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5/04/08 20:29:20 |
Name | 흑마법사 |
File #1 | 1513.jpg (271.1 KB), Download : 2 |
File #2 | KakaoTalk_20250408_202247657.jpg (285.1 KB), Download : 2 |
Subject | 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
세상에는 아주 많은 사람이 있습니다.(그중 절반은 없어져도 될거같지만....) 사람을 그릴려면, 사람을 소재로 그릴려면 사람을 관찰해야하고 사람에게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을 적당히 그리면, 사람들은 알아보거든요. 아, 얘 사람볼줄 모르네 하고 말이죠. 그래서 사람을 그리고 싶을 때는 사람을 관찰해야 합니다. 세상에는 온갖 다양한 사람이 있고, 인종별로도 다르고, 나라별로도 다르고, 시대별로도 다르고, 같은한민족이어도 다르고, 가족이어도 다릅니다. 누구나 개인의 성향을 갖고 있으며,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이 모여 모임을 만들기도 하지만, 각자의 의견은 조금씩 다르기 마련입니다. 심지어 쌍둥이도 성향이 달라요. 그것이 사람입니다. 사람들의 성향,성격은 환경과 유전에 의해서 달라집니다. 하지만 인스타툰을 그리고자 할 때 그정도까지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인스타툰은 가볍고 즐거우며 웃어넘기고 행복하고 좋네 하며 보고 지나가는 것이니까요. 그렇지만 사람에 대한 관심이 없다면, 인스타툰은 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인스타툰은 사람에 관한 이야기거든요. 그래서 버스를 타거나, 전철을 타거나, 회사에서 회의를 하거나, 가족들과 밥을 먹거나, 온라인에서 게임을 할 때 모니터 너머의 사람을 관찰해야 합니다. "왜?" "왜 그렇게 행동할까?" "왜 이렇게 반응할까?" "왜 이걸 좋아할까?" "왜 이걸 싫어할까?" 이유가 중요합니다. 그것은 모든 사람들의 욕구와 성향과 생활의 원천이니까요. 두번째 그림의 할머니를 관찰해봅시다. 이 할머니는 버스 안이에요. 빈 의자가 보이는데 할머니는 앉지 않아요. 왜 앉지 않으실까? 이제 내리시나? 아무래도 내리는 문 앞의 기둥을 잡고 내리실려고 하는 거 같아요. 등에 짐이 많아보여요. 장을 보신 걸까요? 대파와 감자, 기타 비닐봉투뭉치가 엄청나게 많아요. 등이 굽은 할머니에게는 너무 무거운 짐이고, 할머니 혼자서는 다 못드실거같아요. 왜 이렇게 많을까요? 이 짐을 샀을까요, 팔러 가시는 걸까요? 할머니는 옷을 보니 겨울인거같아요. 그런데 특이하게 신발이 비닐로 감싸져 있어요. 이건 왜 이럴까요? 밖에 비가 오나요? 할머니의 신발은 너무 낡아서 비가 새서 비닐봉투를 신으신 걸까요? 할머니의 가족은 어디 있을까요? 할머니는 혼자 사실까요? 아니면 의외로 다복하셔서 자식손자증손자까지 다 보셧을까요? 할머니의 집은 어디일까요? 부자일까요 가난할까요? 부자여도 자신이 텃밭에서 농사지은걸 직접 파시는 걸까요? 옛날에 농사를 하셨을까요? 아니면 어릴때도 나이들어서도 농사로 간신히 생활하시는 걸까요? 등등 이런식으로 "왜"를 붙이면서 궁금해하면, 이야기가 만들어집니다. 인스타툰은 사람이 보고 사람이 그리는 사람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어떤 장르여도 상관없이 사람에 대한 관찰을 하고, 가볍게 풀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 사람을 관찰 해봅시다! 19
|
사람 관찰을 통해 영감을 얻는 방법에 대한 글을 읽고 감탄한 뒤에
글귀 속 통찰력을 칭찬하는 ai의 데이터 분석과 프롬프트 명령으로 살짝 얹은 칭찬 한마디를 보니
뭔가 공유해야지 글을 써야지 하는 마음으로 주제 몇가지를 붙잡고 있기는 한데, 갈대같은 기분의 문제겠지만
앞으로 긴 글을 쓰고 싶어지지는 않네요.
앞으로 커뮤니티 내 ai 운용에 고민이 많으시겠지만, 첫 댓글의 중요성을 곱씹으며 고민하다 댓글답니다.
글귀 속 통찰력을 칭찬하는 ai의 데이터 분석과 프롬프트 명령으로 살짝 얹은 칭찬 한마디를 보니
뭔가 공유해야지 글을 써야지 하는 마음으로 주제 몇가지를 붙잡고 있기는 한데, 갈대같은 기분의 문제겠지만
앞으로 긴 글을 쓰고 싶어지지는 않네요.
앞으로 커뮤니티 내 ai 운용에 고민이 많으시겠지만, 첫 댓글의 중요성을 곱씹으며 고민하다 댓글답니다.
괜찮습니다.
저도 오히려 많은 회원분들이 미리 지적해주셨는데도 불구하고 충분히 주의하지 못하고 행동했던거 같아요.
ikuk님이 나서서 말씀해주셔서 저도 여러번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어요.
이 부분은 정서적으로 비슷하게 느끼는 분들이 많아서 고려해서 ai 노출의 빈도를 줄일 필요가 있을거 같아요.
저도 오히려 많은 회원분들이 미리 지적해주셨는데도 불구하고 충분히 주의하지 못하고 행동했던거 같아요.
ikuk님이 나서서 말씀해주셔서 저도 여러번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어요.
이 부분은 정서적으로 비슷하게 느끼는 분들이 많아서 고려해서 ai 노출의 빈도를 줄일 필요가 있을거 같아요.
1. 클로드는 [(흑마법사님이) 훌륭한 글을 쓰셨어.] 라는 표현에서 생략된 주어를 눈치채지 못하고 본인을 향한 칭찬으로 알아듣고 뻘소리를 했습니다.
2. 그걸 지적하기 위해 저는 추가 댓글을 달았고, 다른 회원님이 그런 클로드의 반응이 우습다는 댓글을 달았지요.
3. 위의 상황으로 인해 읽는 이들이 글 본문의 내용에 대한 집중이 흐트러지고, 본문 내용보다 ai의 행동이 부각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마치 결혼식에 하객이 신부보다 튀는 옷을 입고 나타난 것 같은 효과가 발생한거죠.
4. ... 더 보기
2. 그걸 지적하기 위해 저는 추가 댓글을 달았고, 다른 회원님이 그런 클로드의 반응이 우습다는 댓글을 달았지요.
3. 위의 상황으로 인해 읽는 이들이 글 본문의 내용에 대한 집중이 흐트러지고, 본문 내용보다 ai의 행동이 부각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마치 결혼식에 하객이 신부보다 튀는 옷을 입고 나타난 것 같은 효과가 발생한거죠.
4. ... 더 보기
1. 클로드는 [(흑마법사님이) 훌륭한 글을 쓰셨어.] 라는 표현에서 생략된 주어를 눈치채지 못하고 본인을 향한 칭찬으로 알아듣고 뻘소리를 했습니다.
2. 그걸 지적하기 위해 저는 추가 댓글을 달았고, 다른 회원님이 그런 클로드의 반응이 우습다는 댓글을 달았지요.
3. 위의 상황으로 인해 읽는 이들이 글 본문의 내용에 대한 집중이 흐트러지고, 본문 내용보다 ai의 행동이 부각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마치 결혼식에 하객이 신부보다 튀는 옷을 입고 나타난 것 같은 효과가 발생한거죠.
4. 그래서 그런 상황이 발생한게 유감이다라는 다른 회원분들의 지적이 있었습니다.
5. 저도 그 지적에 동감하기 때문에 동의하고, 흑마법사님께 사과를 드렸습니다.
대충 요런 맥락으로 보시면 되지 싶어요.
2. 그걸 지적하기 위해 저는 추가 댓글을 달았고, 다른 회원님이 그런 클로드의 반응이 우습다는 댓글을 달았지요.
3. 위의 상황으로 인해 읽는 이들이 글 본문의 내용에 대한 집중이 흐트러지고, 본문 내용보다 ai의 행동이 부각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마치 결혼식에 하객이 신부보다 튀는 옷을 입고 나타난 것 같은 효과가 발생한거죠.
4. 그래서 그런 상황이 발생한게 유감이다라는 다른 회원분들의 지적이 있었습니다.
5. 저도 그 지적에 동감하기 때문에 동의하고, 흑마법사님께 사과를 드렸습니다.
대충 요런 맥락으로 보시면 되지 싶어요.
맞아여 그래서 변기통 이전의 인상주의 시절이 마지막 시대상을 표현하는 미술세대였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변기통 너무 의미부여라고 생각하고, 현대미술에서 의미부여는 좋지만, 그걸 글로 말로 설명한다면 그걸 미술이라고 할 수 없다고 봐요. 미술은 결국 보여주는건데, 뭔 설명이 어쩌고 의미가 어쩌고..... 결국은 보이는게 다 여서 현대미술은 크기로 가는 경향이 있고, 유명한게 유명해진다는 경향도 있고.... 제 의견은 그렇습니당 ㅎㅎ
개인적으로 변기통 너무 의미부여라고 생각하고, 현대미술에서 의미부여는 좋지만, 그걸 글로 말로 설명한다면 그걸 미술이라고 할 수 없다고 봐요. 미술은 결국 보여주는건데, 뭔 설명이 어쩌고 의미가 어쩌고..... 결국은 보이는게 다 여서 현대미술은 크기로 가는 경향이 있고, 유명한게 유명해진다는 경향도 있고.... 제 의견은 그렇습니당 ㅎ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