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2/07 16:52:13
Name   죽음의다섯손가락
Subject   나를 연애하게 하라
언젠가 주진우 기자의 강연에 간 적이 있었다. 그 양반이 우리 청춘들에게 강조했던 것은 다름아니라,
사랑이었다. 젊었을 적에 사랑을 꼭 해보라는 것이었다.
비단 그 양반뿐만이 아니었다. 아버지 또한 같은 지론을 갖고 있었다. 대학교 때 연애 한 번 겪어보긴 해야지.
이렇게 여러 사람들이 강조하는 만큼 그 연애라는 경험이 확실히 대단한 것이긴 한가보다, 라고 나는 생각했다.
하지만 아버지, 저는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는 걸요.

15년지기 친구들 다섯과 농담조로 맹세한 적이 있다. 우린 결혼하지 말고 나중에 같이 빌라 구해서 살자.
나만 빼고 모두 연애를 하게 되었다.
또, 좌충우돌하는 소중한 대학 친구들과도 이야기했다. 연애는 무슨, 연애할 시간에 자기계발을 해서, 멋진 인간이 되자.
그 녀석 또한 애인이 생겨버렸다.
그렇게 숱한 친구들에게서 배신을 당하고 나는 여전히 혼자다.
그 녀석들이 애인에 대해 한탄이라도 내놓으면 나는 훌륭한 상담사가 되어 주었다. 사람 사는게 다 그렇고 그런걸. 그사람 참 못 되었네. 서로 대화해보렴. 참을 수 없으면 그만두렴.
하지만 연애도 안 해본 사람이 어떻게 연애에 대해 말할 수 있을까?

연애에 관심없다는 말은 사실 거짓말이다. 사실 관심이 있긴 하다.
단지 그냥 성정이 이렇다. 나같은 사람은 친구와의 약속에 수 번의 다짐과 용기가 필요하다. 명 당 세 시간을 넘기면 그보다 곤혹스러울 수가 없다. 그런데 만약 연애를 한다면 일주일에 무려 한 번을, 그것도 긴 시간을 들여서 한 사람을 상대해야 한다. 생각만 해도 엄청나군.
물론 누군가를 엄청 좋아한다면 기꺼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런데 그렇게 엄청나게 좋아한다는게 무슨 느낌인지 모르겠다.
내가 여태까지 느낀 좋아함이라는 감정은, '와우, 어쩜 저렇게 기가 막힐 수가 있지!'같은 것이다. 그러니까, 고등학교 시절에 선생님을 좋아하는 그 정도의 느낌이다.
그러니까 동년배나 동기들에게 그런 감정이 들 때, 굳이 안달내기엔 모양새가 웃긴 것이다.
동기 중에서 그 정도의 감정이 느껴졌단 상대는 딱 두어 명이었다. 그런데 이미 애인이 있길래, 나는 좋은 친구로 남았다.
비단 그 양반뿐만 아니라, 내가 속한 집단의 이성들은 귀신같이 이미 애인이 있었다.
그래서 나는 그들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주었다.

친구들을 만날 때면 늘 재미로 타로를 보곤 하는데, 아이들은 하나같이 '연애운'을 본다.
그만큼 이들은 정력적이다. 나도 반강제적으로 딱 한 번 보았다.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
물론 딱 한 번만 그런 결과가 나온다면 웃어넘길 수 있다. 하지만 타로가 아니라 모든 점괘에서 그렇게 나온다면?
우리 이모들은 사주나 신점을 종종 보러가는데, 하필이면 내 미래까지 봐주곤 한다.
거기서도 말한다.
35살 전까지는 꿈도 꾸지 말라고.
다시 말하지만, 한 군데에서 그런 소리를 한 게 아니다.

사실 안해도 사는데 별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고, 로망스라는 표현에 아주 경기를 일으키는 사람이다.
그렇지만 정말 궁금한 것이다.
온 주변 사람들이 다 하는데, 심지어 절대 안 할 것만 같은 사람도 하는데, 학교 커뮤니티에서는 맨날 이별 곡소리가 나는 판에,
나는 아니다.
그러니 왠지 홀로 뒤쳐진 것만 같다. 어딘가 결손된 것만 같다.
또, 먼저 맞는 매가 낫다고. 미리 겪어보지 않으면 나중에 쇠빠지게 고생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이다.


-


ama 게시판에서 갑자기 연애 이야기가 나오기에..
생각나서 써봤습니다ㅎㅎ



7
  • 춫천
이 게시판에 등록된 죽음의다섯손가락님의 최근 게시물


나방맨
주제에 맞는 이야기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는 적어도 연애 많이 해봐야 사람 보는 눈 생긴다는 말은 그냥 100% 헛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아 왜용?
일단 사람 보는 눈은 연애 보다도 훨씬 총체적인 경험을 통해서 생겨난다고 보고, 좋은 사람이라는 잣대가 연애 대상과 아닌 사람에게 달리 적용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더구나 저 말대로라면 첫 연애는 거의 반드시 실패해야 하는데 첫 사랑(연애)과 오래오래 행복하게 지내는 사람도 많잖습니까 ? 게다가 저 말이 함의하고 있는, 내가 줄곧 만나왔던 연애 상대들이 마지막 연애 상대를 만나기 위해 거쳐가는 관문(또는 경험치)로 간주하는 데에 반대합니다
8
마르코폴로
그것은 생길 수도 안 생길 수도 있습니다.
4
죽음의다섯손가락
저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다만 뭐랄까, 연애를 하면서 인간관계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힘들어하는(또 극복하는) 친구들을 보면서.. 나중에 이런 일을 내가 견딜 수 있을까? 라는 무서움이 들 때가 있어요.
1
발타자르
"왠지 홀로 뒤쳐진 것만 같다. 어딘가 결손된 것만 같다"의 감각 저도 한때 많이 느꼈어요. 연애에 대한 욕구가 진짜 내 욕구인지 어떤 외부적 압력에 적응/대응하기 위한 것인지 스스로도 잘 모르겠었고. 어떻게저떻게 첫 연애를 시작하고 만나다가 헤어지고 나니 연인이라는 독특한 친밀성의 관계가 없는 상태가 힘들어지긴 하더라고요. 예전에는 몰랐던 외로움을 알게 되었달까. 어차피 닝겐 결핍의 동물인데 괜히 결핍 하나 더 늘려버렸달까. 하지만 그건 또 그 관계에서 예전에 느껴 보지 못한 어떤 충일감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겠져. 하여간 연애가 어떤 지상과제, 지상명령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7
죽음의다섯손가락
사실 결손된것 같다는 표현은 며칠 전에 학교 커뮤니티에서 '이 나이 때 되도록 연애/첫경험 못해봤으면 문제있다'는 글을 보고 느낀 점을 쓴 것이에요(ㅠㅠㅠㅠ). 지금도 충분히 제 삶에 만족해왔는데, 타인이 절 그렇게 여길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좀 슬프더라구요. 그 말이 옳건 그르건 간에요 ㅎㅎ

일생에 두어 번의 기회는 있다고 하니 느긋하게 제 삶에 집중하다 보면은 언젠가 기회가 오겠져..!
알료사
35세 이후의 연애도 괜찮아요. 오히려 젊어서는 절대 느끼지 못할 것들을 느낄 수 있습니다.
죽음의다섯손가락
존버하면, 언젠가 떡상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연애 주가도요!
벼랑꽃
본문에 100퍼센트 동감하네요 ㅋㅋ.
찐따같던 고등학교 동창놈들도 예쁜 여자 잘만 사귀고 행복하게 살고, 주변에선 연애에 안달나서 안하면 죽을것처럼 구는데, 저는 누군갈 열정적으로 좋아해본적도 없고, 호감이 생길 뻔하다가도 이미 애인이 있다던지, 교류가 적어 어느샌가 시큰둥해져버린다던지..
먼저 고백해오는 여성분들이랑도 별 감정을 못느끼다보니 제가 다 거절했어요. 자연스레 혼자로 쭉 지내게 되었는데
주변에서 하도 연애 이야기만 해대니 연애란걸 하고나면 진짜 뭔가가 달라지는건지. 그게 정말 할만한 가치가 있는건지 궁금하고.. 근데 해답을 알려면 일단 해봐야하는건데 ㅋㅋ 하는것도 맘대로 되는것도 아니고..
1
죽음의다섯손가락
저도 궁금한게.. 지금 이 상태가 '반할 사람'을 여태껏 못 만나서 그런건지.. 아니면 태생적으로(철벽남녀? 무성애자?) 이런 인간인건지..
하도 주변에서 연애 연애 하니까 해보고 싶긴 한데, 그렇다고 또 노력하자니 귀찮고..
그래서 쭉 이 상태에요 ㅋㅋ
댓글 격공이에요. 단 저는 고백은 받아본 적이..크흡...
벼랑꽃
고백 받는다고 꼭 좋은 것도 아니더라구요. 원래 처음부터 좋아하는 경우가 드물다, 만나다보면 좋아지는 마음이 커지는거다 라고 주변에서 하도 부추겨서 고백 수락하고 사귀긴 했는데, 너무나도 고통스러웠어요.. 은연중에 튀어나오는 무심함에 그 애도 상처를 받고, 저는 저대로 상처주는 게 미안하고 죄책감이 들고.. 그래서 얼마 못가고 정리했어요.
주변에선 다들 원래 그러는거라고, 만나가면서 마음을 키워가는거라고 하는데.. 사실 맞는말이긴 해요. 처음부터 10년지기 친구같은 관계의 깊이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그런 깊이를 만들어나가... 더 보기
고백 받는다고 꼭 좋은 것도 아니더라구요. 원래 처음부터 좋아하는 경우가 드물다, 만나다보면 좋아지는 마음이 커지는거다 라고 주변에서 하도 부추겨서 고백 수락하고 사귀긴 했는데, 너무나도 고통스러웠어요.. 은연중에 튀어나오는 무심함에 그 애도 상처를 받고, 저는 저대로 상처주는 게 미안하고 죄책감이 들고.. 그래서 얼마 못가고 정리했어요.
주변에선 다들 원래 그러는거라고, 만나가면서 마음을 키워가는거라고 하는데.. 사실 맞는말이긴 해요. 처음부터 10년지기 친구같은 관계의 깊이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그런 깊이를 만들어나가는 노력이 너무도 귀찮고, 스트레스받는다면 귀찮지 않을 상대를 만날때까지는 연애를 안하는게 낫다. 라고 혼자 결론내렸습니다.
어찌보면 이 상태가 '반할 사람'을 여태껏 못 만나서 그런것 같기도 하구요. ㅎㅎ 또 한편으로는 정말 태생적으로 이성관계에 큰 가치를 두지않는, 감정이 둔한 것 같기도 하구요..ㅎㅎ
파란아게하
일기일회
연애는 딱 한 번만 기가 막히게 성공하면 됩니다
세상 모든 사람과 연애할 필요도
모두의 호감을 얻을 필요도 없어요
담에 좋은 사람과 기회가 왔을 때 놓치지 마세요
2
죽음의다섯손가락
좋아요를 누르고 싶지만 본인 글에 달린 댓글엔 좋아요가 안 되네여.
감사합니다. 저도 언제 올 지 모를 낭군님에게 성공적인 연애 대상이 되도록 노력해야겠어여 :D
사랑하는홍차에게수정됨
어떤 커뮤인지는 모르겠지만 원래 많은 대학교 기반 커뮤라는 곳들은 그렇게 틀린소리를 단정적이고 오만하게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상처받지 마세요.ㅎㅎ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물론 있겠지만 그런 사람들한테 평가질당해봤자 내 인생이랑 1도 관계없으니...!

물론 잘 아시겠지만용 저도 연애 막상 하려면 못하겠더라구요.
즐겁게
그런 마음에 초조하게 하더니 똥차만났... 똑바로 사는 것보다 솔직하게 사는게 중요하데요. 있는 그대로 살아가다 맘이 맞으면 땡큐고, 없으면 마이웨이 아니겠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22 일상/생각주말맞이 대구 아울렛 투어 후기 2 쉬군 18/03/11 5036 0
7218 일상/생각너무 꿈나라(?)에서만 사는게 나쁜걸까요...? 12 덕후나이트 18/03/09 4493 0
7217 일상/생각위수령관련 뉴스를 보니 무섭습니다. 10 성공의날을기쁘게 18/03/09 5597 0
7207 일상/생각고백 9 알료사 18/03/08 5470 3
7201 일상/생각정의의 이름으로 널! 용서하지않겠다! 32 얼그레이 18/03/06 6294 40
7200 일상/생각트라우마 인폼드 케어 - JTBC 인터뷰 유감 12 Liebe 18/03/06 6160 14
7199 일상/생각블루투스, 너마저...! 6 No.42 18/03/06 5067 3
7196 일상/생각좋은 산책로를 찾은 것 같습니다 3 빨간까마귀 18/03/05 4293 3
7195 일상/생각다들 좀 더 즐거웠으면 좋겠다. 8 판다뫙난 18/03/05 5293 16
7175 일상/생각#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38 새벽3시 18/02/28 7327 45
7168 일상/생각순백의 피해자 2 라밤바바밤바 18/02/27 5516 12
7160 일상/생각대표 '직함'을 맡은 친구의 상황을 보며... 23 메존일각 18/02/25 5227 0
7148 일상/생각따듯한 난제 9 Homo_Skeptic 18/02/23 4808 31
7146 일상/생각가상화폐에 대한 개발자의 단상 집에가고파요 18/02/23 4049 1
7141 일상/생각사라진 돈봉투 4 알료사 18/02/21 5227 20
7135 일상/생각'여권 태워버려' 처럼 당사자가 싫어하는 호감 표현, 괜찮은가요? 8 라밤바바밤바 18/02/18 6065 1
7134 일상/생각나의 커피 컵 이야기 15 Liebe 18/02/18 4580 2
7125 일상/생각어제, 오늘 국도로 부산-대구를 왕복한 이야기 5 맥주만땅 18/02/16 3667 0
7092 일상/생각금강산 관광 철수 사정 이야기 10 Toby 18/02/12 5467 0
7089 일상/생각힐링이고 싶었던 제주 여행기(中) 5 소라게 18/02/11 5443 16
7080 일상/생각그는 너무 재밌다고 했다. 8 발타자르 18/02/10 4241 4
7074 일상/생각자아비판 - 커뮤니티의 유혹 7 epic 18/02/09 4816 17
7064 일상/생각나를 연애하게 하라 16 죽음의다섯손가락 18/02/07 5594 7
7047 일상/생각노력에 대한 단상. 3 epic 18/02/04 4142 4
7044 일상/생각구국의 강철대오 16 tannenbaum 18/02/04 5642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