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6/04 11:18:43
Name   소나기
Subject   삶과 죽음
예전에 몸이 안 좋아서 병원에 있을 때였다. 병원에 독극물을 먹고 자살 시도를 하고 실려온 여자분이 있었다.
보호자가 아무도 없었던 그분은, 깨어나고 나서 소리쳤다. 전 살 수도 죽을 수도 없나요?

복합부위통증증후군으로 매일 밤 잠을 자지 못하고 바람만 스쳐도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도 있었다.
부모님께서 암 투병을 하셔서 봤던 암병동에 계시던 분들 중 잠을 제대로 자는 분들은 거의 없었다. 항암제 때문에 머리가 한움큼씩 빠져나가고 물만 먹으면 구토했다.
며칠째 심한 불면증에 시달리던 나는, 온몸에 벌레가 기어다니고 환청이 들리는 듯한 기분에 사로잡혔다.
몸이 아파서 혼자 있고 싶어도, 신음과 소음에 1인실에 좀 있고 싶어도 뭘 하나 먹고 싶어도 영양주사를 맞고 싶어도 모든게 다 돈이었다. 몸은 휘청거리는데 택시비가 없어서 지하철과 버스를 타고 가려면 몇 번이고 바닥에 주저앉아야 했다.
주위 사람들한테 도와달라고 해도, 나도 여유가 없고 내가 왜 너를 도와야 하냐는 차가운 거절뿐이었다.

우리는 그 사람들에게 어떻게든 괴로운 그 날들을 연장해야 한다고, 삶은 소중하다고 말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일까.
애시당초 삶의 의미란 자기 자신이 찾는 건데, 남들이 와서 인생은 살만한 거예요, 하고 말하는 것을 들을때 어떤 느낌이 들까.
고통받는 사람들 중 삶의 의지를 불태우는 사람들은 그들의 의지를 존중하고 박수를 쳐줘야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우리는 선택의 기회를 줘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그저 사람들에게 태어나서 살아가라고만 한다. '어떻게' 살아가는지는 그건 내 알바 아니고니까.
어떤 식으로든 임신한 여자한테는 문란하게 놀면서 책임지지 못한 네 잘못이니 낳아서 키우라고 한다. 네 몸이지만 사회에서 정했으니 낙태는 불법이라 한다.
그러면 내 아이를 키워주냐에 대해선 아니란다. 모든 것은 개인의 책임이라면서.

살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고, 먹을 것과 안정된 주거가 필요하고, 사람들로부터의 정신적인 지지와 고통받지 않는 신체가 필요하다.
그런 것들을 우리가 보기에 제대로 갖추지 못한 사람들에게 손가락질한다.
정말 우연히 단지 누구 자식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다 가지고 태어났던 거면서, 억울하면 능력없고 돈없는 네 부모를 원망해야지 별수있겠니.
미혼모의 자식이라고, 장애인이라고, 나보다 돈이 없다고, 우리 집 옆에 낡은 임대아파트에 산다고 편을 나누고 무시하고 아무렇게나 대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내가 당하는 갑질은 화가 나면서, 나는 다른 사람에게 다시 갑질을 한다. 나보다 못난 사람한테는 그래도 되니까.

그러나 나 역시 뭐 하나라도 삐끗했으면 저 사람들과 같으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어차피 내 일 아니니까.
'다행히도 내가 아니면 되었던' 그 수 많은 순간들 속에서.

죽음은 더이상 거룩한 것도 대단한 것도 슬픈 것도 아닌, 삶이 자기 의지로 시작될 수 없었을때
매일매일 숨만 쉬어도 돈이 필요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스스로의 삶을 유지하는 것에 지치고 힘들어졌을때 삶을 종료할 수 있는 용기라는 생각을 한다,



9
  • 춫천
  • 삶과 죽음에 대한 제 생각을 보는 것 같았어요.
이 게시판에 등록된 소나기님의 최근 게시물


사나남편
항상 삶과 죽음에 관해서 이야기 할때...개인적인 의견은 그렇습니다. 제가 사실 죽을뻔한적이 있거든요. 중학교때 물에 빠져서 죽을뻔한적이있습니다. 순간 죽기 억울해서 강에서 기어 나왔습니다. 그러니깐...음 숨은 쉴려고 하기때문에 코로 물이 그대로 들어오는걸 버티면서 기어나왔거든요. 강폭이 한 15미터 정도에 수심은 2~3미터였는데...음...뭐 그랬습니다. 그 이후로 어지간한것에 죽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삶에 대한 집착이 크다고 봐야죠. 고등학교때 1진들한데 다구리 당했을때도 뭐 별거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사실 무시하면 되... 더 보기
항상 삶과 죽음에 관해서 이야기 할때...개인적인 의견은 그렇습니다. 제가 사실 죽을뻔한적이 있거든요. 중학교때 물에 빠져서 죽을뻔한적이있습니다. 순간 죽기 억울해서 강에서 기어 나왔습니다. 그러니깐...음 숨은 쉴려고 하기때문에 코로 물이 그대로 들어오는걸 버티면서 기어나왔거든요. 강폭이 한 15미터 정도에 수심은 2~3미터였는데...음...뭐 그랬습니다. 그 이후로 어지간한것에 죽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삶에 대한 집착이 크다고 봐야죠. 고등학교때 1진들한데 다구리 당했을때도 뭐 별거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사실 무시하면 되는거였거든요. 그리고 군대에서도 행보관하고 싸우고 힘들때도 죽고싶다는 생각은 안들더라고요. 마지막으로 직장다니면서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한적이 있는데요...음 역시 여초직장에서 버티는건 쉽지 않더라고요. 그때 절 버티게 해준건 어머니와 마이나스 통장이였습니다. 지금은 뭐 잘삽니다.
5
성공적
스쿠버 다이빙 중에 한번 그런 일이 있었는데 물을 벌칵 벌컥 들이키다 엄마 생각을 하니 정신이 번쩍 들어서 옆에 동료를 찾아 비상용 레귤레이터를 잡아뜯듯이 움켜쥐고 살았던 적이 있네요; 역시 어머니의 힘이란..
바나나코우
잘 보았고 공감합니다. 자살을 금기시하는 것도 일종의 사회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인것 같습니다. 싱가포르에 잠시 살던때 들은건데( 확인은 못해봤고) 그나라는 자살 미수자를 태형으로 다스린다고 ㅋ
곰돌이두유
글이 너무 멋있어요. 글 자주 써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17 일상/생각세상에 사기꾼들이 너무 많다 21 솔루션 18/07/23 6231 2
7906 일상/생각눈물하구 기적 4 알료사 18/07/21 5069 8
7883 일상/생각사라진 이를 추억하며 10 기아트윈스 18/07/19 5144 39
7881 일상/생각한강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3 감자 18/07/18 4640 6
7871 일상/생각이번 휴가 후기입니다. 3 하우두유두 18/07/17 4046 1
7869 일상/생각커뮤니티 회상 4 풀잎 18/07/17 4061 14
7868 일상/생각소개팅이 단순히 싫은 정도를 넘어 소개팅이라는 단어에도 공황장애 증상을 느낍니다. 19 라밤바바밤바 18/07/17 9026 5
7848 일상/생각[스압?] 영포자 5 유자농원 18/07/14 4998 3
7838 일상/생각2003, 2007, 2010, 2015, 야구, 형, 그리움 은채아빠 18/07/13 4399 24
7830 일상/생각우리 동네 길냥이들 5 모여라 맛동산 18/07/11 4469 4
7829 일상/생각갑질 17 biangle 18/07/11 4298 9
7828 일상/생각한이 이야기 1 마녀 18/07/11 4131 10
7824 일상/생각몰래 미역국 끓여드리기 재도전 중입니다. 8 빠독이 18/07/11 4296 13
7811 일상/생각두 원두막 이야기 9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8/07/08 4962 19
7801 일상/생각언젠가 다음 세상에도... 2 No.42 18/07/06 5041 15
7798 일상/생각왜 펀치라인? 코메디의 구조적 논의 6 다시갑시다 18/07/06 5866 24
7795 일상/생각헉 이렇게 큰 행사인줄 몰랐는데... 16 집에가고파요 18/07/05 5801 16
7794 일상/생각농담, 비하 그리고 PC 38 솔루션 18/07/05 5388 9
7784 일상/생각S의 부친상에 부치는 글 5 Tikas 18/07/03 5127 9
7759 일상/생각산골짝 장마 대비 3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8/06/27 4858 12
7750 일상/생각열려가는 사회 2 삼성갤팔지금못씀 18/06/26 4182 7
7747 일상/생각남에게 휘둘리지 않고 사는 것에 대한 어려움에 대한 토로 6 라라 18/06/26 3743 5
7731 일상/생각인터넷 글쓰기의 수준과 등급 12 망고스틴 18/06/23 4031 5
7727 일상/생각시험이 끝나서 적어보는 학교일상들 1 집정관 18/06/22 4363 1
7707 일상/생각먹고 싶은데 먹을 수 없는 음식들 3 성공의날을기쁘게 18/06/18 5335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