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1/10 11:26:49 |
Name | 눈부심 |
Subject | MSG, 중국음식만 먹으면... 신드롬 |
출처 : http://fivethirtyeight.com/features/how-msg-got-a-bad-rap-flawed-science-and-xenophobia/ 우리나라엔 중국음식에 대한 그런 속설이 잘 없는 것 같은데 미국에선 중국음식만 먹으면 MSG 때문에 잠이 오거나 목이 마르거나 속이 더부룩하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게 있어요. 요즘은 MSG의 무해성이 꽤 홍보된 상태라 그런 사람들의 경험담을 들으면 도대체 MSG는 어떤 녀석인가.. 의문을 갖게 돼요. 우리나라에서 중국음식하면 짜장면, 짬뽕 등이 있잖아요. 사람들이 유독 짜장면 먹고 나서 MSG 때문에 어쩌구 저쩌구 라고 딱히 콕 찝어 불평하지는 않잖아요. 그냥 모든 바깥 음식을 싸잡아서 MSG가 많이 들어가서 맛이 좋으니 나쁘니 목이 마르니 어쩌니 그러죠. 그런데 미국에선 유독 중국음식을 먹고 나면 MSG 부작용, 그러니까 과학적으로 얘기하자면 근거가 없는 부작용에 대해 자주 호소하는 편이에요. 글쓴이도 그 전에는 중국음식 하면 떠오르는 것이 MSG였고 따라서 중국음식만 먹으면 왠지 두통이 왔고 기분이 나른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MSG를 피하는 식생활이 뭔가 화학약품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자연식을 섭취하는 것 같아서 좋았더랬죠. 이제는 MSG의 무해성이 꽤 많이 뉴스로 쏟아지는 편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최대의 리뷰사이트인 옐프에서는 중국식당에 대한 리뷰에 여전히 중국음식을 먹고 나서 심장이 뛰고 잠을 못잔다는 등의 불평이 눈에 띄어요. 1900년대 초에 일본이 발명하여 맛의 신세계를 연 MSG는 당시 풍미를 더해주는 인기상품으로 대단한 호평을 받았어요. MSG란 건 파르마 치즈나 버섯, 고기 등에 이미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이걸 화학적으로 결정화했을 뿐이에요. 이 상품이 처음 나왔을 땐 부르조아 가정에서 즐겨 사용하는 깔끔하고 현대적인 요리필수품이었죠. 중국에선 육식을 하지 않는 불자들이 채소요리에 열광적으로 첨가하여 섭취했던 인기품이었어요. 급기야 1950년대에 미국도 많은 음식에 MSG 성분을 첨가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Rachel Carson이 'Silent Spring'이라는 책에서 화학약품과 환경파괴문제를 제기하게 되고 이에 더해 연방정부는 화학설탕인 스위트너를 발암성 화학품으로 규정해 제재를 가하게 됩니다(단맛이 강해서 까다로운 승인절차를 더하는 정도). 이 때부터 미국소비자들이 음식에 들어가는 화학첨가료에 대해서도 염려하기 시작했죠. 1968년에 한 의사가 중국음식을 먹고 난 후 가슴이 뛰고 무력감을 느끼며 팔에 고통을 느끼는 등의 불평불만을 어떤 의학지에 게재를 했어요. 그 전에도 연구자들이 MSG섭취와 그에 따른 비슷한 증상에 대해 보고한 적이 있어요. 그 후로부터는 뉴스의 헤드라인마다 ‘중국음식이 우릴 미치게 만드나?’와 같은 자극적인 제목의 뉴스가 쏟아지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런 연구들에는 결점이 많았다고 하는군요. 참여자가 MSG섭취사실을 알고 실험에 임했던 거예요. 이후의 연구에서 MSG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는 사람들이 MSG섭취사실을 모르고 실험에 임한 경우에는 민감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Ian Mosby가 2009년 연구보고서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아마도 MSG가 건강에 해롭다고 하는 설은 중국음식에 많이 들었다고 하는 MSG에 대한 편견이고 이것은 결국 미국이 이국적인 아시아요리를 위험하고 더러운 것이라고 폄하했던 긴 역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게 대중들 사이만의 인식은 아니었어요. 196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중국음식 신드롬’이라는 것이 의학계에서는 하나의 정설로 여겨지기도 했죠. 요즘은 아니라고 합니다. 비록 MSG가 안전하다고 하는 미국의 거의 모든 연구가 MSG관련 산업체의 지원을 받고 이루어졌다고 하지만 그 과학적 기저는 꽤 신용할 만하다고 합니다. 물론 MSG화학성분에 부정적인 반응을 실제로 보이는 이들이 소수 존재하기는 해요. 그치만 흔치 않고 전반적으로 MSG는 안전한 편이라고 하네요. MSG가 무해하다고 해서 사람들이 경험한다고 하는 몸의 불편함이 상상에 그친 불평인 것은 아니에요. 아마 MSG를 섭취하면 고통을 느낀다는 이들은 노시보 효과를 겪는 이들일 거예요. 플라시보효과는 효용이 알려지지 않은 약이나 음식을 섭취하고 긍정적인 효력을 경험하는 증상인데 그 증상이 부정적이면 노시보 효과라고 합니다(효과가 있는 약을 주어도 환자가 약효를 믿지 않으면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네요). 한 번 심어진 공포를 뒤집기란 쉽지 않다고 해요. 백신에 대한 공포도 같은 맥락으로 설명될 수 있어요. 우리의 뇌가 잘못된 결정을 내린 후에는 새로운 정보가 들어왔을 때 그걸 업뎃하려는 노력을 방해한다고 해요. 사실 우리가 먹는 것을 선택할 때 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어요. 지역 경제를 살리고자 하는 대의도 있을 수 있고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이유가 있을 수도 있고 말예요. 이런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사고를 순식간에 바꾸는 것이 쉽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어떤 사실이 맞든 틀리든 우리 선택지의 배경에는 나름 수긍가는 많은 이유가 있을 수가 있는데 MSG 같은 경우 특히나 대중은 과학보다는 당대의 문화나 정치에 더 영향을 받는 것 같다고 글쓴이는 말하고 있습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그런 이야기를 들어본적이 없었는데도, 중국집음식(짜장,짬뽕,볶음밥)을 먹으면 잠이 온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제가 신체 변화에 둔감한 편이거든요. 소화가 잘 안된다거나 얼굴이 붓는다거나(실제론 붓는데) 하는걸 거의 감지를 잘 못합니다.
근데 여러번 반복되니 중국집음식 먹고 졸린건 알겠더라구요.
혹시 국자로 퍼서 넣는다는 MSG때문인가? 라는 생각을 한적도 있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할만한 근거는 없으니 이유는 잘 모르겠다. 근데 졸립더라.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ㅎ
회사동료들에게는 농담으로 중국집에서... 더 보기
제가 신체 변화에 둔감한 편이거든요. 소화가 잘 안된다거나 얼굴이 붓는다거나(실제론 붓는데) 하는걸 거의 감지를 잘 못합니다.
근데 여러번 반복되니 중국집음식 먹고 졸린건 알겠더라구요.
혹시 국자로 퍼서 넣는다는 MSG때문인가? 라는 생각을 한적도 있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할만한 근거는 없으니 이유는 잘 모르겠다. 근데 졸립더라.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ㅎ
회사동료들에게는 농담으로 중국집에서... 더 보기
저는 그런 이야기를 들어본적이 없었는데도, 중국집음식(짜장,짬뽕,볶음밥)을 먹으면 잠이 온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제가 신체 변화에 둔감한 편이거든요. 소화가 잘 안된다거나 얼굴이 붓는다거나(실제론 붓는데) 하는걸 거의 감지를 잘 못합니다.
근데 여러번 반복되니 중국집음식 먹고 졸린건 알겠더라구요.
혹시 국자로 퍼서 넣는다는 MSG때문인가? 라는 생각을 한적도 있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할만한 근거는 없으니 이유는 잘 모르겠다. 근데 졸립더라.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ㅎ
회사동료들에게는 농담으로 중국집에서는 요리에 잠오는 약을 타는 것 같다. 라고 말하곤 합니다.
제가 신체 변화에 둔감한 편이거든요. 소화가 잘 안된다거나 얼굴이 붓는다거나(실제론 붓는데) 하는걸 거의 감지를 잘 못합니다.
근데 여러번 반복되니 중국집음식 먹고 졸린건 알겠더라구요.
혹시 국자로 퍼서 넣는다는 MSG때문인가? 라는 생각을 한적도 있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할만한 근거는 없으니 이유는 잘 모르겠다. 근데 졸립더라.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ㅎ
회사동료들에게는 농담으로 중국집에서는 요리에 잠오는 약을 타는 것 같다. 라고 말하곤 합니다.
거참... 전 저런 과학적 근거나 지식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개인적으로는 약간 아토피성의 문제도 있고 느낌에 다소 신경쓰고 민감한 편이어서 그런지... MSG의 유해함까지는 몰라도 흔히 쓰이는 식품 첨가물 중에 결코 우리에게 무해하지 않은 것들이 -졸음이나 두통, 피부의 가려움이나 심화시키는 등의 문제는 여러 차례 겪어왔고, 나눠먹든 한번에 먹든 일정량 이상 먹으면 지금도 그런 현상을 쉽게 나타나고요. 뭐 노시보성이 있겠지만 그렇다고 보기엔 눈에 보이는 형태로도 반복해서 경험하는 게 있는지라...- 분명히 있다고 보는 입장이어서... 더 보기
거참... 전 저런 과학적 근거나 지식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개인적으로는 약간 아토피성의 문제도 있고 느낌에 다소 신경쓰고 민감한 편이어서 그런지... MSG의 유해함까지는 몰라도 흔히 쓰이는 식품 첨가물 중에 결코 우리에게 무해하지 않은 것들이 -졸음이나 두통, 피부의 가려움이나 심화시키는 등의 문제는 여러 차례 겪어왔고, 나눠먹든 한번에 먹든 일정량 이상 먹으면 지금도 그런 현상을 쉽게 나타나고요. 뭐 노시보성이 있겠지만 그렇다고 보기엔 눈에 보이는 형태로도 반복해서 경험하는 게 있는지라...- 분명히 있다고 보는 입장이어서... 또 저런 연구결과들이나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말이 무해함이 증명됐다는 것보단, 아직까진 아주 미세하고 복합적인 요인까지 캐치하고 증명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하지 못했다 정도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마음이 실제 현상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들도 있지만 아무리 노시보라고 한들, 실제 해롭지 않은 걸 부정적으로 인식했다고 해서 그렇게 스스로 체감되고 때론 눈에 보일 정도의 현상들이 나타나는 건 상식밖의 일이며 그럴 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는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되느냐, 어디까지 그러하냐의 개별적 차이는 있을지 모르겠으나...
아무튼 전 건강하지 못한 방식으로 마구 처먹으면서(?) 음식으로 인한 부정적인 느낌과 반응을 겪어본 입장에서, 대다수 사람들에게 적용될만한 유해함이 아직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해서 무해하다는 식으로 보도하는 것은 좀 지양해야 하지 않나 하는 뭐 그런 생각이 강하네요. 아는 주변 의사 분도 보통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지, 대부분의 사람들도 안 좋은 음식을 먹고 난 뒤에 충분히 부정적인 느낌과 증상을 캐치할 수 있다고도 하시고...
마음이 실제 현상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들도 있지만 아무리 노시보라고 한들, 실제 해롭지 않은 걸 부정적으로 인식했다고 해서 그렇게 스스로 체감되고 때론 눈에 보일 정도의 현상들이 나타나는 건 상식밖의 일이며 그럴 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는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되느냐, 어디까지 그러하냐의 개별적 차이는 있을지 모르겠으나...
아무튼 전 건강하지 못한 방식으로 마구 처먹으면서(?) 음식으로 인한 부정적인 느낌과 반응을 겪어본 입장에서, 대다수 사람들에게 적용될만한 유해함이 아직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해서 무해하다는 식으로 보도하는 것은 좀 지양해야 하지 않나 하는 뭐 그런 생각이 강하네요. 아는 주변 의사 분도 보통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지, 대부분의 사람들도 안 좋은 음식을 먹고 난 뒤에 충분히 부정적인 느낌과 증상을 캐치할 수 있다고도 하시고...
MSG는 뭐 만들자 마자 한국에서 즉작적으로 판매했을 만큼 인기가 있었다고 하지요.
특히 냉면 같은 경우는 아니노모도가 들어가지 않으면 전통 냉면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냉면이 대중화 된 것이 냉장고의 도입과 함께 라고 하는데, 그 때 부터 아지노모도를 판매했으니까요.)
아지노모도는 회사의 크기는 모르겠지만 아직도 유명한 회사이지요.
https://namu.wiki/w/MSG
... 더 보기
특히 냉면 같은 경우는 아니노모도가 들어가지 않으면 전통 냉면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냉면이 대중화 된 것이 냉장고의 도입과 함께 라고 하는데, 그 때 부터 아지노모도를 판매했으니까요.)
아지노모도는 회사의 크기는 모르겠지만 아직도 유명한 회사이지요.
https://namu.wiki/w/MSG
... 더 보기
MSG는 뭐 만들자 마자 한국에서 즉작적으로 판매했을 만큼 인기가 있었다고 하지요.
특히 냉면 같은 경우는 아니노모도가 들어가지 않으면 전통 냉면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냉면이 대중화 된 것이 냉장고의 도입과 함께 라고 하는데, 그 때 부터 아지노모도를 판매했으니까요.)
아지노모도는 회사의 크기는 모르겠지만 아직도 유명한 회사이지요.
https://namu.wiki/w/MSG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A7%80%EB%85%B8%EB%AA%A8%EB%8F%84
한국에서는 대상에서 미원을 만들어서 나름 대기업까지 깠으니....(임세령)
특히 냉면 같은 경우는 아니노모도가 들어가지 않으면 전통 냉면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냉면이 대중화 된 것이 냉장고의 도입과 함께 라고 하는데, 그 때 부터 아지노모도를 판매했으니까요.)
아지노모도는 회사의 크기는 모르겠지만 아직도 유명한 회사이지요.
https://namu.wiki/w/MSG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A7%80%EB%85%B8%EB%AA%A8%EB%8F%84
한국에서는 대상에서 미원을 만들어서 나름 대기업까지 깠으니....(임세령)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