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01/03 21:39:27 |
Name | 은우 |
Subject | 1987, 그렇게 현실은 역사가 된다. (스포) |
전 어립니다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광주에서 90년대 초반에 데모를 하다가 데모를 막으러 간 사람의 아들이니까요. 아버지는 제가 어릴 때부터 저에게 얘기했습니다. 자신이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떤 이유 때문에 그랬었는지. "경찰이 사람을 죽였어" "왜?" "고문하다가" "왜 고문한건데?" 그렇게 저는 근현대사를 아버지 밑에서 배웠습니다. 시간은 조금 더 흘러 제가 학교에서 국사를 배우게 될 때 제가 처음 폈던 학교 역사 교과서의 근현대사 부분을 펼쳤습니다. 두 장. 1945년 광복부터 2000년까지의 역사는 고작 두 장이였습니다. 수없이 두꺼운 과거사에 비해 한없이 초라한 분량입니다. 불과 30년 전에 세상을 바꾸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그렇게 작아져갑니다. 그 작은 역사조차도 배우기 싫던 수많은 친구들은 숫자를 외웁니다. 12.12 5.18 10.26 4.19 6.29 아무도 이 숫자가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지 않습니다. 그저 외울 뿐. 아무런 순서도 없이. 그 숫자는 그저 역사의 한 조각일뿐입니다. 기억해야 할 역사가 그저 책에서 봤던 기억의 조각으로밖에 남질 않습니다.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과 이한열 열사의 죽음은 그저 우리에겐 일련의 역사가 아닌 책의 한 단락으로만 보여집니다. 그렇게 잊혀져갑니다. 그런 역사를 이 영화는 절묘하게 편집해 드라마틱한 이야기로 구성해냅니다. 강동원이 처음 나왔을 떄 의문을 가졌습니다. 저 캐릭터가 여기서 과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극이 진행되면서 점점 강동원이 연기한 캐릭터에 대한 의구심이 커져갑니다. 도대체 저 캐릭터는 이 영화에서 어떤 의미일까. 2시간을 연달아 달려오던 영화는 그떄 저에게 보여줍니다. 그 순간 꺠닫습니다. 사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이한열 열사의 죽음은 서로 떨어지지 못하는, 떨어질 수 없는 동일한 역사의 부분에 위치한다는 걸. 따로 기억했지만 원래 하나였다는 걸 김태리가 묻습니다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어요?" 2017년의 저는 비록 그 때를 산 건 아니지만 최근의 역사를 보면서 마음속으로 대답해 줄 수 있었습니다. "그거라도 해야 세상이 바뀐다고" + 올해 최고의 영화였습니다. 9
이 게시판에 등록된 은우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