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5/26 16:58:44수정됨
Name   메존일각
Subject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기 위한 적정 셔터 스피드 구하기
우리가 사진을 촬영할 때, 대낮에는 대충 찍어도 사진이 흔들리지 않지만 실내나 저녁~밤에는 신중하게 찍어도 사진이 흔들리는 경우를 흔하게 봅니다. 받아들이는 빛의 양에 따라 카메라의 셔터 스피드가 변화하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기 위해 셔터 스피드를 어떻게 맞추는 게 좋은지 적어보려고 합니다. 귀찮으니 이미지 따위는 없...습니다. (???)


#손떨방? 핸드블러?

손떨방이 뭡니까. 수전증 아니아니 삼각대 등의 도구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카메라를 손에 들었을 때 발생하는 흔들림, 즉 핸드 블러를 막아준다는 거 아닙니까? 그렇다면 흔들림이 뭘까요? 필름을 쓰던 시절에는 필름의 착란원 직경 얼마에서 어떤 수준에 도달했을 때 '초점이 맞고' '흔들리지 않은 것'으로 취급하기도 했...는데요. 이런 얘기까지 하면 너무 산으로 가니까 거칠게 생략하겠습니다.(야매글의 한계)

사진을 찍을 때는 셔터스피드(이하 셔속)를 높일수록 흔들릴 확률이 줄어듭니다. 예컨대 셔속이 (거리에 따라 어떤 움직이냐에 따라 다르지만 대충) 1/2000s 이상이면 어지간하면 (포커스가 잘 맞았냐는 별개로 하고) 카메라가 막 흔들리는 와중에 셔터를 눌러도 피사체가 거의 정지한 것마냥 선명하게 찍힙니다.

하지만 빛이 적은 환경일수록 셔속이 낮아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셔속에서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는 매우 중요합니다. 조금이라도 빛을 더 끌어모으기 위해, 내 능력이 닿는 만큼 셔속을 낮추려 하기 때문입니다.


#흔들림 없는 사진의 요구 셔속은?

그러면 사진을 찍을 때 적정 셔속은 얼마일까요? 이론적으로는 [렌즈 초점거리와 동일한 수치의 셔속](초점거리=1/셔속s)을 미니멈으로 계산합니다. 50mm 초점거리 렌즈면 1/50s, 200mm 초점거리면 1/200s 정도로 잡습니다. 망원으로 갈수록 흔들림폭이 커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셔속도 커지는 것이죠.

하지만 셔속과 초점거리가 동일한 건 미니멈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실제로는 이 정도 셔속만으로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기는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초점거리x2 정도가 권장 셔속으로 얘기됩니다. (공식적인 건 아닙니다) 85mm 초점거리면 1/170s 이상을 잡아주시는 게 좋고, 200mm 초점거리면 1/400s 이상 잡아주시는 게 좋습니다.


#카메라 손떨림 보정 기능의 이해

요즘 카메라에는 핸드블러를 최소화하는 소위 손떨방(손떨림방지) 기능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 바디는 기본이고 손떨방 기능이 있는 렌즈도 있습니다. 근데 '손떨방'이란 표현은 적절하지 않으며, [손떨보](손떨림 보정, OIS[Optical Image Stabilizer])가 더 맞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손떨방이란 말이 더 흔하게 사용되니까 계속 그대로 쓰겠습니다.

카메라의 기능을 설명하면서, 손떨림 보정 기능이 몇 스탑이나 렌즈 손떨방이 몇 스탑이냐 하는 식으로 [스탑]이란 용어를 함께 사용합니다. 카메라에서 스탑이란 빛의 증감을 표현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빛의 양을 몇 배 증감할 만큼 셔속을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의 제곱 개념으로 표현되며 3스탑은 2^3이니까 8배가 됩니다.

즉, 3스탑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제공되는 카메라는, 현재 설정된 셔속에서 8배 높은 셔속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해준다는 얘기입니다. 예컨대 카메라의 셔속이 1/100s면 1/800s와 동일한 성능이라는 거죠.(자세히 파고들면 얘기할 거리가 많은데 일단 이 정도로)

그러면 3스탑 보정 기능을 지닌 카메라에 70-200mm 렌즈를 장착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최대 초점거리인 200mm로 촬영한다면 1/400s(초점거리x2) 정도는 돼야 하고, 스펙상으로는 카메라의 3스탑 보정 기능으로 8배 낮은 1/50s 셔속으로도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정말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얻으려면

한데 좀 이상합니다. 요즘 나오는 카메라들의 손떨방은 5~6스탑 정도이고 때로는 렌즈의 손떨방 기능의 도움도 받을 수 있는데요. 5스탑이면 32배이며, 200mm 초점거리의 권장 셔속인 (1/400s)/32 = 12.5. 200mm 망원에서 고작 1/12.5s 셔속만으로 사진이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게 정말일까요? 믿을 수 있으신가요?

운이 좋다면 그럴 수도 있겠죠. 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기 어려운 얘기입니다. 여기에서 두 가지를 추가로 고려해야 합니다.

1) 인간이 핸드헬드로 가능한 셔속은?

사진을 찍는(=셔터 버튼을 누르는) 건 보통 사격(shooting)으로 얘기됩니다. 소총을 사격할 때는 총의 개머리판을 최대한 어깨에 밀착한 채, 숨을 들이마신 다음에 2/3 정도 내뱉고 멈춰서 쏘라고 합니다. 사진도 거의 비슷합니다. 팔을 몸통에 딱 붙이고 숨을 멈춘 채 셔터를 눌러야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도 훈련된 사진사의 경우 1/30s를 거의 미니멈으로 봅니다. 일반인의 경우는 분당 정상 심장 박동수인 60회에 맞춰 1/60s를 미니멈으로 잡습니다. 이 이하의 셔속으로 촬영할 수 없다가 아니고, 이 정도를 안정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미니멈으로 본다는 얘기입니다. 흥분되어 심장 박동이 빨라지면 셔속도 비례해서 올라가겠죠. 

2) 제조사의 스펙 사양이 뻥카일 경우?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N스탑은 자기들의 측정 기준에 의해 어느 정도 보정을 하게 됩니다. 복잡하게 설명하기는 좀 그렇고, 손떨방 기능은 '손떨림을 완전히 막아준다'는 게 아니고 흔들리는 사진을 얻을 확률을 줄여준다라고 보는 게 가장 현명합니다. 경험적으로 통상 제조사 제시 스펙을 절반 정도로 낮춰서 생각하면 대충 큰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4스탑이면 2스탑, 5스탑이면 2.5스탑, 6스탑이면 3스탑 정도로만 계산하는 거죠.

6스탑 보정이 되는 카메라로 200mm 초점거리 촬영을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1/400s에서 3스탑 낮춘(400/2/2/2 = 50) 1/50s보다 높으면 실질적으로 쓸 만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 겁니다.

1)과 2)를 함께 고려하여 사람이 물리적으로 흔들림 없이 찍을 수 있는 셔속으로 보정해주셔야 합니다.

따라서 손떨방 기능이 아무리 훌륭해도, 개인의 능력치에 따라 적정 셔속은 다르겠지만 전문가 기준 1/30s, 저 같은 일반인 기준 1/60s 정도는 돼야 가까스로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건 미니멈 수치니까 사격하듯이 흔들림을 최소화시키고 신중하게 찍어야 하는 것이고, 당연히 이보다 더 높은 셔속이 권장됩니다.

제 경우 85mm 렌즈를 마운트하고 야간에 1/30s까지 셔속을 낮추는 경우가 간혹 있지만 정말 사격하는 느낌으로 신중하게 찍고, 결과물을 확대해서 흔들림이 없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그리고 대개는 35mm 이하의 광각이라도 1/60s 이상으로 찍습니다.


#결론 및 요약
글을 황급히 마무리한 것 같아 결론 및 요약을 추가하였습니다.

1) 흔들림 없는 상을 얻기 위한 적정 셔터 스피드는 렌즈 초점거리 X 2 정도로 계산하는 걸 권장.
2) 요즘 카메라에 대부분 포함된 손떨림 방지 기능은 제시 스펙의 절반 정도로만 계산하는 게 적당. (4스탑이면 2스탑으로, 5스탑이면 2.5스탑으로)
3) 사람은 숨을 쉬고 완전히 정지 움직임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전문가 기준 1/30s, 일반인 기준 1/60s 셔속을 미니멈으로 계산하는 것이 적당.
4) 2)와 3)을 둘 다 고려하여 더 고속 셔터 스피드를 구하면 됨. (카메라 손떨방을 고려했을 때 1/50s가 나오더라도 1/60s로 맞춰서 촬영) 


# 참고

핸드블러 말고 모션블러도 있습니다. 사람이 가만히 있을 때, 걸을 때, 뛸 때, 자동차가 지나갈 때를 흔들림없이 잡으려면 거리에 따라 요구되는 셔속도 달라집니다. 예컨대 (거리를 빼고 말하더라도) 일반적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은 1/15s 이상 돼야 한다고 얘기됩니다.

또, 스튜디오 촬영에서 권장되는 셔속은 1/125s~1/250s입니다. 보통 스튜디오에서 격렬한 움직임을 촬영하진 않기 때문에 피사체의 모션블러보다는 핸드블러를 막을 수 있는 안정감 있는 셔속으로 이 정도를 얘기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적정 셔속 구하기 글을 마칩니다.
사실 잘 몰라도 되는 영양가 없는 내용인데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738 의료/건강응급실 이용 경험 인터뷰 연구 참여자 모집하고자 합니다. 13 saint 24/06/11 834 0
    14737 IT/컴퓨터애플의 쓸대없는 고집에서 시작된 아이패드 계산기 업데이트 8 Leeka 24/06/11 984 0
    14736 사회장애학 시리즈 (4) - 장애를 가진 아이를 키우고 가르친다는 것 2 소요 24/06/11 524 6
    14735 일상/생각악몽 1 Xeri 24/06/11 312 4
    14734 IT/컴퓨터인공지능과 개발자 12 제그리드 24/06/10 822 5
    14733 게임스파 6 캐릭터 선택 가이드 - 모던 캐릭터 11개 플레이해본 경험을 중심으로 7 kaestro 24/06/10 328 2
    14732 의료/건강신체(근골격) 밸런스, 발목에 대하여 5 블리츠 24/06/07 852 0
    14731 음악[팝송] 알렉 벤자민 새 앨범 "12 Notes" 김치찌개 24/06/07 192 0
    14730 일상/생각구직을 마무리하며 - 많은 분들에게 감사했던 시간 16 kaestro 24/06/06 820 12
    14729 사회한국 징병제의 미스테리 19 카르스 24/06/06 1353 4
    14728 경제상속세율이 실제로는 꽤 높은 한국, 해외는 왜 내려갔나.. 32 Leeka 24/06/05 1800 0
    14727 경제규모의 경제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것 (feat 스벅, 애플) 8 Leeka 24/06/05 1071 0
    14726 일상/생각남자친구에게 전화가 왔다 15 골든햄스 24/06/04 1574 11
    14725 스포츠[MLB] 최지만 방출 김치찌개 24/06/04 637 0
    14724 방송/연예하이브&민희진 사건 판결문 전문 + 변호사들 의견 41 Leeka 24/06/03 1508 0
    14723 사회낙관하기는 어렵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흘러가는 한국 사회 11 카르스 24/06/03 1237 11
    14722 일상/생각트라우마와의 공존 8 골든햄스 24/05/31 732 20
    14721 스포츠[MLB] 고우석 DFA 1 김치찌개 24/05/31 459 0
    14720 음악[팝송] 제스 글린 새 앨범 "JESS" 김치찌개 24/05/31 204 0
    14719 게임우마무스메 육성 개론(3) - 전술을 수립하고 룸매치를 통해 최종 점검하자 2 kaestro 24/05/31 259 1
    14718 경제뻘 이야기 - 샤넬과 백화점의 대결 4 Leeka 24/05/30 649 1
    14717 방송/연예세종과 하이브의 공식 입장문 1 Leeka 24/05/30 602 0
    14715 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2) 18 삼유인생 24/05/29 1603 27
    14714 여행24/05/28 리움미술관 나들이 2 Jargon 24/05/28 408 2
    14713 게임AAA 패키지 게임의 종말은 어디서 시작되나 8 Leeka 24/05/28 679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