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02/07 16:52:13 |
Name | 죽음의다섯손가락 |
Subject | 나를 연애하게 하라 |
언젠가 주진우 기자의 강연에 간 적이 있었다. 그 양반이 우리 청춘들에게 강조했던 것은 다름아니라, 사랑이었다. 젊었을 적에 사랑을 꼭 해보라는 것이었다. 비단 그 양반뿐만이 아니었다. 아버지 또한 같은 지론을 갖고 있었다. 대학교 때 연애 한 번 겪어보긴 해야지. 이렇게 여러 사람들이 강조하는 만큼 그 연애라는 경험이 확실히 대단한 것이긴 한가보다, 라고 나는 생각했다. 하지만 아버지, 저는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는 걸요. 15년지기 친구들 다섯과 농담조로 맹세한 적이 있다. 우린 결혼하지 말고 나중에 같이 빌라 구해서 살자. 나만 빼고 모두 연애를 하게 되었다. 또, 좌충우돌하는 소중한 대학 친구들과도 이야기했다. 연애는 무슨, 연애할 시간에 자기계발을 해서, 멋진 인간이 되자. 그 녀석 또한 애인이 생겨버렸다. 그렇게 숱한 친구들에게서 배신을 당하고 나는 여전히 혼자다. 그 녀석들이 애인에 대해 한탄이라도 내놓으면 나는 훌륭한 상담사가 되어 주었다. 사람 사는게 다 그렇고 그런걸. 그사람 참 못 되었네. 서로 대화해보렴. 참을 수 없으면 그만두렴. 하지만 연애도 안 해본 사람이 어떻게 연애에 대해 말할 수 있을까? 연애에 관심없다는 말은 사실 거짓말이다. 사실 관심이 있긴 하다. 단지 그냥 성정이 이렇다. 나같은 사람은 친구와의 약속에 수 번의 다짐과 용기가 필요하다. 명 당 세 시간을 넘기면 그보다 곤혹스러울 수가 없다. 그런데 만약 연애를 한다면 일주일에 무려 한 번을, 그것도 긴 시간을 들여서 한 사람을 상대해야 한다. 생각만 해도 엄청나군. 물론 누군가를 엄청 좋아한다면 기꺼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런데 그렇게 엄청나게 좋아한다는게 무슨 느낌인지 모르겠다. 내가 여태까지 느낀 좋아함이라는 감정은, '와우, 어쩜 저렇게 기가 막힐 수가 있지!'같은 것이다. 그러니까, 고등학교 시절에 선생님을 좋아하는 그 정도의 느낌이다. 그러니까 동년배나 동기들에게 그런 감정이 들 때, 굳이 안달내기엔 모양새가 웃긴 것이다. 동기 중에서 그 정도의 감정이 느껴졌단 상대는 딱 두어 명이었다. 그런데 이미 애인이 있길래, 나는 좋은 친구로 남았다. 비단 그 양반뿐만 아니라, 내가 속한 집단의 이성들은 귀신같이 이미 애인이 있었다. 그래서 나는 그들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주었다. 친구들을 만날 때면 늘 재미로 타로를 보곤 하는데, 아이들은 하나같이 '연애운'을 본다. 그만큼 이들은 정력적이다. 나도 반강제적으로 딱 한 번 보았다.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 물론 딱 한 번만 그런 결과가 나온다면 웃어넘길 수 있다. 하지만 타로가 아니라 모든 점괘에서 그렇게 나온다면? 우리 이모들은 사주나 신점을 종종 보러가는데, 하필이면 내 미래까지 봐주곤 한다. 거기서도 말한다. 35살 전까지는 꿈도 꾸지 말라고. 다시 말하지만, 한 군데에서 그런 소리를 한 게 아니다. 사실 안해도 사는데 별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고, 로망스라는 표현에 아주 경기를 일으키는 사람이다. 그렇지만 정말 궁금한 것이다. 온 주변 사람들이 다 하는데, 심지어 절대 안 할 것만 같은 사람도 하는데, 학교 커뮤니티에서는 맨날 이별 곡소리가 나는 판에, 나는 아니다. 그러니 왠지 홀로 뒤쳐진 것만 같다. 어딘가 결손된 것만 같다. 또, 먼저 맞는 매가 낫다고. 미리 겪어보지 않으면 나중에 쇠빠지게 고생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이다. - ama 게시판에서 갑자기 연애 이야기가 나오기에.. 생각나서 써봤습니다ㅎㅎ 7
이 게시판에 등록된 죽음의다섯손가락님의 최근 게시물 |
일단 사람 보는 눈은 연애 보다도 훨씬 총체적인 경험을 통해서 생겨난다고 보고, 좋은 사람이라는 잣대가 연애 대상과 아닌 사람에게 달리 적용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더구나 저 말대로라면 첫 연애는 거의 반드시 실패해야 하는데 첫 사랑(연애)과 오래오래 행복하게 지내는 사람도 많잖습니까 ? 게다가 저 말이 함의하고 있는, 내가 줄곧 만나왔던 연애 상대들이 마지막 연애 상대를 만나기 위해 거쳐가는 관문(또는 경험치)로 간주하는 데에 반대합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다만 뭐랄까, 연애를 하면서 인간관계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힘들어하는(또 극복하는) 친구들을 보면서.. 나중에 이런 일을 내가 견딜 수 있을까? 라는 무서움이 들 때가 있어요.
"왠지 홀로 뒤쳐진 것만 같다. 어딘가 결손된 것만 같다"의 감각 저도 한때 많이 느꼈어요. 연애에 대한 욕구가 진짜 내 욕구인지 어떤 외부적 압력에 적응/대응하기 위한 것인지 스스로도 잘 모르겠었고. 어떻게저떻게 첫 연애를 시작하고 만나다가 헤어지고 나니 연인이라는 독특한 친밀성의 관계가 없는 상태가 힘들어지긴 하더라고요. 예전에는 몰랐던 외로움을 알게 되었달까. 어차피 닝겐 결핍의 동물인데 괜히 결핍 하나 더 늘려버렸달까. 하지만 그건 또 그 관계에서 예전에 느껴 보지 못한 어떤 충일감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겠져. 하여간 연애가 어떤 지상과제, 지상명령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본문에 100퍼센트 동감하네요 ㅋㅋ.
찐따같던 고등학교 동창놈들도 예쁜 여자 잘만 사귀고 행복하게 살고, 주변에선 연애에 안달나서 안하면 죽을것처럼 구는데, 저는 누군갈 열정적으로 좋아해본적도 없고, 호감이 생길 뻔하다가도 이미 애인이 있다던지, 교류가 적어 어느샌가 시큰둥해져버린다던지..
먼저 고백해오는 여성분들이랑도 별 감정을 못느끼다보니 제가 다 거절했어요. 자연스레 혼자로 쭉 지내게 되었는데
주변에서 하도 연애 이야기만 해대니 연애란걸 하고나면 진짜 뭔가가 달라지는건지. 그게 정말 할만한 가치가 있는건지 궁금하고.. 근데 해답을 알려면 일단 해봐야하는건데 ㅋㅋ 하는것도 맘대로 되는것도 아니고..
찐따같던 고등학교 동창놈들도 예쁜 여자 잘만 사귀고 행복하게 살고, 주변에선 연애에 안달나서 안하면 죽을것처럼 구는데, 저는 누군갈 열정적으로 좋아해본적도 없고, 호감이 생길 뻔하다가도 이미 애인이 있다던지, 교류가 적어 어느샌가 시큰둥해져버린다던지..
먼저 고백해오는 여성분들이랑도 별 감정을 못느끼다보니 제가 다 거절했어요. 자연스레 혼자로 쭉 지내게 되었는데
주변에서 하도 연애 이야기만 해대니 연애란걸 하고나면 진짜 뭔가가 달라지는건지. 그게 정말 할만한 가치가 있는건지 궁금하고.. 근데 해답을 알려면 일단 해봐야하는건데 ㅋㅋ 하는것도 맘대로 되는것도 아니고..
고백 받는다고 꼭 좋은 것도 아니더라구요. 원래 처음부터 좋아하는 경우가 드물다, 만나다보면 좋아지는 마음이 커지는거다 라고 주변에서 하도 부추겨서 고백 수락하고 사귀긴 했는데, 너무나도 고통스러웠어요.. 은연중에 튀어나오는 무심함에 그 애도 상처를 받고, 저는 저대로 상처주는 게 미안하고 죄책감이 들고.. 그래서 얼마 못가고 정리했어요.
주변에선 다들 원래 그러는거라고, 만나가면서 마음을 키워가는거라고 하는데.. 사실 맞는말이긴 해요. 처음부터 10년지기 친구같은 관계의 깊이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그런 깊이를 만들어나가... 더 보기
주변에선 다들 원래 그러는거라고, 만나가면서 마음을 키워가는거라고 하는데.. 사실 맞는말이긴 해요. 처음부터 10년지기 친구같은 관계의 깊이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그런 깊이를 만들어나가... 더 보기
고백 받는다고 꼭 좋은 것도 아니더라구요. 원래 처음부터 좋아하는 경우가 드물다, 만나다보면 좋아지는 마음이 커지는거다 라고 주변에서 하도 부추겨서 고백 수락하고 사귀긴 했는데, 너무나도 고통스러웠어요.. 은연중에 튀어나오는 무심함에 그 애도 상처를 받고, 저는 저대로 상처주는 게 미안하고 죄책감이 들고.. 그래서 얼마 못가고 정리했어요.
주변에선 다들 원래 그러는거라고, 만나가면서 마음을 키워가는거라고 하는데.. 사실 맞는말이긴 해요. 처음부터 10년지기 친구같은 관계의 깊이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그런 깊이를 만들어나가는 노력이 너무도 귀찮고, 스트레스받는다면 귀찮지 않을 상대를 만날때까지는 연애를 안하는게 낫다. 라고 혼자 결론내렸습니다.
어찌보면 이 상태가 '반할 사람'을 여태껏 못 만나서 그런것 같기도 하구요. ㅎㅎ 또 한편으로는 정말 태생적으로 이성관계에 큰 가치를 두지않는, 감정이 둔한 것 같기도 하구요..ㅎㅎ
주변에선 다들 원래 그러는거라고, 만나가면서 마음을 키워가는거라고 하는데.. 사실 맞는말이긴 해요. 처음부터 10년지기 친구같은 관계의 깊이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그런 깊이를 만들어나가는 노력이 너무도 귀찮고, 스트레스받는다면 귀찮지 않을 상대를 만날때까지는 연애를 안하는게 낫다. 라고 혼자 결론내렸습니다.
어찌보면 이 상태가 '반할 사람'을 여태껏 못 만나서 그런것 같기도 하구요. ㅎㅎ 또 한편으로는 정말 태생적으로 이성관계에 큰 가치를 두지않는, 감정이 둔한 것 같기도 하구요..ㅎ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