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3/14 11:00:20
Name   베누진A
Subject   “미리 공부 안 시켜요” 엄마가 달라졌다
오늘 중앙일보 1면(+이어져서 2면에까지)에 있는 기사였는데, 평소에 관심있던 내용을 다루는 기사여서 가져와 봅니다.

http://mnews.joins.com/article/21366654#home

이 기사에서 다루는 내용은 어린 아이들을 어떻게 교육시키느냐에 대한 것입니다.
1. 아이들이 같이 어울려 뛰어놀게 해서, 놀이·체험·여행 등등을 많이 시킨다.
2. 한글·영어·수학을 일찍부터 가르치게 하지 말고 아이들에게 적기(適期)에 알맞는 것을 가르치자.(적기 교육) 즉, 아이의 성장 단계와 관심에 맞춰 아이들을 제때, 제대로 가르치자. 해당 연령대에 맞는 적성과 소질을 개발시키자. 책을 읽는 능력을 가르치기 이전에 일단 책 속 그림을 보고 상상력을 키우는 훈련을 더 시킨다. 핀란드·독일·이스라엘 등등의 나라에서는 유아기에 문자를 가르치는 것이 오히려 정서·상상력 발달에 오히려 해가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7세 이전의 아이들의 문자 교육을 일절 금지한다. 또 조기교육을 받지 않았어도 조기교육을 받은 아이들보다 언어 능력이 뒤떨어지지 않는다.
3. 현재 적기 교육을 시도하는 부모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조직화·정보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이를 학원을 안 보내는 대신 그 아이와 같이 뛰어놀 다른 또래 아이들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듯.
4. 적기 교육은 지식보다 창의력, 경쟁보다는 소통을 중시하는 교육으로써, 앞으로 변화할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만드는 데 적합한 교육이다.
5. 교육부에서도 올해부터 조기교육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의 한글 교육 시간을 대폭 늘리는 등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음.. 일단 제가 이 기사에서 관심있는 포인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이들에게 놀이·체험·여행 등등을 시키면서 자연스럽게 공부를 시키는 것은 좋은데, 이런 공부방법에는 그 아이의 부모 그리고 그 아이와 같이 놀을 다른 또래 아이들 그리고 그 아이의 주변 환경이 엄청나게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과연 이 교육방법의 효과를 어떻게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2. 아이에게 7세까지 문자 교육을 시키지 않는 것은 너무 지나치지 않을까. 물론 문자화·도식화하기 힘든 어떤 개념에 대한 유연한 학습의 중요성도 저는 상당히 인정합니다만, 문자·기호 및 수학적 논리 등등으로 인한 사고의 발달 역시 무시할 수 없다고 보는데 말이죠.
3. 부모님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고 해서 그 정보가 꼭 올바른 것일까. 또 그 정보를 안다고 해서 그 정보대로 아이들을 교육할 역량을 갖춘다는 것은 또 별개의 문제일 것입니다. 교육 전문가의 피드백도 함께 받을 수 있으면 좋겠는데 그것이 제대로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4. 기사의 내용대로라면 이 '적기 교육'이라는 것은, '아이의 성장·발달 단계를 무시한, 지나친 조기 교육을 하지 않는 것'이 그 목표들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도 같은데, 그러면 아이의 특정 성장·발달 단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가르쳐야 할 것들로는 구체적으로 무엇무엇이 있을까?
5. 요새는 학원을 보내지 않으면 아이가 같이 놀을 다른 또래 아이들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는데, 그래서 그런 또래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서라도 같이 '적기 교육'을 하고자 하는 다른 부모들과 정보 교환 및 교류를 하는 것이겠죠. 그런데 일반적인 부모님들이 이걸 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기혼자가 아니고 언어교육 전공자도 아니지만, 인간의 언어발달에 대해 상당히 흥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홍차넷 회원분들은 이 '적기 교육'이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0


    그래서 요즘 OO숲 유치원이 그렇게 인기를 끌고있죠...
    아이들한테 교육보다는 숲에서 뛰놀게 만들어주는 학습..
    일반 어린이집, 유치원에서도 저런 교육 프로그램을 많이 벤치마킹 하고있구요.

    어린이집, 유치원 대상 업무를 하면서 원장님들을 많이 만나봤는데 확실히 저런 교육이 효과가 있다고 하긴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언어적, 수학적 사고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자연스럽게 배워나가면 충분하다고 보이구요.

    이래저래 썼는데 결국 요즘 추세를 반영하는 트렌드이고 이건 언제 또 바뀔지 모르니..
    그냥... 더 보기
    그래서 요즘 OO숲 유치원이 그렇게 인기를 끌고있죠...
    아이들한테 교육보다는 숲에서 뛰놀게 만들어주는 학습..
    일반 어린이집, 유치원에서도 저런 교육 프로그램을 많이 벤치마킹 하고있구요.

    어린이집, 유치원 대상 업무를 하면서 원장님들을 많이 만나봤는데 확실히 저런 교육이 효과가 있다고 하긴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언어적, 수학적 사고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자연스럽게 배워나가면 충분하다고 보이구요.

    이래저래 썼는데 결국 요즘 추세를 반영하는 트렌드이고 이건 언제 또 바뀔지 모르니..
    그냥 내 방식대로, 내 아이가 원하는걸 최대한 해주면서 키우는게 최고가 아닐까...그리 생각합니다.
    베누진A
    아이들은 그냥 뛰어노는 것 그 자체가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언어적, 수학적 사고는 말씀대로 의식적으로는 좀 늦게 가르쳐도/배워도 상관없을 것 같고요. 다만 7세..는 너무 늦은 것 아닌가 생각도 들어요.

    이 트렌드가 또 언제 바뀔지 모르지만, 가장 기본은 아이의 발달 상태를 애정어린 마음으로 지속적으로 관심가져주고 최대한 아이에게 맞추어주는 것이 짱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 견해와 많이 같네요. ㅎㅎ
    아이들의 언어적, 수학적 능력은 나이를 딱히 정해놓는게 이상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주변에 유아, 학생 부모들이 많아 이야기들을 나눠보는데 늦은 아이들은 학교 들어가서 배우는 아이들도 많아요.

    학교들어가서 배운다고 뒤쳐지는것도 없구요.
    베누진A
    쉬군님께서 여기에서 말씀하시는 언어적, 수학적 능력이 어느 정도의 것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제가 생각하기엔
    언어 - 문자는 늦게 배워도 음성은 일찍부터 많이 듣고 말해서 숙달되어야 한다.
    수학 및 논리 - 어떤 단위, 개체들을 인지하고 개념화하고 그 간에 관계를 지을 수 있으며 그것들을 어떤 특정 관점 하에 차원화 및 범주화할 수 있다.
    이 정도 기본능력을 가르치는 것만은 해야 할 것 같아요.
    베누진님이 말씀하시는 전문적인 개념까지는 모르겠습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말씀하신대로 그렇게 깊이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게 제 생각이구요.
    제 아이는 없지만 나이차이가 많이나는(15살 터울의) 동생을 키우거나 현재 주변 학부모 지인들을 봐도 자녀를 키우는걸 어렵게 생각할수록 힘들다..라는 결론을 낸지라..

    말씀하신 7세 기준으로 말하자면 학교 들어가기전에 그냥 부모와 커뮤니케이션 할정도의 말하기 듣기 능력과 숫자세기 (숫자의 개념은 아니라도 하나, 둘, 셋을 세는정도) 만 할 줄알아도 충분하다고 생각되거든요.
    베누진A
    자유의지를 가진 사람을 키우는 일이고 또 여러 변수가 너무 많으니, 생각을 너무 많이 하면 오히려 안 좋을 수 있죠 ㅎㅎ

    그리고 기본 능력에 대한 생각은 저와 쉬군님이 대체로 일치하는 듯해요.

    답변 정말 고맙습니다.^^
    Beer Inside
    그냥 부모의 자기 만족이지요.

    구구단을 외우지만 구구단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다면 아무 의미가 없죠.

    그리고 최소한 초등학생 때 까지, 정상적으로는 중등학교 까지는 예술, 체육을 바탕으로 가르쳤으면 하는 마음은 있습니다.

    몸을 쓰는 것과 체력, 끈기등이 있어야 나중에 진정한 공부를 할 수 있거든요.
    베누진A
    어떤 교육방법이 좋다더라, 하면 그 교육방법이 '왜' 좋은지, '어떤 의미에서' 좋은지 알아야 하는데 그걸 알지 못한 상태에서 그 방법으로 교육하면 별로 그 결과가 좋지 않을 거에요.

    나중으로 갈수록 신체적인 면이 공부를 하는 데에도 중요하다는 것을 매우 공감합니다.

    답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Beer Inside
    지금까지 연구결과는 안타깝게도 공부도 잘하는 놈이 잘한다는 것이구요.

    실제로 가르쳐 보아도 똑똑한 놈은 개떡같이 가르쳐도 찰떡같이 알아먹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대학들이 가르치는 것을 포기하고 알아서 공부하도록 채찍질만 하지요.
    베누진A
    공감합니다. 원래 공부 잘하게 되어있는 녀석이 더 잘하게 되어있더군요. 똑같은 input을 주어도 특출난 output을 내고.

    학생에게 과도한 욕심을 내면 안 될 것 같습니다. 단지 교육자나 교육 시스템은 그 학생에게 동기부여나 최적의 환경이나 만들어주면 그만..
    호라타래
    재미있네요. 쉬군님이 위에서 언급해주신 숲유치원 얘기는 주변 기혼자나, 교수님 통해서도 듣기는 했어요.

    저러한 형태의 양육은 '집중양육'이라 생각해요. 베누진님이 기사에 대해 첫 번째 코멘트를 다셨듯이, 자녀에게 어떠한 생활세계/이웃/경험을 만들어주느냐는 매우 복잡한 관여가 필요해요. 누구와 네트워킹을 할 것인가, 부모의 시간적/물질적 가용자원은 얼마나 되는가, 자녀가 태어나면서 지니고 오는 성향 등은 어떻게 다룰 것인가 등등이요. 이 지점에 있어 계층별 차이가 나는 건 기정 사실에 가까울텐데, 한국 맥락에서 어떤 차이가 날지는 시간을 두고 살펴봐야겠네요.
    베누진A
    '그냥' '아무렇게나' 풀어주면, 자녀에게 최적으로 도움이 되는 생활세계/이웃/경험을 만들어주기 힘들 거에요. 결국 부모의 지속적인 조작적 개입이 필요한데, 또 이것이 너무 지나치게 '간섭하는' 형태로 되면 안 될테고..

    일단 제가 생각하는 것으로는, 부모가
    1. 교육학을 개론 정도로라도 알고 있어야 한다.
    2. 자녀에게 지속적으로 좋은 교육환경을 만들어줄 여유가 있어야 한다.
    3. 교육 전문가에게 상시 피드백받을 수 있어야 한다.
    등등이 있습니다.

    답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ㅎㅎ
    호라타래
    뭔가 귀엽네요 ㅋㅋㅋ 자연과 인간의 구분이라는 담론이 반영되어 있는 것 같아요. 특정 영역(장) 내에서 더 나은 지위를 획득하기 위한 개인/계급 간 다툼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생태주의 관점이 유치원에서 유행하는 건 사회에 만연한 경향에서 자신들을 구별지을 필요를 느껴서라고 해석할 수 있을 듯해요.

    다만 그것과는 별개로 선행학습 경쟁에 쫓겨 유치원부터 학원 보내고, 시험 보게 하고, 구구단 외우고 이런 것보다는 훨씬 나아 보이기는 하네요. 기사에 나온 부모들이 자기 자녀가 중학교 들어가고 나면 어찌될런지는 모르겠지만요ㅠㅠ
    5번에 대해 첨언 하자면 이미 아시겠지만 맞벌이 부부가 칼퇴해도 집에 도착하면 7시죠
    7시? 이건 꿈의 시간이고 대한민국 10%안에 들껄요 ㅎㅎ
    여튼 그런데 아이들이 학교 끝나면 1시~4시 잖아요
    이 사이 시간의 갭이 문제인데 아이들을 어디에다가 안전하게 맡길곳이 학원 밖에 없는 실정이죠
    학원에 안 보내면 집에서 혼자 있을텐데 이것도 문제구요
    그리고 학원에서 미리 아이들이 친해져서 학교로 오는것 때문에 거기서 소외되는? 문제도 있구요

    자 여기까지는 이상적인 칼퇴 회사를 다니는 부부에 대해 이야기었습니다
    아내와 남편이... 더 보기
    5번에 대해 첨언 하자면 이미 아시겠지만 맞벌이 부부가 칼퇴해도 집에 도착하면 7시죠
    7시? 이건 꿈의 시간이고 대한민국 10%안에 들껄요 ㅎㅎ
    여튼 그런데 아이들이 학교 끝나면 1시~4시 잖아요
    이 사이 시간의 갭이 문제인데 아이들을 어디에다가 안전하게 맡길곳이 학원 밖에 없는 실정이죠
    학원에 안 보내면 집에서 혼자 있을텐데 이것도 문제구요
    그리고 학원에서 미리 아이들이 친해져서 학교로 오는것 때문에 거기서 소외되는? 문제도 있구요

    자 여기까지는 이상적인 칼퇴 회사를 다니는 부부에 대해 이야기었습니다
    아내와 남편이 야근을 한다 -> ......노답
    이상적인 교육이론을 알더라도 적용할 수 없는게 지금 현실입니다
    베누진A
    저도 이런 것을 우려했습니다. 부모님이 아무리 똑똑하고 자녀에 대한 애정이 많고 열린 사고를 갖춘 분이라고 해도, 퇴근 시간 및 아이의 친구 문제(+ 금전적인 문제) 등등 한국의 평범한 가정이 저런 교육을 할 수 있을까? 라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어요.
    어서 가족이 가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회 개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베누진A
    사실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들 상당수는.. 그 뿌리를 탐색하면 바로 우리 사회에 있죠. 우리 사회가 더 건설적인 방향으로 바뀌면 좋겠습니다. 답변 주셔서 고맙습니다. 5번 항목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6 육아/가정짧은 유치원 이야기 13 CONTAXS2 17/11/28 4996 7
    6638 육아/가정아들의 장난감 4 빈둥빈둥 17/11/23 3822 6
    6488 육아/가정출산에서 육아까지~(남자용 메뉴얼) 1편 38 사나남편 17/10/30 5356 8
    6403 육아/가정참 불같은 1년이 지났습니다... 31 고폭풍 17/10/11 5198 14
    6368 육아/가정재미있는 덴마크의 성 문화 11 감나무 17/10/03 11682 7
    5877 육아/가정첫째와 둘째 대면식 13 도라에몽 17/07/02 5959 12
    5564 육아/가정보네이도 무인양품 에어 서큘레이터 비교 4 빠른포기 17/05/03 28077 3
    5418 육아/가정유치원/어린이집 이야기 46 기아트윈스 17/04/12 7147 4
    5359 육아/가정실리콘밸리 이야기 - 미국의 6학년 과학교실 4 Liebe 17/04/03 4834 1
    5179 육아/가정 “미리 공부 안 시켜요” 엄마가 달라졌다 17 베누진A 17/03/14 6823 0
    4932 육아/가정육아일기 - 아이들 블럭 & 종이로 만들기 2 7 Liebe 17/02/19 4683 2
    4880 육아/가정[뻘글] '가장(家長)'이라는 단어 17 진준 17/02/15 5718 0
    4867 육아/가정혼자는 외로워~ 둘이상은 낳아야지~ 30 얼그레이 17/02/14 6105 9
    4695 육아/가정가족 아이에게 해 주면 좋은 말 20 Liebe 17/01/25 5574 6
    4689 육아/가정우리 아들의 신박한 표현들 29 Toby 17/01/25 6341 10
    4503 육아/가정층간소음 : 어디서 소리가 나는 것일까요? 6 진준 17/01/01 6261 0
    4458 육아/가정육아일기 - 아이와 나눈 대화 6 까페레인 16/12/28 4177 4
    4043 육아/가정만 4세, 실존적 위기에 봉착하다. 54 기아트윈스 16/10/31 6462 21
    3995 육아/가정둘째 생겼어요~ 22 도라에몽 16/10/24 5760 10
    3969 육아/가정당연한 육아는 없답니다 15 밀크티티 16/10/20 7313 21
    3891 육아/가정그냥 많이 슬퍼요. 13 windsor 16/10/13 5259 1
    3735 육아/가정어느 그리스인의 아들 14 기아트윈스 16/09/20 7416 0
    3691 육아/가정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2 26 Toby 16/09/12 6958 8
    3042 육아/가정20개월 남자아기를 키우며. ( 부제 : 자동차 집착남을 키우며) 25 엄마곰도 귀엽다 16/06/16 8037 0
    3019 육아/가정정갈한 남편과 천방지축 마누라 27 감꽃 16/06/14 6884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