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7/01 07:02:26
Name   뤼야
Subject   [문학]얼굴을 붉히다 - 송재학


얼굴을 붉히다

임하댐 수몰지구에서 붉은 꽃대가 여럿 올라온 상사화를 캤다 상사화가 구근을 가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나는 놀랍도록 크고 흰 구근을 너덜너덜 상처 입히고야 그놈을 집에 가져올 수 있었다 아무도 없었지만 얼굴은 붉어지고 젖은 신문지 속 구근의 근심에 마음을 보태었다 깊은 토분을 골라 상사화를 심었어도 아침에 시들한 꽃대를 들여다보면 저녁에는 굳이 외면하고 말았다 여기저기 물어 비료며 살충제며 잔뜩 뿌리고 잔손을 대었지만 상사화의 꽃을 보고자 함은 물론 아니었다 살릴 수만 있다면 꽃은 아주 늦어도 대수롭잖다고 다짐했다 상사화 꽃대가 차례로 시들어갈 때 내 귀가는 늦어졌다 한밤중에 일어나 바깥의 상사화를 들여다보고 한숨쉬는 내 불안을 알아보는 식구는 없었다 나는 꽃 필 상사화에 기대어 이제는 물 아래 잠긴 땅으로 하루하루를 흘려보냈다 언젠가 이곳도 물에 잠기리라 결국 내가 시든 줄기를 토분에서 뽑아냈을 때 상사화는 그러나 완전한 구근과 수많은 잔뿌리를 토해 내었다 그 아래 두근거리는 둥근 세계가 숨어 있었으니, 시든 꽃대 대신 뾰족한 푸른 잎이 구근과 무거움을 딛고 겨울을 준비하였으니! 내 근심은 겨우 꽃의 지척에만 머물렀던 것이다 나는 얼굴을 붉히고 상사화가 스스로의 꽃대를 말라죽인 이유를 사람의 말로 중얼거려보았다

- 송재학 [푸른빛과 싸우다](2000) 중에서 -

마침표조차  찍지 않은채 임하댐 수몰지구에서 캐온 상사화의 구근을 토분에서 뽑아내고 결국 자신의 근심이 [두근거리는 둥근 세계]의 지척에만 머물렀음 고백하는 송재학의 시어는 숨가쁘기만 합니다. [사람의 말로 중얼거림]이라는 시인의 표현 속에 상사화에 대한 자신의 근심어린 '사랑'이란 결국 '사랑의 알리바이'일 뿐이라는, 즉 그가 중얼거린 '사람의 말'은 실제 '사랑'을 실어나르는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쓸모없는) 사랑이라는 고백이 됩니다. 시인의 사랑은 그러므로 겨울을 준비하느라 스스로의 꽃대를 말라죽인 상사화의 둥근 세계 바깥에 있었던 것이죠. 역설적으로 상사화의 구근에게 필요했던 것은 '인간의 말'이라는 '사랑의 알리바이'가 아니라 실체를 알 수 없는 '사랑'인 것이죠.

한 철학자는 '사랑에 빠진 자, 결코 진루하지 못한다. 그것은 피폐한 게임, 황당한 예언이며, 조급한 상처일 뿐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 시속의 화자는 임하댐 수몰지구에서 물에 잠겨 떠내려갈 상사화를 근심하여 구근을 캐내어 왔지만 그의 사랑은 사랑의 대상을 이해함과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화자는 일상과 상사화 구근에서 꽃대가 올라와 꽃을 피우는 소실점 사이에서 진자처럼 왔다갔다 하다가 결국 소실점이 사라지는 공포를 견디지 못하고 구근을 뽑아내고야 말죠. 매혹됨과 쫓김,  우리는 사랑을 앞에두고 얼마나 오랫동안 이런 원근법의 실수를 저지르는 것일까요?

송재학은 타고나길 시인으로 타고났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나 마지막 행의 '사람의 말로 중얼거려보았다'라는 절망스런 자기고백은 숨을 턱 막히게 할 정도의 절창입니다. 사랑의 대상 앞에서 우리의 근심은 겨우 지척에만 머무르고 있지는 않은지요. 언어로 표현되지 않고,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그(녀)의 둥근 세계 앞에서 우리는 사람의 말로 근심하며, 조급한 상처를 불러내고 있지는 않은가 생각해봅니다. 






* Toby님에 의해서 리뷰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5-07-01 11:50)
* 관리사유 : 리뷰게시판을 내리면서 자유게시판으로 게시글 이동합니다.



0


    시부야린
    노래를 듣거나 시를 읽을때 유독 가슴에 와닿으며 화자의 심상이 떠오르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시와 노래도 많더라구요. 그런데 또 시간이 지나서 다시 접했을때는 또다른 느낌으로 절절히 다가오는 경우가 있어 깜짝 놀래기도 했었습니다.
    상사화, 임하댐 수몰지구. 둘 다 제게 생소해서 올려주신 시를 읽고 구글 이미지로 이것저것 찾아봤습니다.

    상사화는 군락으로 피는 꽃이네요. 사진만으로도 무리지어 핀 붉은 꽃무리가 인상적이구요. 아마 시인은 예전에 누군가와 이곳의 상사화 군락을 봤었고 기억 속 깊이 인상을 남겨두었었나 봅니... 더 보기
    노래를 듣거나 시를 읽을때 유독 가슴에 와닿으며 화자의 심상이 떠오르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시와 노래도 많더라구요. 그런데 또 시간이 지나서 다시 접했을때는 또다른 느낌으로 절절히 다가오는 경우가 있어 깜짝 놀래기도 했었습니다.
    상사화, 임하댐 수몰지구. 둘 다 제게 생소해서 올려주신 시를 읽고 구글 이미지로 이것저것 찾아봤습니다.

    상사화는 군락으로 피는 꽃이네요. 사진만으로도 무리지어 핀 붉은 꽃무리가 인상적이구요. 아마 시인은 예전에 누군가와 이곳의 상사화 군락을 봤었고 기억 속 깊이 인상을 남겨두었었나 봅니다. 그리고 임하댐의 수몰 소식을 듣고 다시 그 사람과의 추억이 떠올랐을 수도 있겠네요. 잎이 완전히 진 뒤에 꽃이 피는 화엽불상견(花葉不相見)의 상사화를 생각해보면 그 사람과의 추억은 맺지 못한 인연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뤼야님 덕분에 요즘 다시 글을 천천히 시간들여 읽는 기회를 가지네요^^
    저도 상사화가 어떤 모습인지 전혀 몰랐고, 임하댐도, 임하댐 건설로 수몰지구가 생겼다는 것도 몰랐어요.
    안동에 갔을 때 차를 타고 지나다가 댐을 하나 보았는데 여긴 안동이니까 안동댐이려니 했는데 알고보니 임하댐이더라구요.
    화엽불상견이라니... 정말 상사화라는 이름에 걸맞는 생태인듯 싶네요. 좋은 덧글로 화답해주시니 제가 더 감사합니다.
    마르코폴로
    일본 대기근과 관련된 상사화(피안화)이야기를 본적이 있어서 그런지 구글이미지 검색으로 찾아본 사진들이 저에겐 오싹한 느낌을 주네요. 그건 그렇고 시인은 시인이네요. 푸른빛과 싸우다 얼굴을 붉히다 두문장만으로도 시 같아요.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시인의 시어란 그 속에 숨은 아주 낮은 확률의 의미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독자를 도약하게 만들죠. 이런 도약은 일차원적이고 사전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해방감을 느끼게 하고요. 송재학은 천상 시인 맞습니다.
    Blue Sky
    뤼야님이 올려주신 글들에선 이전엔 경험해 본 적 없는 특별한 색감을 띈
    어떤 공간에 가서 글들을 읽고 있는 느낌이 들어요.
    글들이 마음을 붙잡아 한동안 머무르다 가게 하거나, 다시금 마음을 이끌어 마음 걸음 하게 만드는 글들,
    늘 감사한 마음으로,
    잘 보고 있습니다!!!~
    졸글이지만 제가 글을 써서 들을 수 있은 최고의 찬사를 해주셨습니다.
    리뷰게시판이 생겨서 제가 즐겨 읽었던 시들 한두편씩 올려볼까 생각했고,
    게시판이 없어져서 이제 그만 써야겠다 했는데...^^;;;
    감사합니다. 절받으세요. (넙죽~)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64 도서/문학비극적 영웅의 조건 7 팟저 15/12/25 8943 5
    1856 도서/문학유럽의 교육 - 로맹 가리 27 마르코폴로 15/12/23 7658 1
    1845 도서/문학루살카에 대한 기억, 하일지의 진술을 읽고 30 김나무 15/12/22 7490 5
    1785 도서/문학<암흑의 핵심>이 식민주의의 한계를 넘어서지 않은 이유 9 팟저 15/12/16 9203 2
    1768 도서/문학<진술> - 하일지 40 마르코폴로 15/12/14 9569 2
    1766 도서/문학새로 지정된 표준어들 (이쁘다, 찰지다 등...) 17 西木野真姫 15/12/14 6794 3
    1752 도서/문학당신은 누구 입니까? 30 Beer Inside 15/12/11 6895 4
    1701 도서/문학인문학, 그리고 라캉 다시 읽기 85 뤼야 15/12/04 10705 8
    1696 도서/문학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12 마르코폴로 15/12/03 7124 6
    1638 도서/문학라캉과 들뢰즈를 읽어야 할까? 66 뤼야 15/11/26 11189 2
    1535 도서/문학자승자박 : 동녘 출판사가 사과문을 게재했습니다. 38 구밀복검 15/11/12 7789 0
    1503 도서/문학D.H 로렌스로 읽어보는 실존의 여성과 나 29 뤼야 15/11/09 12397 1
    1415 도서/문학[2015년 노벨문학상]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여성은 전쟁을 이렇게 기억합니다. 14 다람쥐 15/11/01 10897 9
    1406 도서/문학모옌 [열세걸음]으로 생각해보는 세계문학 35 뤼야 15/11/01 11371 3
    1380 도서/문학[조각글] 홍차넷 발 문학 소모임입니다. 15 얼그레이 15/10/30 9588 0
    1369 도서/문학김영하 산문집 [말하다] 중에서 27 삼공파일 15/10/29 12484 6
    1335 도서/문학내포저자 - 간절히, 아주 간절히 이야기하기 18 뤼야 15/10/25 12374 1
    1333 도서/문학[모집] 조각글 모임(문학 합평) 인원 모집합니다! 32 얼그레이 15/10/24 10098 0
    1244 도서/문학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2 damianhwang 15/10/13 8702 0
    845 도서/문학"걸리버 여행기"를 부탁해... 9 Neandertal 15/08/26 6093 0
    730 도서/문학[리뷰]필경사 바틀비 - 허먼 멜빌 13 뤼야 15/08/05 10780 0
    701 도서/문학사라, 쥬디, 앤 그리고 블루 - 여자와 아버지 7 뤼야 15/08/02 7444 0
    674 도서/문학너무 유창한 화자의 문제 26 뤼야 15/07/29 10131 0
    604 도서/문학당신이 죽기 전까지 읽어봐야 할 50권의 책... 19 Neandertal 15/07/17 8009 0
    515 도서/문학[한밤의 아이들]과 퀴어퍼포먼스로 읽어보는 시선과 권력의 이야기 16 뤼야 15/07/05 880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