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3/04 03:01:47
Name   서흔
Subject   지도자 의식에 관하여


글쓰기는 자신이 쌓은 바를 소비하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쌓지 않은 것을 글로 쓴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겠지요. 그것은 좋은 글도 아닐뿐더러 글쓴이 자신에게도 좋은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거창한 서두를 꺼내는 이유는, 이 글이 제가 지금 쌓은 바를 글로써 풀어내보려는 시도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일본이라는 대상에 저의 모든 관심이 쏠려 있습니다. 일본어를 열심히 공부하고, 일본사상에 관한 책을 탐독하고 있기도 합니다. 때문에 ‘일본’에 대한 것들이 제게 축적돼 있습니다. 글의 주제도 일본일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하겠지요. 일본에 관해 쓸 글감을 고민하다가, 마침 좋은 책이 출간돼 그것의 도움을 받기로 했습니다. 다케우치 요시미의 『일본 이데올로기』(돌베개, 2017)란 책입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일본의 사상가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사상을 요약하면 “불 속에서 밤을 줍는 모험”을 감행하는 것입니다. 옳지 않다 여겨지는 것을 기각시키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해 ‘밤’이라는 성찰을 건져내자는 의미입니다. 『일본 이데올로기』에서도 그의 이러한 사상이 곳곳에 묻어나옵니다. 1952년에 쓰인 책이지만, 저는 그의 사상에 십분 공감했습니다. 또 다케우치 요시미가 바라본 일본을 매개로 한국을 살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서두는 이쯤에서 줄이기로 하고, 본격적인 글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첫 글은 『일본 이데올로기』의 첫 꼭지인 「지도자 의식에 관하여」를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일본인에 내재된 ‘지도자 의식’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일본인은 지도 받든지, 그게 싫으면 스스로가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16쪽)고 까지 말했습니다. 그는 일본 지도자 의식의 지반이 ‘일고(一高)-제대(帝大)-고문(高文)’이라는 입신출세 공식과 그에 따른 교육정신의 관철로 이뤄졌다 보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과거 경기고-서울대, 최근 특목고-서울대 등의 출세 경로는 누구나 알고 있을 겁니다.

일본과 한국의 같은 부분이 또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해방운동조차 인민 사이에서 부정의 운동으로서 일어나는 게 아니라, 반대로 인민을 질질 끌고 가는 방향으로 … 피라미드의 정점을 넓혀 가는 방식으로 일고-제대 출신들이 주도한다”(17쪽)는 다케우치 요시미의 지적입니다. 앞서 언급한 경기고-서울대 코스의 황교안-노회찬의 극명한 대비를 간명하게 설명해주는 대목이라 생각했습니다. 한국도 지배세력이나 저항세력 모두 엘리트에 의해 주도돼 왔습니다.

엘리트 주도의 방식은, 엘리트가 엘리트 아닌 자를 억압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진보-보수를 막론하고 모든 곳에서 이러한 권위주의가 지배해왔습니다. 많이 아는 자가 모르는 자를 지도했고, 옳은 바가 옳음 외의 다양한 생각을 억압하는 형태로 지도해왔습니다.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다는 이유로 기각됐습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이런 지도자 의식을 비판합니다. 옳지 않은 것에서도 ‘밤’을 건져낼 수 있다는 믿음이, 이러한 비판을 가능케 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옳음-옳지 않음’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경계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이런 지도자 의식의 뿌리가 민중에게 있다고 보았습니다. “자신이 일고-제대에 가든지, 그게 아니면 일고-제대에 콤플렉스를 갖든지 둘 중 하나다. … 노예이든지 아니면 노예의 주인이든지다.”(20쪽) 한국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서연고-서성한-중경외시…’라는 대학서열을 기정사실화하고, ‘지균충(蟲)’, ‘지잡대’라는 비하의 언어가 난무하는 사회이니까요. 이런 계서(繼序)적 사회에서는 자신보다 아래 서열에 있는 자를 ‘지도’할 수 있다는 생각이 움트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인간이 인간을 지도할 수 있습니까. 인간은 스스로를 지도할 수 있을 뿐입니다.

다케우치 요시미의 지적을 곱씹으면서, 저도 알게 모르게 ‘지도자 의식’이 내면화되어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조금 더 안다는 이유로 누군가를 가르치려 했고, 다른 의견을 묵살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 옳지 않다는 이유로 다른 의견을 스스로 기각시켜버리기도 했습니다. 단적인 예로 ‘친박집회’를 들 수 있겠네요. 다케우치 요시미도 ‘천장절’ 때 황거에 모인 수만 인파를 예로 들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박근혜 대통령 옹호를 위해 나온 인파나, 천황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나온 인파를 보고 “바보 같은 민중”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저 ‘바보 같다’며 기각시키고 만다면 달라지는 건 없습니다. 그 현상을 통해 무언가 성찰적 의미를 건져내려는 시도가 필요합니다. 앞서 언급한 다케우치 요시미의 사상처럼, “불 속에서 밤을 줍는 모험”을 감행해야만 변화의 계기가 만들어진다고 믿습니다.

* 일고(一高) - 제일고등학교, 제국대학예비학교로 기능.
* 제대(帝大) - 제국대학, 도쿄·교토·경성 등에 세워진 대학.
* 고문(高文) - 고등문관시험, 고등관 채용을 위한 시험.

--------------------------------------------------------------------------------

친구와 만든 '로컬리스트'란 페이스북 페이지(https://www.facebook.com/localist0311/)를 위해 쓴 글을 옮겨봤습니다.
티타임에 쓴 첫 게시물이네요.






8


    二ッキョウ니쿄
    비슷한 것에 대해 이야기해볼만한 것이 있지요. 어쨌거나 저 시대의 배경을 이해해야 온전히 이해할수 있다고 생각하고.. 엘리트 중심주의 내지는 전위당에대한 부정이 이후에 변화를 겪기도하니. 여튼 엘리트의 억압이라는 구도는 현대에는 좀 다릅니다.
    二ッキョウ니쿄
    의회정 체제나 현대의 엘리트는 전위에 서거나 교조적이 되려면 대중으로부터 자발적인 권위이양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사실 억압의 주체는 엘리트나 교조적태도가 아니라 억압의 물질적/사상적 조건을 구성하는 테두리, 구조 그 자체가 매우 큰 지분을 차지하죠. 전위나 교조가 가능한 엘리트는 그래서 지배이데올로기의 앵무새거나, 혹은 이를 공격하는 엘리트로 나뉘죠. 그런데 어느쪽이든 저 시대처럼 엘리트들이 직접 원하는대로 대중의 방향을 설정하는건 불가능에 가까워요. 음, 여튼 억압은 엘리트와 대중 사이의 일방적인 구도는 지나갔다는걸 이야기하고 싶었어요. 그런면에서 밤을 찾는것은 밤을 찾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그 밤이 옳은지 그른지 사실인지 아닌지 합리적인지 아닌지 등등의 판단을 다시금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지식인들이 더 중요하고 필요한,작금이라고 생각합니다.
    二ッキョウ니쿄
    그런면에서 지도자의식이라는 개념은 사실 사람들이 특정 엘리트에게 지도받는 상태가되는것 자체가 몹시 어렵다는 점에서 약간 지금에 적용하긴 애매하죠. 그래도 어떤 후지고 구린것들로부터 뭔가를 찾아야한다는건 고개를 끄덕이게됩니다
    니쿄님께서 말씀하신 바를 들으니, 다케우치 요시미가 글에서 말한 지도자 의식은 말씀하신 부분과 조금 다른 이야기였는데 제가 글을 쓰면서 엘리트주의 일반론으로 환원해서 써버린 듯하네요. 말씀하신대로 엘리트가 대중을 지도하는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지금 한국만 봐도 알 수 있죠. 그런데 뭔가 못난 사람을 가르쳐야 한다는 의식 자체는 아직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옳지 않다면 무조건 옳은 것으로 바꿔야 한다는 마인드랄까요. 다케우치 요시미가 말한 지도자 의식은 이 점을 지적한 것 같은데, 제 글이 좀 어설펐네요. 옳지 않은 것에서 기존의 옳은 것과는 다른 무언가를 발견할 수도 있다는 말을 하고 싶었다고 생각합니다. 못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역시 글쓰기는 어려운... ㅠ.
    파사드
    전체적인 맥락에는 완전히 동의해요. 엘리트주의의 폐혜, 권위주의에 대한 일반론으로서.. 그리고 실천적인 부분도 마찬가지고...
    위에 니쿄님이 써주 신 건 지나친 이분법과 시대성에 대한 지적인 것 같은데, (난독일 수 도 있겠지만) 전 좀더 지엽적인 부분에서 걸렸거든요.
    일본이랑 한국은 비슷하다면 비슷할 수도 있지만, 또 그렇게 퉁치기에는 다르게 볼 수 도 있는 지점도 많은 것 같아서요. 실제는 좀더 복잡하다랄까??
    가까운 역사적 예로 일본의 전공투 세대, 정확히는 그 지도자 그룹은 철저히 제도권 진입에 실패했어요. 그들 역... 더 보기
    전체적인 맥락에는 완전히 동의해요. 엘리트주의의 폐혜, 권위주의에 대한 일반론으로서.. 그리고 실천적인 부분도 마찬가지고...
    위에 니쿄님이 써주 신 건 지나친 이분법과 시대성에 대한 지적인 것 같은데, (난독일 수 도 있겠지만) 전 좀더 지엽적인 부분에서 걸렸거든요.
    일본이랑 한국은 비슷하다면 비슷할 수도 있지만, 또 그렇게 퉁치기에는 다르게 볼 수 도 있는 지점도 많은 것 같아서요. 실제는 좀더 복잡하다랄까??
    가까운 역사적 예로 일본의 전공투 세대, 정확히는 그 지도자 그룹은 철저히 제도권 진입에 실패했어요. 그들 역시 제대 출신이죠. 그런 데 그 그룹,그리고 그 세대는 일본 역사에서 극좌파로 빠지거나, 혹은 기성세대에 흡수되버려서 사회운동의 동력화 되지 못했어요, 만철에 투신한 그 전세대도 마찬가지고... 반대로 한국은 아시는 것 처럼 386세대(그들에 대한 가치판단은 차치하고)그룹이 제도권에 안착하기도 했고, 그 세대가 공유하는 가치지향이 사회적 이슈마다 정치적 행위로 빈번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잖아요? 그 엘리트들이 역설적으로 한국사회에서 탈권위주의 운동? 의 핵심이기도 하고...운동 역시 엘리트 주의적이 었다(권위주의적이다), 그리고 그들이 대중과의 접점에서 엘리트주의를 관철시키려는 관성을 가진다.는 지적이랑, 그 것이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에게 내면화되었다는 주장은 일반론으로 타당하지만 조금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본과 우리의 역사적 맥락이 크게 다른 만큼, 두 국가 간에 엘리트들의 행위의 구체적 양상은 차이가 있다고 봐요. 말씀하신 엘리트-대중과의 관계를 포함해서요.
    술 김에 깊게 생각하지 않고 써봤는데, 맞는 말인지 저도 잘 모르겠어요. 여튼 야밤에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한일 관계를 나이브하게 묶기도 했고, 제가 말씀하신 부분을 잘 모르기도 하고, 하고 싶은 말은 한일 엘리트에 관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한일 엘리트에 관해 논할 역량은 제게 없으니... 파사드님께서 한 번!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마지막 문단을 읽으면서 저도 크게 공감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첫거래 감사합니다.

    은행에서 새 통장 만들면 항상 이렇게 찍혀 나오곤 했었는데... ㅎㅎ
    다음 거래가 발생할지... ㅎㅎ
    잘 읽었어요. 패배한 일본 제국주의의 초라한 모습을 부정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정면대결하려 했던 전후 사상의 궤적을 빌어 한국사의 굴곡을 다시 바라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일 거 같아요.
    열심히 관련 책을 읽고 있는데, 그걸 바탕으로 또 글로 써내는 건 다른 이야기네요. ㅎㅎ
    호라타래
    좋은 글 감사합니다 :) 한국의 많은 사회시스템이 일본에 그 뿌리를 두는 만큼, 일본에 대한 연구는 우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생각해요. 일본의 이런 '지도자 의식'에 대해서, 자연재해가 많은 환경에서 집단적으로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이라는 관점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더하여 일고-제대-고문과 같은 엘리트 코스는 국민국가(nation-state) 형성 과정에서 중앙집권화 된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 만들어 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요.
    二ッキョウ니쿄
    경기고-서울대/육사-관료/군장교
    닮긴했네요 ㅋㅋ
    호라타래
    발전국가 모델-테크노크라트에 기반한 경제성장 시기가 특히 그랬던 것 같아요. 선거 제도도 닮아있지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45 도서/문학유시민 <나의 한국현대사> 23 기아트윈스 17/04/14 5833 3
    5367 도서/문학나를 거부했던 세상이지만 너를 위해 용서한거야 2 알료사 17/04/04 3894 1
    5365 도서/문학영국인이 가장 많이 읽은 '척' 한 책 20선. 64 기아트윈스 17/04/03 5742 0
    5358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1 AI홍차봇 17/04/03 3246 0
    5357 도서/문학'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읽고 드는 생각 7 지니세이 17/04/03 4653 0
    5351 도서/문학‘회사에서 왜 나만 상처받는가’에 대한 저의 실천 방안 4 혼돈의카오스 17/04/02 5308 4
    5277 도서/문학안녕하세요, 얼마전 책 나눔판을 벌인 이입니다 27 서흔 17/03/23 4811 12
    5259 도서/문학<빛과 물질에 대한 이론> 감상문 15 Homo_Skeptic 17/03/22 5814 8
    5248 도서/문학채식주의자 - 90년대 이후 국내 여성 문학 속 일련의 작품군에 대한 단상 51 팟저 17/03/21 8674 19
    5247 도서/문학소소한 책 나눔을 해보려 합니다 42 서흔 17/03/20 5137 31
    5228 도서/문학가난한 사람 48 알료사 17/03/19 5706 10
    5070 도서/문학지도자 의식에 관하여 15 서흔 17/03/04 4502 8
    5059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6 AI홍차봇 17/03/03 3571 0
    5037 도서/문학자유주의의 소멸에 대한 불쾌한 우화 - 미셸 우엘벡 <복종> 12 와인하우스 17/03/01 6350 5
    5003 도서/문학홍차박스에 남긴 선물 : '밤이 선생이다(황현산)' 5 진준 17/02/25 5191 9
    4948 도서/문학책 리뷰 몇 개 28 기아트윈스 17/02/21 5465 12
    4858 도서/문학드래곤볼 슈퍼는 왜 쓰레기인가 16 피아니시모 17/02/13 8826 0
    4836 도서/문학[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대한 새로운 해석 10 눈시 17/02/11 6202 0
    4790 도서/문학얼마전 "늑대와 향신료"를 읽었습니다. 15 키스도사 17/02/06 11375 0
    4754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4 AI홍차봇 17/02/03 3020 0
    4701 도서/문학[별]속의 남십자성을 찾아서... 중간보고 (스압) 8 엘에스디 17/01/26 5662 4
    4677 도서/문학문학에 대한 소고 : 안녕 주정뱅이 7 전기장판 17/01/23 4728 9
    4652 도서/문학불륜 예술의 진실을 보고 멘붕한 이야기. 18 와인하우스 17/01/18 5212 6
    4608 도서/문학소설이 인성에 끼치는 영향 8 Credit 17/01/12 4956 0
    4589 도서/문학알료사 6 알료사 17/01/10 5424 1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