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07 10:20:32 |
Name | 모여라 맛동산 |
Subject | 종교적/무교 가정 중 어디가 더 관대할까? |
오늘 인터넷을 하다가 재미있는 기사를 하나 발견했습니다. 종교적 집안 어린이가 무교인 쪽보다 훨씬 더 이기적...기독교, 이슬람교 집안 대상으로 조사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1107010003952 제목이 살짝 자극적이긴 합니다만, 예전부터 궁금하던 부분이었습니다. 연구 결과는 무교 집안의 어린이가 더 관대하다고 하네요. 우리나라의 경우엔 일부 기독교(인, 집안)가 좀 특이...하긴 해도 세계적으로 보면 기독교가 관대할 거라고 생각했던 터라 신기했습니다. 이 연구는 기독교, 이슬람교, 무교만 대상이 됐다고 합니다. 다른 종교는 표본이 적어서 제외됐다는 내용을 다른 기사에서 봤는데, 그 기사는 찾지 못해 링크를 못 했습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이나, 주변의 모습을 봤을 때에는 어떠신가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모여라 맛동산님의 최근 게시물
|
개인적 경험으로는 어린이중엔 불교가 가장관대하고 다음이 천주교 다음이 기독교였는데 정말 제일 답이 없는건 쥬니어유교였습니다. 어린애 입에서 군자 소인배 뭐 이런 말이 나오는데.
전 저 현상을 \'도덕적 면죄부\' 효과랑 연관시켰을 때 맥락이 통한다고 봐요.
종교가 있는 가정일수록 해당종교가 추구하는 선악의 기준 내에서 나름의 신앙생활을 하는데 그 도덕기준이 세속의 도덕에 부합하든 않든 그것이 도덕이라고 굳건히 믿고 삶으로서 스스로에게 다른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수여하는 효과가 생긴다 봐요. 이를테면 사회심리실험이 증명했듯이 실험자가 피실험자에게 \'나는 환경을 지키는 사람이야\'라는 도덕 의식을 상기시킨 후 유기농식료품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하게 했을 때, 아무 도덕적 의식을 상기시키지 않고 유기농식료품가게... 더 보기
종교가 있는 가정일수록 해당종교가 추구하는 선악의 기준 내에서 나름의 신앙생활을 하는데 그 도덕기준이 세속의 도덕에 부합하든 않든 그것이 도덕이라고 굳건히 믿고 삶으로서 스스로에게 다른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수여하는 효과가 생긴다 봐요. 이를테면 사회심리실험이 증명했듯이 실험자가 피실험자에게 \'나는 환경을 지키는 사람이야\'라는 도덕 의식을 상기시킨 후 유기농식료품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하게 했을 때, 아무 도덕적 의식을 상기시키지 않고 유기농식료품가게... 더 보기
전 저 현상을 \'도덕적 면죄부\' 효과랑 연관시켰을 때 맥락이 통한다고 봐요.
종교가 있는 가정일수록 해당종교가 추구하는 선악의 기준 내에서 나름의 신앙생활을 하는데 그 도덕기준이 세속의 도덕에 부합하든 않든 그것이 도덕이라고 굳건히 믿고 삶으로서 스스로에게 다른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수여하는 효과가 생긴다 봐요. 이를테면 사회심리실험이 증명했듯이 실험자가 피실험자에게 \'나는 환경을 지키는 사람이야\'라는 도덕 의식을 상기시킨 후 유기농식료품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하게 했을 때, 아무 도덕적 의식을 상기시키지 않고 유기농식료품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한 팀보다 쇼핑 후 정크푸드를 사먹는 비율이 더 높았던 것과 비슷하죠.
종교가 끼어들면 이 도덕적 면죄부효과가 큰 파급력을 발휘할 것 같아요. 종교에서 선악의 기준은 상당히 이분법적이고 종교자체가 커다란 믿음을 요하잖아요. 신을 섬기는 행위는 신이 도덕이니까 도덕의식을 늘상 상기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잖아요.
이런 면죄부효과는 약하나마 신을 믿지 않는 사람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일 거예요.
저희 시아주배가 무신론자인데 \'자칭\' 세계의 가난을 타파하기 위해 3D 프린터를 세 대나 집안에 두고 무슨 프로젝트에 임하는 사람임과 동시에 집안에서는 청소도 한 번 안하는 위인에 냉장고 손잡이에 딸기쨈 묻혀놓고 티비리모콘에 버터 범벅을 해 놓고 카펫에 커피 쏟고 여럿이 쓰는 거실이며 부엌 어질러 놓고 식구들에 대한 배려는 하나도 안 하면서 미안한 줄 전혀 모르는 휴먼인데 그 뻔뻔함은 바로 그 빈곤을 타파한다는 대의에 매몰돼서 스스로에게 도덕적 면죄부를 이미 씌워놨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시아주배 먄)
종교가 있는 가정일수록 해당종교가 추구하는 선악의 기준 내에서 나름의 신앙생활을 하는데 그 도덕기준이 세속의 도덕에 부합하든 않든 그것이 도덕이라고 굳건히 믿고 삶으로서 스스로에게 다른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수여하는 효과가 생긴다 봐요. 이를테면 사회심리실험이 증명했듯이 실험자가 피실험자에게 \'나는 환경을 지키는 사람이야\'라는 도덕 의식을 상기시킨 후 유기농식료품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하게 했을 때, 아무 도덕적 의식을 상기시키지 않고 유기농식료품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한 팀보다 쇼핑 후 정크푸드를 사먹는 비율이 더 높았던 것과 비슷하죠.
종교가 끼어들면 이 도덕적 면죄부효과가 큰 파급력을 발휘할 것 같아요. 종교에서 선악의 기준은 상당히 이분법적이고 종교자체가 커다란 믿음을 요하잖아요. 신을 섬기는 행위는 신이 도덕이니까 도덕의식을 늘상 상기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잖아요.
이런 면죄부효과는 약하나마 신을 믿지 않는 사람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일 거예요.
저희 시아주배가 무신론자인데 \'자칭\' 세계의 가난을 타파하기 위해 3D 프린터를 세 대나 집안에 두고 무슨 프로젝트에 임하는 사람임과 동시에 집안에서는 청소도 한 번 안하는 위인에 냉장고 손잡이에 딸기쨈 묻혀놓고 티비리모콘에 버터 범벅을 해 놓고 카펫에 커피 쏟고 여럿이 쓰는 거실이며 부엌 어질러 놓고 식구들에 대한 배려는 하나도 안 하면서 미안한 줄 전혀 모르는 휴먼인데 그 뻔뻔함은 바로 그 빈곤을 타파한다는 대의에 매몰돼서 스스로에게 도덕적 면죄부를 이미 씌워놨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시아주배 먄)
[Children from religious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be identified by their parents as more empathic and more sensitive to the plight of others. They also believe that interpersonal harm is more ‘‘mean’’ and deserving of harsher punishment than non-religious children.
Thus, childre... 더 보기
Thus, childre... 더 보기
[Children from religious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be identified by their parents as more empathic and more sensitive to the plight of others. They also believe that interpersonal harm is more ‘‘mean’’ and deserving of harsher punishment than non-religious children.
Thus, children who are raised in religious households frequently appear to be more judgmental of others’ actions, while being less altruistic toward another child from the same social environment..]
PDF파일 읽어보니까 \'도덕적 면죄부\'효과가 언급되긴 해요. Moral licensing이라고 하는데 종교적인 가정의 부모가 비종교적인 가정의 부모보다 아이에게 남을 잘 이해하니, 타인의 고통에 대한 배려가 있니와 같이 도덕적인 행위에 대해 구분짓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하고, 따라서 종교적인 가정의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이들보다 타인과의 교류에서 해를 끼치는 일이 나쁜일임을 더 잘 인지하는 편이라 잘못을 저지른 이에 대해 더 가혹하게 벌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대요. 이 때문에 남들에게 도덕적 잣대를 더 심하게 갖다대는 경향이 있다고 해요. 반면 이타심은 덜하다는군요.
[The phenomenon of moral licensing is well established in a variety of domain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It can disinhibit selfish behavior and reduce prosocial behavior [28] and may account in explaining how children raised in religious households, who are perceived to be more empathetic and sensitive to justice, are in fact less altruistic to their own class mates.]
도덕적 면죄부효과라는 건 이기적기고 덜 사회적인 행동을 발현시키기도 하는데 종교적인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의 경우 가정에서 공감력이 뛰어나다거나 정의에 민감하다는 소리를 들은 애들일수록 급우들에 대한 이타심은 덜하다고 하네요.
사회경제적 환경도 고려를 했는데 1이 초등교육만료이고 6이 석박사 학위만료의 교육수준이라면 평균이 4.6 이고 표준편차가 1.24, 초등교육만료자는 전체의 1%미만이었다고 하는데 이걸 어떻게 변수요인이 되지 않도록 데이타에 적용했는지는 모르겠어요..
Thus, children who are raised in religious households frequently appear to be more judgmental of others’ actions, while being less altruistic toward another child from the same social environment..]
PDF파일 읽어보니까 \'도덕적 면죄부\'효과가 언급되긴 해요. Moral licensing이라고 하는데 종교적인 가정의 부모가 비종교적인 가정의 부모보다 아이에게 남을 잘 이해하니, 타인의 고통에 대한 배려가 있니와 같이 도덕적인 행위에 대해 구분짓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하고, 따라서 종교적인 가정의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이들보다 타인과의 교류에서 해를 끼치는 일이 나쁜일임을 더 잘 인지하는 편이라 잘못을 저지른 이에 대해 더 가혹하게 벌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대요. 이 때문에 남들에게 도덕적 잣대를 더 심하게 갖다대는 경향이 있다고 해요. 반면 이타심은 덜하다는군요.
[The phenomenon of moral licensing is well established in a variety of domain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It can disinhibit selfish behavior and reduce prosocial behavior [28] and may account in explaining how children raised in religious households, who are perceived to be more empathetic and sensitive to justice, are in fact less altruistic to their own class mates.]
도덕적 면죄부효과라는 건 이기적기고 덜 사회적인 행동을 발현시키기도 하는데 종교적인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의 경우 가정에서 공감력이 뛰어나다거나 정의에 민감하다는 소리를 들은 애들일수록 급우들에 대한 이타심은 덜하다고 하네요.
사회경제적 환경도 고려를 했는데 1이 초등교육만료이고 6이 석박사 학위만료의 교육수준이라면 평균이 4.6 이고 표준편차가 1.24, 초등교육만료자는 전체의 1%미만이었다고 하는데 이걸 어떻게 변수요인이 되지 않도록 데이타에 적용했는지는 모르겠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