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10/24 18:10:28
Name   마녀
Subject   미역국

저희 시아버지와 친정아버지의 생신은 같은 달입니다.
친정아버지 생신 후 4일 후가 시아버지의 생신이이세요.

약간 시작하는 글과는 조금 벗어나는 주제지만,
전 요리를 그렇게 잘 하는 편이 아닙니다.
사실 어머니가 안 계셔서 일찍부터 집안 살림을 해오다보니
일반적인 집에서 먹는 여러 반찬이나 국 찌개같은 건 모두 할 수 있는 편이긴 하지만 요리란 틀 전체를 두고 보면
저보다 남편이 적어도 3수는 위라고 생각합니다.

남편은 요리가 취미수준을 살짝 벗어나 있다고 봐요.
시어머니 요리 솜씨가 어마어마하시기도 하고,
부모님 반대에 물러섰지만, 요리사를 하고 싶어해서 독학으로 공부도 꽤나 했다고 하더군요.
어느 식당에서 제가 "이거 맛있어요." 라고 하면 맛을 보고 난 후
꽤나 비슷하게 만들어 준 적도 많으니까요.

여하튼, 친정아버지 생신 때 온 가족이 모이게 됩니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저는 컨디션이 안 좋은 상태였고, 동생은 아이때문에 약간 정신없는 상태였어요.
하고 싶은 요리를 몇 가지 정해두고 시작했는데, 저는 준비작업에 모든 힘을 쏟아부었고,
동생은 역시 아이가 달라붙어 있으니 집중하기가 힘든상황이였어요.

그걸 물끄러미 보고 있던, 남편이
"힘들면 내가 마무리 해줄까요?" 라고 물어보더군요.
저는 사실 별 생각도 없고 자주 음식을 도와주는 남편이라
"네!"
라는 대답이 바로 나왔었어요.

그리고나서 남편은, 전골을 준비하고 전골 육수를 혼자 내고
잡채도 만들고 미역국까지 혼자서 다 마무리를 지었어요.
전부 맛있게 잘 먹고, 화기애애하게 집으로 돌아왔지요.

돌아오는 도중에 남편이 웃으면서 말하더군요.

"아, 그러고보니 나 미역국... 우리 부모님께도 안 끓여드렸었는데..."

조금 당황스러웠습니다.
남편이 미역국을 끓인건 최초가 결혼하고 나서 첫 제 생일때였대요.
그 이후로 제 생일마다 미역국을 끓여주고 있었답니다. 그래서 더 생각이 없었어요.
자신의 친 부모님께도 못한걸 장인어른 미역국을 끓인게 조금 걸렸나 봅니다.
그런 남편에게 무슨말을 해야할지 모르겠더군요.
남편은 "또 다른 아버지니까 괜찮아요." 라고 했지만요.

그래서 이번 시아버지 생신 때 남편이 직접 미역국을 끓였어요.
시댁에서 끓이면 분명 제대로 못할 테니 저희집에서 끓여서 갔답니다. (저희 집은 시댁이랑 5분 거리에요)
시부모님들께서 무척 좋아하셨는데, 진작에 이렇게 할 걸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앞으로 시아버지 생신 땐, 남편이
시어머니 생신 땐 제가 음식을 준비하기로 했어요.














13
  • 애처가는 추천!
  • 춫천


소맥술사
와 뭐죠 이 훈훈함은? ㅋ
기쁨평안
행복한 가정 꾸려가세요~
아니오
아..아..아...남편분의 요리솜씨보다, 드라마에서 뛰쳐나온것만 같은 저 다정한 말투가 아주 그냥~~

보통 내가 할테니까 저리 가서 쉬어, 뭐 이 정도 할만한데,
내가 마무리 할까요? 라니요.
에릭남 남편버전인걸요.
Homo_Skeptic
상호존칭쓰는 부부 멋져요!
알료사
달달한 존댓말... ㅎ
은채아빠
크으... 요리 잘하는 남편 정말 멋져요..
전 라면도 맛없게 끓이는 안티요리마스터라..
달달한 글 잘 읽었습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74 일상/생각미국 고등학생 축구 진로문제 21 Liebe 17/11/11 4232 5
6571 일상/생각홀로 견디는 당신에게 14 레이드 17/11/10 4833 28
6560 일상/생각생애 첫차 뽑은 이야기(기아 Niro, 2000km주행) 10 danielbard 17/11/09 8202 11
6553 일상/생각강적을 만났다 - 후배랑 연 끊은 썰 21 tannenbaum 17/11/08 5207 2
6547 일상/생각사랑의 방식 4 와인하우스 17/11/07 4935 5
6542 일상/생각화장실에 갇혔던 이야기. 10 프렉 17/11/06 5441 7
6539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7편 23 droysen 17/11/05 6950 28
6538 일상/생각무기력한 하루하루 13 조선왕조씰룩 17/11/05 4244 0
6529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6편 8 droysen 17/11/04 5043 10
6524 일상/생각외국인 선생님과의 이야기. 2 우분투 17/11/04 4198 9
6521 일상/생각아주 작은 할아버지 20 소라게 17/11/03 5239 34
6519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5편 14 droysen 17/11/03 5556 15
6518 일상/생각직장 동료가 원수가 되었습니다. 22 엘멜 17/11/03 5283 0
6515 일상/생각요즘 우리나라 네티즌은 어떤가? 25 WatasiwaGrass 17/11/03 4337 0
6510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4편 16 droysen 17/11/02 5524 7
6508 일상/생각아이돌에 대한 잡생각 30 다람쥐 17/11/02 6179 13
6505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3편 35 droysen 17/11/01 6227 8
6501 일상/생각문득 떠오른 고등학교 시절의 단상 13 쉬군 17/11/01 4128 3
6499 일상/생각할로윈이라 생각난 사탕 이야기 6 다시갑시다 17/10/31 4269 3
6495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2편 40 droysen 17/10/31 14436 15
6493 일상/생각[뻘글] 디테일에 관하여 23 *alchemist* 17/10/31 6019 5
6491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1편 18 droysen 17/10/30 6340 26
6486 일상/생각낙오의 경험 10 二ッキョウ니쿄 17/10/30 4451 11
6485 일상/생각'무빠' 대입 설명서 18 CONTAXS2 17/10/30 4655 1
6483 일상/생각알고 있는 것, 알려줘도 되는 것 1 Broccoli 17/10/30 3940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