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3/02 14:16:09
Name   눈부심
Subject   무료하버드를 추구하는 사람들
http://www.unz.com/runz/meritocracy-harvard-pr-vs-factual-reality/
http://www.nytimes.com/2016/01/15/us/a-push-to-make-harvard-free-also-questions-the-role-of-race-in-admissions.html?_r=1
http://www.freeharvard.org/

미국의 합리적 보수를 대변한다(?)고 하는 사이트 unz.com의 주인장인 Ron Unz가 추진하고 있는 일이 하버드 학부비용 전액무료화예요. 신기해서 제가 좀 읽어봤어요. 하버드 졸업생들 다섯명으로 구성된 하버드 감독이사회가 있는데 론은 이 이사회의 일원이에요. 감독이사회에서 제시한 안건 중 하나가 하버드 전 학부 무료화입니다.

한편 소수인종에 쿼터(quota)제를 도입해 어느 적정선까지 입학을 허가해주어야 하는 Affirmative Action이란 것이 있어요. Affirmative Action은 라티노나 흑인들에게는 유리한 제도이나, 소수인데 비해 대학입학률이 많이 높은 아시안들과 쪽수가 많은 백인들에게는 불리한 제도입니다.

아시아인들이 하버드대학을 고소한 상태인데 고소이유는 아메리칸 아시아인들에 대한 학교의 차별이 의심되어서이고 따라서 학교 측에 투명한 입학정보공개를 요구한 상태예요. 신입생수업이 해마다 어떻게 결정되는가에 대한 정보도 요구해 놓은 상태인데 이 부분은 론도 엄청 궁금해하는 내용입니다. 서로 목적은 다른 데 있지만 하버드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데 있어서는 공통점이 있죠. 아시안들은 Affirmative Action때문에 자신들이 오히려 차별을 당한다는 입장이고 론은 학비가 비싸도 너무 비싸단 입장이에요.

하버드대학에 쌓이고 있는 기부금은 상상을 불허하는 수준이라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37.6빌리언달러(38조원)입니다. 기부금이라 면세되는 이 자금으로 헤지펀드를 운용하고 있어요. 미국의 저명한 대학들이 기부금으로 투자해서 벌어들이는 배당금이 매해 평균적으로 15.5%입니다. 대학들은 총기부금 중 보통 4.4%만을 대학교육에 사용합니다. 하버드의 경우 기부금 운용으로 인한 수익이 입학금수입의 25배나 돼요. 하버드 학부학비가 4년제 프로그램 하나에 대충 18만불 정도 합니다. 살짝 덜 잘 사는 이들조차도 아예 입학을 생각도 않을 수준이죠.  

의원들이 기부금 총액이 1조가 넘는 90여개의 대학들에 대하여 연간 수익금의 25% 정도를 학교학비에 사용하지 않으면 세금면제를 철회하는 법안을 상정한 적이 있지요. 그 의원들 중 뉴욕공화당의원도 있다고 하는군요.

하버드대학 측은, 기부금은 기부자들에 의해 정해진 목적이 따로 있고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해서 학비보조로 돌리기가 어렵고 자기네들은 이미 지난 10년동안 1조 4000억원의 학비보조금을 지급해왔다고 이야기하고 있네요. 론은 대학의 보조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은 여전히 매해 4만 5천불의 학비를 감당해야 한다고 너무 비싸다고 말하고요.

그런데 실제 하버드 기부금의 70%만 묶여 있고 30%는 이용에 제한이 없습니다. 전체 기부금의 고작 4%면 전 학부생 학비전액면제가 가능합니다. 하버드는 부정하지만 자세히 보니 아이비 학교에서 미국 아시안 학생들을 비토한 것이 역력하더란 얘기도 나오네요. 첫번째 링크 가시면 다른 아이비들의 아메리칸 아시안 학생 입학추이가 나오는데 다들 줄어들고 있어요. 오.. 그런 줄 몰랐다는.. 그런데 이게 아시안이 중동사람들도 아시안이라 그게 어떻게 반영된 건지는 모르겠어요. 지금 imgur에서 업로드가 안 돼요. 첫번째 링크 가시면 아이비대학의 인종별 입학생비율이 년도상으로 나와 있어요.

딴 나라 대학 이야기지만 신기해서요. 돈 엄청 많지 않나요. 좀 쓰지 넘한다는...뉴욕타임즈 댓글을 보니, 하버드 대학입학생들 중 부자들이 참 많거든요. 14%가 탑 1% 부자래요. 이거 다 공짜로 하면 부자들만 좋은 거 아니냐고 하는데 어차피 기부금에서 돌려쓰는 거니까 뭐 나쁘지 않은 것도 같고. 기부금이 너무 헉 소리나게 많다 보니.









5


    Beer Inside
    14%가 뭐 대부분 부자이고, 아마 대대 손손 기부금을 내는 집안일수도 있지요. (저 건물이름이 할아버지이름을 딴 것이고, 저 건물의 전기와 수도세는 아버지가 부담하는 정도...응?)

    부자에게서 등록금을 받는 것과 받지 않는 것은 별차이가 없으니.... (미국의 상위 1%면 재산이 얼마나 되려나...), 가난한 사람에게 받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기는 합니다.
    눈부심
    네.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제안인 것 같아요. 현실성이 없어 글치 ㅋ.
    비어님 혹시 제 글 <맛없는 것 투성이었던 옛날>에 추천 다셨어요? 촉이 막 와요.
    Beer Inside
    저 제안의 무서운 점은 현실성이 있다는 점이지요.

    그만큼 하바드가 벌어들이는 돈과 기부금이 엄청나다는 것이기도 하구요.

    (지금가서 추천해야겠어요...)
    눈부심
    아 매우 현실적인 대안이네요. 이유는 타당한데 다만 안 통과시켜 줄 것 같아요.
    그 글에 어투가 딱 맞으신데;;
    이랬지요 저랬지요 이러시는데. 아! 뭘 또 가서 추천을 하고 그러쎄여!
    하버드쯤 되는 대학이 입학정보공개가 투명하게 안 되어있었나 보군요... 그건 그렇고 기부 엄청들 하네요.
    눈부심
    좀 부자들 위주로 입학을 시키는가 봐요.
    새의선물
    이게 좀 그런게...

    얼마전에 어느 웹사이트 돌아다니다가 본 글인데, 하버드인지 예일인지 조기입학을 한 애가 학비문제를 하더라고요. 부모가 연봉 30만불 정도 되는 집인데, 수백만불짜리 집에 각종 호화로운 생활을 하면서 애 학비로 20만불을 저금해 뒀대요. 아마 529펀드 같은데... 암튼 그 애가 하는 이야기가 학교에서 자기한테 전액 수업료를 내라고 하는데, 20만불로는 일년에 6만5천불 하는 학비를 낼 수가 없다. 왜 파이낸셜 에이드를 더 안주냐는 식으로 글을 올렸더라고요.

    뭐, 댓글이야 안봐도 뻔한... 네 부모한... 더 보기
    이게 좀 그런게...

    얼마전에 어느 웹사이트 돌아다니다가 본 글인데, 하버드인지 예일인지 조기입학을 한 애가 학비문제를 하더라고요. 부모가 연봉 30만불 정도 되는 집인데, 수백만불짜리 집에 각종 호화로운 생활을 하면서 애 학비로 20만불을 저금해 뒀대요. 아마 529펀드 같은데... 암튼 그 애가 하는 이야기가 학교에서 자기한테 전액 수업료를 내라고 하는데, 20만불로는 일년에 6만5천불 하는 학비를 낼 수가 없다. 왜 파이낸셜 에이드를 더 안주냐는 식으로 글을 올렸더라고요.

    뭐, 댓글이야 안봐도 뻔한... 네 부모한테 물어봐라라는게 대부분인데.

    -----

    사실 문제는... 하버드를 비롯한 일부 상위권 대학에서 제공하는 need based financial aid는 저소득층은 돈을 거의 안내거나 적게내고, 고소득층은 돈을 더 내는 구조인데, 이런것들 때문에 공부를 잘하거나 재능이 있는 학생들이 상위권 학교에서 공부를 할 기회를 가질 수가 있어요. 합격만 하면 빛은 거의 없이 졸업할 수 있는 학교들이죠. 문제는 그것보다 조금 떨어지는 학교들, 그러니까 대다수의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들은 financial aid가 대부분 성적장학금이고 그 숫자도 극히 적어서 문제예요. 결국 학생들이 론을 상당히 많이 얻어야 학교를 다닐 수 있거든요.

    하버드라고 해 봤자 일년에 1600명정도 입학하고 학부생들 다 합쳐도 6500명에 불과해요. 소위 아이비라고 하는 학교들 전부 합쳐봤자 학부생들은 5만명정도거든요. 반면 미국에서 2년제와 4년제 대학을 합쳐서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숫자를 전부 합치면 1천8백만명정도고요. 학비와 관련해서 해야 정말로 도움을 주려면 일단 커뮤니티 컬리지나 주립대들부터 학비를 더 낮추는 방향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요즘에는 주립대도 비싸서...
    Beer Inside
    그래서 하버드라서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기부금도 많고, 학생수도 얼마되지 않고..... 재정도 튼튼하고......
    새의선물
    하버드가 아니어도 전액 장학금으로 다니는 학교들이 있기는 해요. 워낙에 드물어서 그렇지.

    사실 개인적으로 저런 글을 보면서 느끼는건 그냥 튀어보려는 글을 쓴게 아닌가 싶다는 생각을 많이해요. 현실적으로 일방대중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건 오바마가 주장했던 community college를 무료로 다닐 수 있게 한다던가 하는게 아닌가 싶거든요. 공부를 아주 잘하는 저소득층은 가장 좋은 대학들에서 need based로 지원을 받거나, 눈높이를 조금 낮춰서 성적 장학금으로 학교를 다닐 수 가 있어요. 그런데 사회라는게 그런 사람들만 있는게 아니니까요. 그리고 장래 직업이라는게 아주 단순직은 더 이상 필요가 없는 세상인지라, 어느 정도 계속 공부하는게 필요한데, 현재 미국 시스템은 그게 부셔져나갈 정도로 학비가 비싼 상황이래서요.
    Beer Inside
    뭐... 학비는 한국도 이제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하버드가 하면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는 것이고, 돈도 많은 학교이니 할 수도 있구요.
    눈부심
    애들이 돈이 어딨다고 교육비 해도해도 너무한 것 같아요. 학비가 엄청나게 높은 상태에서 그랜트 말고도 연방정부론이 그냥 아무 학교나 다니면 풍성하게도 나오던데 이것도 잘못된 것 같아요. 서브프라임 몰기지도 아니고 론이 너무 쉽게 나오는데다 이자가 싸지도 않아요.
    새의선물
    정부의 론도 풍성하게 나오는게 아니예요. Pell Grant라는게 있는데, 이건 갚지 않아도 되는 장학금으로 부모 수입이 전혀 없으면 일년에 5000불 정도 주면서 부모 수입이 65000불 정도 되면 Pell Grant는 전혀 없어요. 그 외 정부에서 보조해주는 론이 있는데, 1-2학년때는 오천불까지 빌릴 수 있고 3-4학년때는 7천5백불까지 빌릴 수 있어요. 이자율이 4.3% 정도예요. 그 외 모자라는 부분에서 정부에서 부모를 통해서 주는 론이 있는데 이건 이자율이 7% 근처예요. 이것도 못 받으면 private loan인데 이건 이자율이 너무 높고요.
    눈부심
    부모들 론 7%는 도대체 왜 그러는지 모르겠어요. 교육에 쓰는 돈인데 정부가 고리대금업자도 아니고 말이에요.
    잘 읽었습니다. 하버드가 부유한 소수 고객님들을 모아 학위 장사를 쏠쏠하게 해서 돈을 엄청 많이 벌어놓았네요. 한 해 학부생 정원이 1600명이면 하버드가 보유한 물적 자원에 비해서 너무 적은 거 아닌가 싶은데, 그런 조그만 공동체(크기에 비해 너무 많은 특혜를 가진 공동체군요) 차원에선 학비 무료화든 뭐든 어떤 개혁을 하는 게 사회적으로 아주 큰 의미는 없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일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수가 너무 적어서...;;
    아이비 리그에서 아시안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건 통계상 개연성이 있어 보여요. 그 문... 더 보기
    잘 읽었습니다. 하버드가 부유한 소수 고객님들을 모아 학위 장사를 쏠쏠하게 해서 돈을 엄청 많이 벌어놓았네요. 한 해 학부생 정원이 1600명이면 하버드가 보유한 물적 자원에 비해서 너무 적은 거 아닌가 싶은데, 그런 조그만 공동체(크기에 비해 너무 많은 특혜를 가진 공동체군요) 차원에선 학비 무료화든 뭐든 어떤 개혁을 하는 게 사회적으로 아주 큰 의미는 없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일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수가 너무 적어서...;;
    아이비 리그에서 아시안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건 통계상 개연성이 있어 보여요. 그 문제에 대해 Unz 같은 사람들은 적극적 우대조치 같은 규제를 없애고 공정한 자유경쟁을 시키면 자연스럽게 해결된다는 소비자주의적 입장을 대변하는 듯해요. 반면에 아예 신입생 정원을 늘리자든가 하는 좌파적 입장도 있을 수 있겠네요.
    기사 링크를 따라가 보니 랄프 네이더 씨가 운츠(어떻게 읽죠?;;) 씨하고 뜻을 같이하고 있네요. 이 할아버지 아직 살아 있었군요!
    눈부심
    저는 Affirmative Action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데이타를 보고 흠.. 열심히 하는 애들은 더 많고 아시안인구도 증가했는데 입학생이 점점 줄어든 것 보고 좀 충격받았어요. 그래서 생각을 고쳐야하나 어째야 하나.. 이러는 중이에요.
    새의선물
    아시안 학생들의 경우에 너무 몇 몇 학교에만 몰리는게 문제중에 하나예요. 큰 애 학교에서 애들이 어느 학교를 지원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하는데, 성적 좀 좋은 애들은 아이비와 몇 개 상위권 대학에만 몰려서 지원을 해요. 백인애들은 LAC을 비롯해서 좀 다양한 학교에 지원을 하고요. 어떤 아시안 애는 학교 8곳 지원가능한데 아이비 8곳만 지원한 애도 있다고 해요. 큰 애가 다른 학교 지원한 이야기를 했더니, 그런 2류 대학에는 지원을 왜하냐는 식으로 대답을 들었다고 하는데... 뭐랄까 좀 강박적으로 학교 이름에 매달리는 경향이 많더라고요. 암튼 그러다보니 하버드같은 곳의 아시안 비율은 15-20가까이 되는데 비해서 조금만 순위가 떨어지는 학교들에 아시안들 비율은 많이 낮다고 해요. 그런 학교에 아시안이 지원을 하면 조금 덕을 보겠죠.
    눈부심
    그렇군요. 그럼 전체적인 그림을 보면 Affirmative Action이 그리 불공평한 건 아니겠네요.
    Beer Inside
    한국 학생들과 비슷하군요.

    실질적인 삶은 자신이 상위권으로 졸업 할 수 있는 학교를 졸업하는 것이 더 나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대부분은 자신이 문을 닫고 들어갈 학교에 입학하기는 원하는 경향이 있지요.
    새의선물
    그게 미국 상위권 학교들은 성적만으로 뽑는게 아니어서 좀 애매하더라고요. 왜 붙었고 떨어졌는지 짐작이 안간다고 하는경우도 많아요.
    얼마전에 무슨 다큐멘터리에서 하버드 대학내 성폭행에 대해 문제 제의를 한 (여학생 편을 들어준) 교수가 테뉴어 심사에서 짤렸다는(모범 교수 상도 받을 정도로 실력이 있었음에도) 이야기가 잠깐 나왔었는데. 가해자가 학교에 기부를 엄청 하는 집안의 남학생이어서 대학도 어찌 손을 대지 못 하고 교수들도 계속해서 펀딩을 따와야 하기 떄문에 모르는 척 해야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가 나왔었는데. 뭔가 또 다른 이야기가 있을 것 같아요.
    눈부심
    그런일이 있었군요. 의뭉스러운 이야기를 계속 듣다보니 학교가 참 하찮아 보여요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33 기타제가 재미있게 했던 오락실 게임 5탄.jpg 9 김치찌개 16/03/20 11029 0
    2432 기타미국법정에서의 All arise 8 까페레인 16/03/19 4027 2
    2428 기타스타크래프트1 프로게이머 커리어 랭킹 TOP 10 1 김치찌개 16/03/19 8612 0
    2416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31> 17 NF140416 16/03/16 4319 0
    2405 기타알파고의 약점과 마지막 대국 11 애플보요 16/03/15 4118 0
    2404 기타이세돌의 승리는 과연 인류의 승리일까. 7 klaus 16/03/15 4070 0
    2398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30> 32 NF140416 16/03/13 4861 0
    2386 기타[SF단편] 펭귄 밀크 10 중년의 럴커 16/03/11 4742 5
    2381 기타[퍼온글] 욕많이 먹으면 오래 산다고 하는데 그것뿐만은 아닐듯 3 klaus 16/03/11 4320 0
    2378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29> 30 난커피가더좋아 16/03/11 4332 0
    2374 기타현대기아차 플렉시블 커플링 무상수리 해준다네요. 3 스타로드 16/03/10 6157 1
    2360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28> 6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3/09 5382 0
    2351 기타홍각의 판도라 주인공인 나나코로비 네네는 훗날의 쿠사나기 모토코 인가. 6 klaus 16/03/08 7719 0
    2335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27> 35 위솝 16/03/03 5945 0
    2331 기타무료하버드를 추구하는 사람들 21 눈부심 16/03/02 5280 5
    2330 기타장기 묘수풀이 <36> (댓글에 해답있음) 12 위솝 16/03/02 6729 0
    2328 기타인도네시아 이야기 26 Hitam 16/03/01 5257 10
    2325 기타[불판] 필리버스터&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26> 60 위솝 16/03/01 6262 0
    2323 기타지식채널e 시리즈.jpg 2 김치찌개 16/03/01 5182 0
    2321 기타제가 재미있게 했던 오락실 게임 4탄.jpg 5 김치찌개 16/02/29 15373 0
    2319 기타이러니 저러니 해도 치인트 드라마화 이후 인기 좋긴 하군요. 6 klaus 16/02/29 4099 0
    2317 기타[차TEA] 1. 널 잘 모르겠어 그래서 왠지 나랑 잘 맞을 것 같아 feat. 기문 4 펠트로우 16/02/29 4909 5
    2306 기타이땅에서의 필리버스터는 주제에 11 klaus 16/02/28 4268 0
    2304 기타[불판] 필리버스터&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25> 56 위솝 16/02/28 5777 0
    2296 기타설정에 철저히 입각해서 2 klaus 16/02/25 420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