, 사실 그걸 말해서 모든 게 망가질까봐 걱정된다. 당신이 생각하는 최악의 불행은? 내가 내 어머니나 할머니를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인 것. 당신이 되고픈 사람은? 나, 내가 경애하는 사람들이 기꺼이 좋아할 수 있는 나. 살고 싶은 나라는? 내가 좋아하는 모든 일들이 마법처럼 이뤄지고, 사람들 사이에 언제나 상냥함이 오가는 곳. 가장 좋아하는 색은? 아름다움은 개별의 색이 아니라 조화에 있다 좋아하는 꽃은 무엇인가? 전부 다 가장 좋아하는 새는? 제비 가장 좋아하는 산문작가는? 요즘은 아나톨 프랑스와 피에르 로티. 가장 좋아하는 시인은? 보들레르와 알프레드 드 비니. 가장 좋아하는 픽션 속의 영웅은? 햄릿 가장 좋아하는 픽션 속의 여주인공은? 베레니스 가장 좋아하는 작곡가는? 베토벤, 바그너, 슈만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원림님의 최근 게시물 |
음 박찬호라기엔 내성적이면서도 오해받기는 결단코 원치 않아서 자기 자신을 '총체적으로' 이해시키려는 면모가 저 짧은 글귀 사이사이에도 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나요
https://youtu.be/_PMgmgDq2Fo
I know your image of me is what I hoped to be ㅋㅋ
The Carpenters A Song For You
I know your image of me is what I hoped to be ㅋㅋ
베토벤-바그너-리스트면 신음악빠겠거니, 베토벤-슈만-브람스면 신음악까겠거니(한슬릭?!) 하겠고, 아예 베토벤 대신 슈베르트나 다른 오페라 작곡가였다면 음악에서도 문학의 향취를 찾으려고 했겠거니 생각하겠는데 그것도 아니고... 당대의 위상을 쫓았다기엔 브람스 대신 슈만인 게 걸리고요. 사실 그리고 어느 쪽으로 보든 작곡가 이름으로 음악 취향을 떠올리기엔 너무 보편적인 위상의 인물들이라... 하긴 모두 19세기 독일의 낭만주의 음악가들이니 사색적이면서도 장르에 순수하게 몰입하는 취향을 알 수 있고, 거기에 바그너가 있으니 그 장르가 꿈... 더 보기
베토벤-바그너-리스트면 신음악빠겠거니, 베토벤-슈만-브람스면 신음악까겠거니(한슬릭?!) 하겠고, 아예 베토벤 대신 슈베르트나 다른 오페라 작곡가였다면 음악에서도 문학의 향취를 찾으려고 했겠거니 생각하겠는데 그것도 아니고... 당대의 위상을 쫓았다기엔 브람스 대신 슈만인 게 걸리고요. 사실 그리고 어느 쪽으로 보든 작곡가 이름으로 음악 취향을 떠올리기엔 너무 보편적인 위상의 인물들이라... 하긴 모두 19세기 독일의 낭만주의 음악가들이니 사색적이면서도 장르에 순수하게 몰입하는 취향을 알 수 있고, 거기에 바그너가 있으니 그 장르가 꿈툴거리며 발전하는 혁신의 힘을 즐겼다는 걸 짐작하겠고, 그럼에도 슈만이 있는 건 문학가로서 + 혁신을 지향하되 파격까진 거부하는 일말의 보수성을 드러낸다...고 말할수도 있겠네요. 이태리 오페라나 민속적인 색채가 강한 작곡가들이 없는 것도 어느 정도 성향을 짐작케 하고요.
아, 문득 당대에 아직 죽지 않았기 때문에 브람스를 안 넣었겠구나,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
아, 문득 당대에 아직 죽지 않았기 때문에 브람스를 안 넣었겠구나,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
저 질답이 오간 시기면 아직 브람스가 살아 있었다는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보통 죽은 사람 애호해야 있어 보이고 산 사람 애호하면 없어보이니까요 ㅋㅋㅋ
아, 베토벤이나 바그너는 생전부터 음악이란 분야를 초월해서 전유럽을 들썩이게 만드는 이름이었잖아요. 그래서 사실... 뭐라고 해야하지, 요새 기준으로 치면 같은 질문에 비틀즈나 마이클 잭슨으로 대답하는 느낌이라 취향을 짐작하기에는 그 명성과 영향력을 어느 정도 따져본 게 아닐까, 생각하게 만들고요. 뭐, 하긴 베토벤-바그너는 둘 다 당대 음악을 음향적으로든 형식적으로든 주제 측면에서든(둘 다 낭만주의 이후를 바라봤을 정도로 낭만주의적이기도 했고) 무지막지하게 밀어붙인데다가 바라보던 방향에 있어서도 공통점이 있기는 하지만... 여튼 ... 더 보기
아, 베토벤이나 바그너는 생전부터 음악이란 분야를 초월해서 전유럽을 들썩이게 만드는 이름이었잖아요. 그래서 사실... 뭐라고 해야하지, 요새 기준으로 치면 같은 질문에 비틀즈나 마이클 잭슨으로 대답하는 느낌이라 취향을 짐작하기에는 그 명성과 영향력을 어느 정도 따져본 게 아닐까, 생각하게 만들고요. 뭐, 하긴 베토벤-바그너는 둘 다 당대 음악을 음향적으로든 형식적으로든 주제 측면에서든(둘 다 낭만주의 이후를 바라봤을 정도로 낭만주의적이기도 했고) 무지막지하게 밀어붙인데다가 바라보던 방향에 있어서도 공통점이 있기는 하지만... 여튼 19세기 작곡가들 가운데 저 둘 다음으로 꼽힐 네임밸류라면 아무래도 브람스일텐데 그게 아니고 슈만이라니 고개가 살짝 갸웃했거든요. 그런데 프루스트가 저 대답을 했을 때 브람스는 다른 두 작곡가들과 달리 살아있었다보니 제낀 게 아닐까... 뭐 그런 생각을 해봤어요. 그 뭐더라, 상실의 시대에서 어떤 인물이 후까시 잡으면서 죽은지 삼십년 되지 않은 작가는 읽지 않는다네~라는 그런 삘링이랄까 ㅋㅋㅋㅋ
네ㅋㅋ 구밀복검님하구 미메님이 말씀하신 맥락 뭔지 알았읍니다 감사합니다 ㅋㅋㅋ 그리고 뭐랄까 브람스는 프루스트에게 좀 안 맞을수도 있지 않았을까 이런 느낌도 드네요. 지금 막 생각해봤는데, 왜 브람스는 베토벤-슈베르트-브람스 정도의 연결고리의 감수성이 느껴지고, 이건 어떻게 보면 상당히 독일 지방스러운 느낌인데, 아무래도 슈만은 더 도회적이라고 해야 할까.. 명성이 주요 팩터가 될 수 있었겠지만 연약한 프랑스 부르주아 청년 프루스트에게는.. 뭐 요런 느낌적인 느낌이 뜬금없이 드는 것입니다
브람스 까 아님니다 .. 현악6중주짱 대학축전서곡 대유잼!ㅋㅋㅋㅋ
브람스 까 아님니다 .. 현악6중주짱 대학축전서곡 대유잼!ㅋㅋㅋㅋ
ㅎㅎㅎ 네 브람스는 자기가 의식적으로 민속적인 색채를 어떻게든 더 입히거나 가공해보려던 게 음악에서부터 느껴지죠. 헝가리 무곡 같은 게 아닌, 그 자신이 아주 공을 들인 교향곡을 놓고보보면, 제 생각에는, 별로 성공적인 작업이었는지 모르겠어요. 교향곡 3번 같은 아예 그거 때문에 곡 자체가 좀 이상해지지 않았나 싶고요.(1, 2, 4악장의 무지막지한 스케일 사이에 낀 3악장 어쩔.....) 그런 민요풍에 토속적인 멜로디를 메인으로 차용하기엔 브람스 자신이 좀 지독히도 사색적인 사람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그나마 주제측면에서 교향곡 2번이 좀 목가적인 느낌이 있는데 그렇다고 민속적인 곡이라고 할 수 있냐, 하면은 아주 거리가 멀기도 하고요.
약간 타고난 취향/덕력..이랄까 공부력 서이에서 이상과 능력이 재갈잡고 끌어간 타입 아니었나 싶기도 합니다.. 인생만 봐도
여러모로 좀 꼬이고 꼬인 느낌이고ㅋㅋ 생각이 많으면 헛발질이 많아지고 그럼 그런 결과로 나오지 않나 싶어욤...
여튼 프루스트는 연약하긴 한데 별로 그런 차원의 고민은.. 없져ㅋㅋㅋㅋ
저는 브람스 다 들을 만큼 좋아하진 않아서 3번은 미메님 얘기 듣고 알았읍니다.. 그래도 2번은 제법 좋아해요! 네 2번은 민속적인.. 주제가 있긴 하지만 목가적인.. 그런 환상적이랄까 그런 느낌은 단조 영향이 크지 않나 싶어요ㅋㅋ 왈츠 자체가 갖꼬 있는 그 뱅뱅도는 느낌에서도 그렇고요. 오 근데 요즘 들으면 꽤 어울릴거같아요 브람스 ㅋㅋ
여러모로 좀 꼬이고 꼬인 느낌이고ㅋㅋ 생각이 많으면 헛발질이 많아지고 그럼 그런 결과로 나오지 않나 싶어욤...
여튼 프루스트는 연약하긴 한데 별로 그런 차원의 고민은.. 없져ㅋㅋㅋㅋ
저는 브람스 다 들을 만큼 좋아하진 않아서 3번은 미메님 얘기 듣고 알았읍니다.. 그래도 2번은 제법 좋아해요! 네 2번은 민속적인.. 주제가 있긴 하지만 목가적인.. 그런 환상적이랄까 그런 느낌은 단조 영향이 크지 않나 싶어요ㅋㅋ 왈츠 자체가 갖꼬 있는 그 뱅뱅도는 느낌에서도 그렇고요. 오 근데 요즘 들으면 꽤 어울릴거같아요 브람스 ㅋㅋ
ㅎㅎㅎ 이렇게 비오는 날 4번 들으면 좋죠. 2번은 소릿결 좋은 관현악단이 자랑삼아서 유장하게 연주해도 좋고, 아니면 내내 실내악 느낌나게 연주하다가 마지막에만 짧고 임팩트 있게 터트리는 해석도 좋고, 그도 아니면 클라이버처럼 베토벤 4번처럼 재기발랄하게 연주해도 즐겁고요.
mime 님// 오 4번! 메모메모함니당 오늘 들으면서 자야겠어요 아스피린 소년이랑ㅋㅋㅋㅋ 전 2번은.. 원래 재기발랄과 장중함 그 사이 어딘가의 느낌이 좋았던 거 같아요 ㅋㅋ 전체는 장중하게 하지만 춤곡적이랄까 그런 리듬은 살아있게! 근데 솔직히 막 찾아듣기 넘모 열정 없고.. 그냥 걸리는 거 들을랍니당 흑흑 브람스먄 됐지... ㅋㅋㅋㅋㅋㅋㅋㅋ
원림 님// https://www.youtube.com/watch?v=aiw0aWuwOJs
4번은 이 연주가 좋아요. 해적반 내기로 유명한 알투스에서 나온 건데 정작 정식으로 녹음했던 emi의 85년도 녹음보다 잘 된 연주에요. 일단 매가리 없는 emi 반의 금관과 달리 같은 악단이 맞나 싶을 정도로 쩌렁쩌렁하게 울리고, 유장한 가운데 긴장감도 더 잘 살아있고요.... 하지만 역시나 emi에서 나온 뮌헨필 첼리비다케 전집에는 포함되지 않다보니... 더 보기
Brahms - Symphony No 4 - Celibidache, MPO (1986)
4번은 이 연주가 좋아요. 해적반 내기로 유명한 알투스에서 나온 건데 정작 정식으로 녹음했던 emi의 85년도 녹음보다 잘 된 연주에요. 일단 매가리 없는 emi 반의 금관과 달리 같은 악단이 맞나 싶을 정도로 쩌렁쩌렁하게 울리고, 유장한 가운데 긴장감도 더 잘 살아있고요.... 하지만 역시나 emi에서 나온 뮌헨필 첼리비다케 전집에는 포함되지 않다보니... 더 보기
원림 님// https://www.youtube.com/watch?v=aiw0aWuwOJs
4번은 이 연주가 좋아요. 해적반 내기로 유명한 알투스에서 나온 건데 정작 정식으로 녹음했던 emi의 85년도 녹음보다 잘 된 연주에요. 일단 매가리 없는 emi 반의 금관과 달리 같은 악단이 맞나 싶을 정도로 쩌렁쩌렁하게 울리고, 유장한 가운데 긴장감도 더 잘 살아있고요.... 하지만 역시나 emi에서 나온 뮌헨필 첼리비다케 전집에는 포함되지 않다보니 퀄리티만큼 유명하진 않은 게 안타깝죠. 이외에는 워낙 유명한 아바도-베를린필이나 번스타인-빈필, 줄리니-빈필도 좋고...
https://www.youtube.com/watch?v=5XgIw3MgX80 (1악장)
https://www.youtube.com/watch?v=i_A5NLQ2C_M (4악장)
요즘 연주들 중에는 현악이 아니라 금관에 비중을 둬서 해석한 넬손스-보스턴 심포니가 아주 인상적이었는데요. 딱 제 취향이라고 할 수는 없는데 워낙 특이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해석이라 고대의 명반과 비교해도 그보다 높은 평가를 주면 줬지 낮게 보기는 어렵다 싶어요. 아무래도 근년에 나온 음반이라 그런지 유튜브에 1, 4악장밖에 보이지 않네요. 전집으로 나왔는데 전곡이 두루두루 개성적이면서 연주도 훌륭하니 음원을 구입해도 후회 않으실 거예요. 그외에 dch에 가면 베를린필로 4번을 연주하는 넬손스도 찾을 수 있는데, 악단의 특성을 고려해서인지 이때는 전통적인 브람스 해석과 같이 현악에 무게를 두는 해석을 하죠. 보스턴 심포니 녹음과는 아주 다른 해석이고 양쪽 모두 지휘가 악단의 장기를 최대한으로 끄집어내는 연주인 만큼 서로 비교해가며 들어보셔도 좋을 거예요.
Brahms - Symphony No 4 - Celibidache, MPO (1986)
4번은 이 연주가 좋아요. 해적반 내기로 유명한 알투스에서 나온 건데 정작 정식으로 녹음했던 emi의 85년도 녹음보다 잘 된 연주에요. 일단 매가리 없는 emi 반의 금관과 달리 같은 악단이 맞나 싶을 정도로 쩌렁쩌렁하게 울리고, 유장한 가운데 긴장감도 더 잘 살아있고요.... 하지만 역시나 emi에서 나온 뮌헨필 첼리비다케 전집에는 포함되지 않다보니 퀄리티만큼 유명하진 않은 게 안타깝죠. 이외에는 워낙 유명한 아바도-베를린필이나 번스타인-빈필, 줄리니-빈필도 좋고...
https://www.youtube.com/watch?v=5XgIw3MgX80
Symphony No. 4 in E Minor, Op. 98: I. Allegro non troppo
https://www.youtube.com/watch?v=i_A5NLQ2C_M
Symphony No. 4 in E Minor, Op. 98: IV. Allegro energico e passionato
요즘 연주들 중에는 현악이 아니라 금관에 비중을 둬서 해석한 넬손스-보스턴 심포니가 아주 인상적이었는데요. 딱 제 취향이라고 할 수는 없는데 워낙 특이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해석이라 고대의 명반과 비교해도 그보다 높은 평가를 주면 줬지 낮게 보기는 어렵다 싶어요. 아무래도 근년에 나온 음반이라 그런지 유튜브에 1, 4악장밖에 보이지 않네요. 전집으로 나왔는데 전곡이 두루두루 개성적이면서 연주도 훌륭하니 음원을 구입해도 후회 않으실 거예요. 그외에 dch에 가면 베를린필로 4번을 연주하는 넬손스도 찾을 수 있는데, 악단의 특성을 고려해서인지 이때는 전통적인 브람스 해석과 같이 현악에 무게를 두는 해석을 하죠. 보스턴 심포니 녹음과는 아주 다른 해석이고 양쪽 모두 지휘가 악단의 장기를 최대한으로 끄집어내는 연주인 만큼 서로 비교해가며 들어보셔도 좋을 거예요.
mime 님// 호곡 링크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저는 이렇게 찾아들을 정돈 아니고 한두마디 제가 아는거만 주워넘길 정도만.. 대체로 그정도만 알아서 일케 설명해주시면서 주시면 넘 좋아요 ㅋㅋ 잘들을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