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3/23 01:39:23
Name   알료사
Subject   깨철이
하아... 타임라인 글자수 너무 압박이네요 ㅜㅠ 1000자일때는 이정도는 아니었던거 같은데 100자 차이가 이렇게 컸었나 싶습니다... ㅠㅠ

역시나 영양가 1도 없는 타임라인용 잡상입니다...

.
.


가끔 제가 이문열의 소설 '익명의 섬'에 나오는 깨철이가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기혼자들도 많은 여초직장에서 이 여자 저 여자들과 약간 애매하다 싶을 정도로 친하게 지내는 세월을 몇 년씩이나 보내고 있는데

분명 여직원들끼리의 자리에서 제 이야기도 나올 것이고, 저의 지조없는? 사교행태에 대해 좋게 보고 있을 턱이 없는데

이상하게 또 우연히 개인적인 만남이 있게 되면 야릇한 상황이 발생한단 말입니다..

남자들이 흔히 분방한 여자?를 두고 하는 질 나쁜 농담 - 쟤랑 못사겨보면 남자도 아니다 - 라는것이 역으로 시전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망상도 들고..

제가 모두가 이용? 할 수 있는 공공재 같은 것이 된거같기도 하고 -_-  그렇다고 제가 그녀들 중 누구랑 사귄 적은 단 한번도 없습니다..

한번은 어떤 기혼자분께서 저에게 무척 밝은 표정으로 무언가를 이야기하고 있을 때 저는 혼자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저분은 저 사랑스러운 표정을 자신의 남편 앞에서 얼마나 자주 지을까? 아마 꽤 드물거 같다... 결혼을 하는 여러 이유 중에 서로 따뜻하게 대해 주며 감성적인 포근함을 느끼는 것도 포함되어 있을 텐데 모르긴 해도 저분의 남편보다 내가 저분에게 그런 부분에서 더 혜택을 받는 것 같다... 더군다나 나는 저분에게 무얼 해주어야 할 의무도 없다... 이렇게 보면 결혼 안하는게 너무나 개이득인 것 아닌가...'

이런 적도 있습니다. 역시 어떤 기혼자분께서 일대일은 아니지만 어쨌든 저를 포함한 일행과 저녁 술자리를 잡았는데 남편분께서 요새 너무 귀가 늦는것 아니냐고 오늘은 일찍 들어오라고 했답니다. 그런데 그분은 화가 머리 꼭대기까지 치솟아 몇십분간 전화로 분노의 사자후를 쏟아붓고는 원래 약속시간에 나왔습니다. 어쩐지 그날 술자리가 파한 후 배웅을 제가 하게 되었습니다.. 좀더 일찍 들어가시는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말씀드렸더니 내가 그 사람한테 구속당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내 귀가시간은 내가 알아서 한다고 딱 잘라 말하더라구요..

내일 모래 결혼식인 새신부와 막차시간 직전까지 둘이서 술을 먹질 않나..  이분은 며칠전에 술자리 파한후 아파트 현관 앞까지 바래다주고 왔는데 한시간쯤 지나서 어디야? 들어갔어? 라고 톡이 오더군요.. 잠든척 쌩까고 다음날 답장했습니다.. 기절하듯 잠들어서 못봤다고.. 그랬더니 자기도 잠들었다고 하더군요..  그러셨습니까.. 한시간 깨어 있다가 어디냐고 물어보고 잠드셨습니까.. 제가 안들어갔으면 라면이라도 대접하시려 했습니까..  언젠가 이런 말을 하더군요.. 일적인 부분에서 생기는 고민들은 남편에게 말해도 알아 듣지도 못하고 공감하지도 못하고 돌아오는건 형식적인 위로 뿐이다.. 같이 일하는 사람하고 대화하는게 훨씬 의지가 된다.. 라고..


..

요 며칠 타임라인에 올라오는 여성클러분들의 남편 타박? 글을 읽으면서도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분명 사랑해서 결혼했을텐데 서운하고 속상한 일이 있어도 터놓고 말도 못하고 온라인의 익명의(번개 등으로 아는 사람이 있을수도 있지만..) 공간에서 더 편하게 대화하게 되는 그런 심리가..  아마 남녀를 불문하고 대부분의 기혼자들에게 있을 것이고..  그런 막히는 부분이 있는 상태에서 사회생활을 하게 되면, 다른 이성과 대화를 나누고, 그러다가 특정 부분에서 잘 통하는 사람을 만나게 되고, 그 다음부터는 직장 동료라든가 친한 동생이라든가 하는 명분으로 어떤 사교의 통로가 개척되어지는 것이 아닌지..  이렇게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관계가 과연 도덕적으로 심판이 가능한 부분인지..  


뭐 당연히 기혼자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고 그중에 이성도 있을 수 있고 하는걸 제가 괜히 오버해서 생각하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 혼자 생각하기에 자꾸 아슬아슬한 상황이 생기는거 같아 제가 이상한 사람인가 싶기도 하고 제가 의도하고 있는것인가 싶기도 하고 상대가 의도하고 있는것인가 싶기도 하고... 그냥 이도 저도 아무것도 아닌데 헷갈리고 있는 것일수도 있고..

역시 제가 변태이기 때문일까요..


하아... 무슨 이딴 얘기를 하고 있을까요... 티게에는 시한폭탄 기능 없나요... ㅜㅠ  



1
  • 엌ㅋㅋㅋㅋㅋㅋ깨철잌ㅋㅋㅋ


은머리
남편과 소통이 안돼서 바깥으로 나도는 건 바람직하지 않지만 그런 게 아니라면 사랑하는 마음을 베푸는 건 좋잖아요. 사랑하는 마음을 나누면 행복감이 커져요. 구속하지 않고 애정을 쏟는 거죠.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매우 좋다 봐요 킁.
중간에 작은따옴표 속 생각하는 대사가 너무나 19세기 쏘련 소설 문체인 것...
二ッキョウ니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모이라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알료사
ㅋㅋㅋㅋㅋㅋㅋ 지금 보니 정말 그러네요 ㅋㅋㅋㅋ
구밀복검
아...<익명의 섬>은 고1 때 읽었는데, 성애고 이성이고 아무고또 몰랐을 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얼탱이 없더라고요. 특히 섬을 떠나면서 자신의 후임자를 보면서 서술되는 화자의 심경이란 그야말로 정신나간 이문열의 판타지..이게 그닥 유명할 것도 없었고 시일 지나서 묻힌 소설이라 그렇지 요즘 출간되었으면 SNS 광풍 속에 이문열은 책이 아니라 본인 자체가 분서갱유 되었을 수도 -_-;
예... 이문열 작품들 주욱 보고 있으면 여성 캐릭터에 대한 작가의 나이브한 이해에 한숨이 나올 때가 종종 있지요. 변경이라던지, 금시조라던지... 헌데 그중에서도 익명의 섬은 참... 이건 거의 무슨 야겜이나 성인용 상업지에나 나올법한 여성상이라 하도 어이가 없어서 그냥 웃기더라고요 ㅋㅋㅋㅋㅋㅋ
Beer Inside
유명한 문장가들은 다 야설을 썻습니다.

이문열도 야설을 더 가열차게 썻었어야....
차라리 캐릭터도 엉성하고 필력도 엉성하면 독자 입장에서 적당히 영점 조절할 수 있을텐데 캐릭터는 엉성한데 필력은 또 쩌니까 도리어 그쪽으로 이입이 더 안 된다는 게 문제...
Beer Inside
그게 이문열이 여성편력이 두드러지지 않아서 그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레테의 연가' 같은 글을 보면 여성편력이 없는 것 같아보이지는 않았는데......
남자 입장에서 쓴 불륜 이야기 등등 잘 쓴 거 보면 여성 경험이 없는 거 같진 않고 그냥 여자에 별 관심이 없어서 그런듯 ㅋㅋㅋ
알료사
저는 레테의 연가 완전 이문열 본인 이야기로 보고 있습니다.. 화가를 소설가로 바꾸면 너무 있을법한 얘기가 돼버려서 ;; 경험 없이 상상력만으로 쓴거같지 않아요 ;;
알료사
음.. 제 경우는 그럼 어떤가요..? 저도 이상한 판타지를 가지고 있는걸까요? 섹스를 했냐 안했냐 차이만 있지 오히려 얼마나 마음이 통했냐를 따지면 깨철이보다 제가 더 심한거 같은데.. 저는 제 주의의 기혼자 여성분들을 보면 항상 그런걸 느끼거든요.. 이분들에게는 뭔가 갈증이 있다.. 어떤 빈 공간을 누간가가 채워주기를 애타게 바라고 있다.. 그렇게 지내다가 어느 순간 제가 거기에 쏙 들어가는 느낌이 든단 말입니다.. ;; 이거 분서갱유 당해야 할 생각일까요.. ?
음... 사실 그런 해맑음이나 솔직함?을 내보일 수 있는 것도 그만큼 가볍고 쉬운관계이니까 가능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그런 상황에서 상대방을 헷갈리게 하는게 잘하는 건 아니겠지만....
속상하고 어렵고 힘든 관계 속에 쓰이는 노력이 훨 크잖아요..? 얕고 가벼운 관계는 그만큼 얕고 가볍게 쉽게 시시덕대고 거기서 끝이지만 더 깊은 관계속에선 매일 즐겁지 않아도, 그걸 감당해내고 조율하는 노력자체가 사랑일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대외적 친절함/해맑음? 하고 특정관계 속 intimacy는 다를 것 같은데여..
넘나 ... 더 보기
음... 사실 그런 해맑음이나 솔직함?을 내보일 수 있는 것도 그만큼 가볍고 쉬운관계이니까 가능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그런 상황에서 상대방을 헷갈리게 하는게 잘하는 건 아니겠지만....
속상하고 어렵고 힘든 관계 속에 쓰이는 노력이 훨 크잖아요..? 얕고 가벼운 관계는 그만큼 얕고 가볍게 쉽게 시시덕대고 거기서 끝이지만 더 깊은 관계속에선 매일 즐겁지 않아도, 그걸 감당해내고 조율하는 노력자체가 사랑일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대외적 친절함/해맑음? 하고 특정관계 속 intimacy는 다를 것 같은데여..
넘나 돌직구일까요 ㅠㅠ;;; ㅋㅋㅋㅋㅋ
아무튼 ~__~ 뭐 서로 기빨리거나 나쁜(?) 관계만 아니면 좋은 것만 취하고 즐기는게 뭐 나쁜건가 싶어요.
제 생각엔 굳이 죄책감 가지시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다 직장인이고 어른들인데.. 자기 행동에 따르는 consequences는 미리 생각하고 감당해야죠 ~_~
알료사
넘나 변화구... 근데 일단 좋게좋게 생각하려 노력하는 중입니다..
은머리
여러권의 장편으로 구성된 프랑스 소설 <티보가의 사람들> 첫편이 <회색노트>인데 이 책에 등장하는 두 사춘기 소년 자크와 다니엘이 회색노트를 교환하며 우정을 나눠요. 서양사람들 특유의 풍부한 표현력 덕에 거기에 나오는 '아! 나의 사랑하는 친구여'라거나 '친애하는 나의 친구여, 난 널 얼마나 사랑하는지!'와 같은 열정적인 표현들이 전 참 좋았어요. 그래서 여고 때 회색바탕의 노트를 하나 사다가 같은 반은 아니지만 이따금 만나면서 마치 쟤와 나의 영혼은 서로 운명처럼 연결된 것 같아..라고 느낀 그 친구에게 전해... 더 보기
여러권의 장편으로 구성된 프랑스 소설 <티보가의 사람들> 첫편이 <회색노트>인데 이 책에 등장하는 두 사춘기 소년 자크와 다니엘이 회색노트를 교환하며 우정을 나눠요. 서양사람들 특유의 풍부한 표현력 덕에 거기에 나오는 '아! 나의 사랑하는 친구여'라거나 '친애하는 나의 친구여, 난 널 얼마나 사랑하는지!'와 같은 열정적인 표현들이 전 참 좋았어요. 그래서 여고 때 회색바탕의 노트를 하나 사다가 같은 반은 아니지만 이따금 만나면서 마치 쟤와 나의 영혼은 서로 운명처럼 연결된 것 같아..라고 느낀 그 친구에게 전해주었죠. 그 날보다 더 제 심장이 방망이질 친 때는 제 평생에 없었어요.

고흐가 동생 테오와 나눈 편지들에도 마치 연인끼리 속삭이는 듯한 애정이 가득해요. 난 다른 부부들이 아이에 사랑을 쏟고 숭고한 희생을 감당하듯 울엄마를 아기처럼 돌보며 살아야지란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늘 마음뿐이었고 표현을 많이 안 했거든요. 그게 후회가 돼요. 사랑이나 애정 같은 감정들은 친구 사이에서든, 형제사이에서든, 부모사이에서든, 기혼녀와 젊은이 사이에서든 있을 수 있는 거예요. 그걸 가능하게 만드는 건 받아들이는 이가 어떤 이해를 가지고 수용하느냐에 달렸어요. 알료사 님처럼 '내가 변탠가...' 내지는 '이거 비도덕적인 거 아냐 난 흥분되는데...'란 동물적 감각에 매몰되는 순간 깨지는 거예요. 서로가 행복감을 유지하려면 산통을 깨면 안돼요.

사실 우정 같은 애정이든 우정 같은 사랑이든 남녀 사이에선 인간의 본능이 장난처럼 개입하는 경우가 있을 거예요. 그거 글자그대로 본능의 장난이에요. 진지하게 생각하면 안되는. 그걸 일일이 나 스스로 확인하고 비윤리적인 것으로 정의할 필요까진 없는 거예요. 본능을 부정하는 건 존재를 부정하는 걸테죠. 그치만 그걸 끄집어 내지 않는 것 또한 고귀한 거예요. 시치미 떼는 건 경우에 따라 교양있는 태도예요. 그 자체는 영문을 모르는 상대에게는 실은 꽤 기분좋은 일이기도 하졍.

[결론] 의심을 버리고 관심과 애정을 고마워한다~

+) 아 근데 배우자를 불평하며 다가오는 이성은 조심하세요. 건강하지 않아요. 저의 댓글은 저 말임 저.
아...날이면 날마다 배우자를 불평하는 저..ㅋㅋㅋ
은머리
오올 ㅋㅋㅋ
알료사
네 딱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요. 끄집어 내지 않는 것이 고귀한 것이다, 시치미 떼는 것이 교양있는 것이다. 역시 지혜로우신 은머리 할머니.. ㅎ
이거 앞부분만 보고 "직장 동료들과 깨철이라니 미쨔의 싸대기를 칠 알료사로구나", "AMA 익명글도 아니고 겁나 터프한데 이참에 Soralyosha로 바꾸어야하지 않나", "이건 거의 야설공작소 시절 나의 X내사X기에 올라올법한 사연이로고..." 싶었는데 찬찬히 읽다보니 그냥 야릇한 상황만 있었다...

흠... 사기 당한 기분이네요. 그냥 계속 알료샤 하시는 걸로...
알료사
흠.. 그렇다면 다행이네요 저는 그정도로도 꽤 꺼림칙했거든요. 정말로 남편분들이 오해해서 같이 술먹으면서 푼적도 몇번 있구요..

생각해 보십시오.. 남편은 출장가서 비어 있는 아파트 현관 바로 앞에서 헤어지면서 약간 아쉬운듯한 작별인사를 하는 장면을.. ㅡㅡ
그거야 당자일 남편들의 셈거리고요. 저나 다른 유저들은 삼자인걸요. ㅎㅎ
아 지금까지 저 소설이 뭔지 모르고 댓글 다셨던 건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은머리
몰랐다능......T_T
http://m.cafe.daum.net/hywomanmc03i/HEPF/17?q=D_dQ7d3qGakSE0&

구글링해보니 본문 링크가 있네요. 궁금하면 한번 읽어보시길 ㅋㅋㅋㅋㅋ 읽다보면 빡침이 뒷골을 신나게 긁어주는데 아주 일품이죠.
진짜 '아재'스러운 야설이군요 ㅋㅋ 요즘 언니들 보면 뒷목 빡 잡을 듯. 어찌 싫어하는 필수요소가 이 짧은 글에 다 있는지.. 그래도 참 잘읽히게 쓰는 재주는 아깝네요.
첨부된 논술지도 실기과제가 진짜 압권이에요 아이고 뒷골이야 ㅋㅋㅋ [등장하는 주인공 여교사는 강간을 당한것인가.(두괄식으로 정리하시오) ]
저 교수인지 강사인지 뉘기야...
형법 강사인듯요.
문창과 강사 같은디...
(절대 형법 강사일 리 없지만 형법 강사가 물어봐야 이상하지 않을 강간의 성립 요건 같은 이야기를 해야 하는 상황을 비꼰 댓글이다)
으아 ssoorrrry 노잼 참회...
요즘 같았으면 <익명의 섬>이 분서갱유되었을 거란 댓글을 보니까 드는 생각이 다른 사이트 같았으면 이 글이 분서갱유되었을 겁니다. 일베라면 왜 여자들이랑 안 잤냐는 성토나 여자들은 다 똑같이 호박씨 깐다는 혐오가 올라왔을 것 같고 여초 사이트들이라면 남편 욕과 건전한 친구 관계에 대한 옹호와 변명이 이어졌을 것 같고 남초 사이트였으면 불륜의 기준에 대해서 서로 떠들다가 성매매 찬반 토론으로 끝났을 것 같아요. 이 글이 이런 식으로 살아남는 것이 생경하게 느껴지면 여길 보고 식물갤 같다는 말이 나올 법하네요.
이 덧글을 보니 홍차넷에 자주 들러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글을 썼을 때 글이 살아남는 사이트인 것 같아요. 보기 드문.
알료사
솔직히.. 홍차넷에서도 받아들여질거같지 않았어요.. 아마 불쾌하시면서도 댓글 안다시는 분들 꽤 계실거 같아요.. 탈퇴할수도 있겠다는 생각으로 썼는데 이정도 반응이면 너무 감사합니다..
이 글에서 이문열이 화제가 된다는 것은 그 어느 사이트에서도 불가능할 일이었습니다. 문잘알 책덕후들... 이런 사이트에서 박민규, 김훈, 한강 책 좋다고 얘기했다가는 큰일 납니다.
알료사
조만간 박민규로 어그로 끌어서 팟저님의 문학강의를 강제소환하고 싶습니다.
박민규를 번역하면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를 것이다라는 문장을 추가해주세요.
*alchemist*
한강 이야기 두어번 했던 제 자신이 부끄러워지네요.. ㅠ_ㅠ;
저는 김훈, 박민규 ㅋㅋ
Beer Inside
마성의 알료사님이시군요.

문장력이 뛰어난 작가가 야설도 잘 쓰는 법이지요. 익명의 섬이 야설로 나왔으면 재미있었을 터인데....
뜻밖의
기혼자가 이성과 친하게 지낸다고 해서 그걸 의심할 필요는 없겠습니다만, 의외로 처음부터 어떤 목적을 지니고 행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기혼자를 상대로든, 아니면 스스로 기혼자이든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는 발언이나 행동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여성 캐릭터를 비중있게 다루면서도 접근이 (비교적)투박하진 않다 싶었던 이문열 소설로는 <전야, 혹은 시대의 마지막 밤>이 있습니다. 경영학 교수와 미술관 큐레이터의 불륜 이야기거든요. 소설 자체로만 봐도 썩 괜찮고요. 작가의 중단편 중 <그해 겨울>, <들소>, <금시조>,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을 최고로 꼽는다면 그 바로 아래쯤 놓일법하죠.
Beer Inside
사람의 아들은 좀 엉망인가요?

처음에 봤을 때에는 충격이였는데...
전 별로 안 좋아하긴 하는데 이러니저러니해도 이문열 대표작이긴 하죠. 다만 사람의 아들은 중단편이 아니고 장편...
알료사
어... 맞아요 그거 정말 좋았어요... 정치적 견해 때문에 욕 많이 먹었던 소설 같은데... ㅋ
二ッキョウ니쿄
사스가...
마성..
마료사.....
애패는 엄마
저도 비슷한 경험 해봤는데
남의 부족한 거 채워주고 잘 놀아주고 잘 챙겨주고
더 시간 지나니깐 다 아깝더라구요.
자기 계발이 더 하고 돈이나 더 벌껄 결국 다 남인 것을
근데 재밌는 추억은 있었습니다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55 일상/생각수박이는 요새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5 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4/02 4772 12
5349 일상/생각한복 번개 후기를 빙자한 일기 20 김피곤씨 17/04/02 4717 5
5347 일상/생각마지막의 마지막 11 따개비 17/04/02 3494 4
5346 일상/생각나와 커피의 이야기 12 녹풍 17/04/02 4056 0
5345 일상/생각한복 벙개 후기 및 정산 17 소라게 17/04/02 4457 10
5343 일상/생각경복궁 모임 간단후기. 8 선율 17/04/02 3843 8
5340 일상/생각너를 기다리며 14 눈시 17/04/01 4547 4
5327 일상/생각고운 옷 지어 입고 놀러갈까요? (feat. 한.복.벙.개!) 33 소라게 17/03/30 5354 12
5324 일상/생각못생긴 초콜릿 8 소라게 17/03/30 3952 5
5314 일상/생각행복론에 대한 소고. 6 와인하우스 17/03/29 4815 5
5309 일상/생각부쉬 드 노엘 17 소라게 17/03/28 5061 22
5301 일상/생각쪽지가 도착했습니다. 36 tannenbaum 17/03/27 5116 24
5296 일상/생각고양이를 길렀다. (1) 5 도요 17/03/26 3397 2
5291 일상/생각차 사자 마자 지옥의 (고속)도로연수 47 SCV 17/03/26 5308 3
5290 일상/생각케이크를 즐기는 남자들. 17 숲과바위그리고선 17/03/25 4389 1
5284 일상/생각딸기 케이크의 추억 54 열대어 17/03/24 5629 19
5272 일상/생각누구를 위해 정치에 참여해야 하는가? 3 뜻밖의 17/03/23 4586 0
5268 일상/생각친구만들기 8 기아트윈스 17/03/23 3742 7
5267 일상/생각깨철이 48 알료사 17/03/23 6244 1
5266 일상/생각수박이는 요새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4 2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3/22 5281 6
5261 일상/생각구두통 메고 집 나간 이야기 16 소라게 17/03/22 4100 17
5258 일상/생각포토그래프 노스텔지아 8 사슴도치 17/03/22 4480 2
5244 일상/생각시즌은 돌고 돌며 우리는 늙는 것 아니겠습니까. 7 틸트 17/03/20 4170 11
5243 일상/생각부산 쁘띠모임 후기 58 나단 17/03/20 5366 9
5241 일상/생각이국(異國)의 소녀들 12 열대어 17/03/20 4327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