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3/27 07:20:48
Name   틸트
Subject   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나무와 덤불의 부피에 밀려 골목으로 기울어진 옆집의 벽은 어느 날 풀썩 쓰러져도 이상하지 않을 것 같았다. 동네 주민 몇이 항의했지만 옆집의 노인은 벽을 수리하지 않았다. 벽이 무너지는 게 먼저일까 아니면 그가 무너지는 게 먼저일까. 그런 생각을 하기에 나는 너무 어렸다. 지금은 그런 생각을 하기에 너무 늙었다. 옆집 벽이 어떻게 생겼는지 떠올려보려고 하지만 기억나지 않는다. 옆집에 누가 사는지 나는 알지 못한다.

동네 꼬맹이었던 나는 동네 꼬맹이들과 가끔 벽을 밀어댔다. 동네에서 유행하던 장난 중 하나였다. 기울어진 벽은 꼬맹이 몇 명이 미는 힘에도 흔들거리고는 했다. 니들 그러다 벽에 깔리면 죽어, 라고 동네 어르신들이 말했던 것 같다. 벽을 밀고 있자면 벽에 몸을 기댄 장미의 빠알간 대가리가 너울거렸다. 언젠가 그 집에 들어간 나는 너무 무서워서 오줌을 지릴 뻔했다. 장미며 목련이 흐드러진 아래로 새파란 이파리들이 빼곡했고 빼곡한 이파리들은 햇빛을 거의 완전히 차단하고 있었다. 한낮의 마당은 황혼처럼 어두웠다. 나무가지 같은 얼굴색을 한 옆집의 노인은 기괴한 표정을 지었다. 그 장면들이 생생히 기억난다는 건 거짓말이다. 나는 그가 웃었는지 혹은 얼굴을 찡그렸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다만 그가 웃어도 무서웠을 것이며 그가 얼굴을 찡그려도 무서웠을 것이고 나는 그의 얼굴을 무섭고 기괴하다고 기억한다.

노인의 이름은 문학. 이었다. 김문학. 글 문자에 배울 학. 어린 나도 읽을 수 있던 한자로 된 명패가 그의 집 앞에 붙어있었다. 동네 노인들은 그가 글줄 깨나 배운 사람이었다고 말하고는 했다. 골목의 한쪽 끝은 글줄 좀 배웠다는 김문학 노인이 사는 집이었고 골목의 한쪽 끝은 거지같은 동네에서 그나마 돈 좀 쓰고 힘 좀 쓴다는 사람들이 가던 보신탕집이었다. 세계의 한쪽 끝과 다른 한쪽 끝의 명확한 대비. 지금 생각해보면 나름대로 흥미로운 혹은 뻔한 대비인 것 같아 보인다. 골목이 우주를. 우주가 골목을.
노인들은 약간의 경멸과 안쓰러움을 담아서 그가 글줄 깨나 배운 사람이었다고 말했다. 모를 일이다. 그가 실패한 관료인지, 문인인지, 실패한 사업가인지, 실패한 혁명가인지. 그가 실패한 사람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글줄 깨나 배운 사람, 이라는 표현은 실패한 사람을 칭할 때만 사용되는 단어가 아닌가. 기괴한 집에서 기괴한 표정을 짓고 사는 사람이란 역시 어딘가 실패한 사람이라는 암시를 준다. 하지만 장미나 목련이 흐드러진 마당이 딸린 집에서 어딘가 실패한 것 같은 인생을 찬찬히 곰씹는 노인 정도면 나쁘지 않은 삶일 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는 어딘가에 실패했기에 그런 부러운 삶을 살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물론 나는 그의 삶을 모른다. 하지만 나는 그의 죽음을 기억한다.

어느 날 그가 죽었다. 골목이 끝나고 다른 골목으로 이어지는 자리에 추어탕집이 있었다. 김문학 씨는 아무렇게나 차를 댄 추어탕집의 어느 손님에게 분개했다. 하루에 서너 번 일어나는 지긋지긋한 드잡이가 또 벌어졌고 그러다가 그가 쓰러졌다. 그리고 그는 그렇게 가버렸다. So it goes. 어쩌면 별 일 아니었다. 무너질 벽은 무너지고 갈 사람은 간다. 정말 별 일 없이 그의 죽음이 정리되었다. 그의 집 명패가 바뀌었지만 내가 읽을 수 없는 복잡한 한자였기에 김문학 씨의 아들 이름을 나는 알지 못한다. 다만 나는 김문학 씨와 드잡이를 한 사람이 탄 차를 기억한다. 기다란 지프였다. 아니, 요즘 말로는 SUV겠구나. 그때는 지프차라고 불렀다. 아무튼 그는 그렇게 무너졌다. 일종의 자연사였다. 신문에 나오지도 않고 경찰도 더는 오지 않았다. 자연사는 흔한 일이다. 반대편 옆집의 아저씨는 아줌마를 찔러 죽였는데 역시 그 시절의 그 동네에서는 일종의 자연사였던 것 같다. 그는 그렇게 가버렸다. 오래지 않아 추어탕집은 망했고, 보신탕집은 그 전에 망했다. 중요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사람은 죽고 추어탕집은 망한다. 그리고 때가 되면 장미와 목력이 흐드러진다. 담장 너머로 새빨간 성기를 까딱거리던 그 장미들은 올해에도 피어나겠지. 벽은 지금쯤 무너졌을까?

추어탕이 먹고 싶은데, 라는 생각을 하다가 옛 동네가 떠올랐고 그러다 김문학씨가 떠올랐다. 목련도 장미도 아직 피지 않은 계절이지만. 조금만 더 기다리면 목련도 장미도 피어날 계절이지만. 그런 건 아무래도 좋은 시절이지만. 그래도 김문학씨가 떠올랐고, 쓴다.



-

저녁부터 이유없이 추어탕이 땡기는데 배는 고프고 가끔 시켜먹는 24시간 중국집은 업장 사정으로 배달을 안 하고 밥을 해먹기는 귀찮고 덕분에 막걸리로 배채우고 자려다가 잠이 안와서 손과 이미지가 떠오르는 대로 씁니다. 픽션입니다.



8
  • 네.


어렸을적에 흔들거리는 담을 흔들고 놀던 친구놈이 스치듯 깔려서 발에 몇 달 깁스 했던 기억이 나네요 ㅋ
박완서 할머니가 쓴 수필 같네요.
열대어
글을 읽고 나니까 오늘의 날씨와 콤비네이션이 되어서 기형도 시인의 시가 읽고 싶어지네요.
오늘은 좀 이르게 퇴근해서 기형도의 시를 읽어야겠습니다.
Beer Inside
그렇게 문학이 사망하셨군요.
*alchemist*
목련은 달려있을 땐 참 예뻐요...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99 창작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5 틸트 17/03/27 3934 8
5275 창작사생연 - 만남 2 살찐론도 17/03/23 3211 2
5265 창작어쩌면 사실일지도 모를 글 10 열대어 17/03/22 3475 6
5235 창작여지를 남기며 6 아침 17/03/19 3339 3
5202 창작불결한 글. (1) 5 세인트 17/03/16 3398 3
5200 창작[소설] 홍차의 연인 (5) - 완결 29 새벽3시 17/03/16 3767 11
5184 창작고백의 추억(2) 15 니누얼 17/03/14 4442 6
5183 창작당신의 쪽지를 기다리며 하얗게 밤을 새다 29 열대어 17/03/14 4016 6
5182 창작고백의 추억(1) 8 니누얼 17/03/14 4253 9
5173 창작위험한 그녀 20 열대어 17/03/13 3746 7
5171 창작피스 카페 (3) 完 6 선비 17/03/13 4650 7
5168 창작너의 기억.2 11 사나운나비 17/03/13 3434 8
5163 창작피스 카페 (2) 8 선비 17/03/12 4663 3
5144 창작[소설] 홍차의 연인 (4) 37 새벽3시 17/03/11 3854 10
5141 창작피스 카페 (1) 9 선비 17/03/10 4015 7
5129 창작[소설] 홍차의 연인 (3) 55 새벽3시 17/03/09 5314 10
5124 창작너의 기억. 35 사나운나비 17/03/09 4638 14
5120 창작이 내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26 열대어 17/03/09 3811 6
5109 창작[소설] 홍차의 연인 (2) 62 새벽3시 17/03/08 4313 16
5101 창작타바코 8 선비 17/03/07 5429 9
5095 창작[소설] 홍차의 연인 (1) 80 새벽3시 17/03/07 5077 19
5057 창작오늘이 아닌 날의 이야기 (6) 12 새벽3시 17/03/03 3299 6
5054 창작저기요, 제가요 26 열대어 17/03/02 3959 6
5007 창작눈 길이 쓰다듬는 사이 2 二ッキョウ니쿄 17/02/25 3060 0
5001 창작잡채와 당신 16 열대어 17/02/25 3876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