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06/04 21:33:16 |
Name | Xayide |
Subject | 무엇이 선량한 사람을 악하게 만드는가 - 루시퍼 이펙트 |
학생 때, 비문학 도서는 제게는 존재 자체로 적이었습니다. 개인의 이야기이건 사회실험이건 뭐건, 창조된 이야기보다 상상력을 발휘할 여지가 적은 주제에, 시험에는 꼭 나오니까요. 그리고 이 책을 접했습니다. '끝없는 이야기'도 그랬지만, 책이 두껍다는 것은 제 지적 허영심을 채워주기 좋다는 것이며, 제목조차 상상의 여지가 풍부하니까요. 그리고 현실은 상상을 뛰어넘는다는 말이 어떤 말인지 저는 이 때 처음 깨달았습니다. 필립 짐바르도 교수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워낙 유명한 실험입니다. 영화로도 나왔고, 사회실험에 관심 많은 창작자가 소설의 소재로 쓴 적도 많습니다. 그리고 이 책은, 짐바르도 교수가 직접 쓴 책입니다. 스탠퍼드 감옥 실험이야 나무위키 등, 수많은 곳에서 접할 수 있으니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실험 그 자체가 아니라, 인간은 악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으니까요. 밀그램의 복종 실험에서도 보이듯이, 대부분의 사람은 책임이 자신에게 오지 않는다면, 양심의 가책을 느끼더라도 부당한 명령에 복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깨진 유리창 실험처럼 타인이 먼저 나서서 물꼬를 튼 상태라면, 명령이 아니더라도 마음이 휩쓸려버릴 수 있다는 것 역시 이를 보충해줍니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 아닌 권위와 시스템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마무리됩니다. 이 시스템에 저항하는 사람은 극히 소수이며, 그런 사람들은 영웅 취급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미군의 포로 학대, 신안의 노예제, 켄터키주 장난전화 사건, 홀로코스트를 자행한 나치 요원 등, 남들이 보기엔 사람이라면 못 할 짓을 한 것 같아 보이더라도, 우리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똑같이 했을지도 모르는 수많은 사건들을 보며,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습니다. 우리는 레밍이 아니라고. 나는 혹시, 권위와 시스템에 의해 무고한 사람을 해치지 않았나 반성하고 다잡습니다. p.s.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 책을 읽고 나서는 모두가 '와~!' 하는 물결에 동참하기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군대에서 걸스데이 위문공연이 왔을 때, 의자 위로 일어서지 않은 사람이 저 혼자였다는 기억이 생생하네요... 이러니까 친구가 없...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Xayide님의 최근 게시물
|
가족, 사랑하는 연인, 소중한 친구끼리 두명을 방 하나에 먹을 것을 안 주고 딱 보름만 가둬 두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다들 알고 있지요. 인간성이라는 것은 사실은 별로 인간적이지 않은 특성이며 아차 하는 순간 산산조각날 유리 표피와 같은 것이기에 그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자 합니다
두껍지만 인상깊게 읽었던 책이었습니다. 마지막 부분에서 교훈과 지침을 알려주면서 마무리하는 내용도 좋았습니다. 혹시 책을 읽지 않으셨다면 짐바르도의 관련 TED 강의도 있습니다. 한 번 보시면 책을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습니다.
https://www.ted.com/talks/philip_zimbardo_on_the_psychology_of_evil
https://www.ted.com/talks/philip_zimbardo_on_the_psychology_of_evil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