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2/20 15:38:58
Name   Jeronimo
Subject   요새 이민이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그냥 이민 가고 싶다고 말하는 수준이었다면, 최근에는 한국에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말로 이민을 진지하게 준비하거나 가버리는 케이스가 부쩍 늘었다는 느낌입니다. 숫자가 통계로 실제로 잡히려면 수년은 더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주변 지인들 이야기지만, 의도와 노력은 이전보다 유의미하게 늘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퇴사하고 이민가신다는 분들도 꽤 봤고요. 도착지는 주로 캐나다, 호주, 미국 등의 영미권이 두드러지지만 유럽도 꽤 있는 것 같습니다.

이미 미국에 정착해서 사는 입장에서 말하자면, 이민은 쉽지 않은 결정입니다. 되돌아가는 사람도 알게 모르게 꽤 있고요. 이민의 현실적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아무래도 고학력 전문직 및 IT업계가 좀 더 이민가는 나라에서도 더 환영받고 상대적으로 쉬운 편입니다. 결혼이나 자녀 문제도 중요한 포인트인데, 아무래도 그런건 현지환경에 많이 달려있고 제일 중요한건 본인의 의지로 헤쳐나갈 것을 각오해야합니다.

저야 한국이라는 나라에 이민이 느는게 좋은지 나쁜지는 별 관심없고, 모든 이민자들이 원하는 걸 얻고 살길 바랄 뿐입니다. 설령 다시 나중에 한국으로 돌아간다고 하더라고 해외에서 길게 살아보는건 생각보다 즐거운 경험입니다. 최소한 한국과는 다른 세상이 있고 그런 삶의 방식도 가능하단걸 한번 겪고 나면 한국이 이전과는 많이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2


    whenyouinRome...
    저도 진지하게 이민 준비했었고 가려고도 했는데 제가 한국에서도 거기 가서 살 수준 이상으로 살게되니 미련 없이 접어지더라구요.

    대신 아들 걱정이 됩니다.

    얘는 그래도 보내야하지않을까 계속 고민중입니다.
    3
    Beer Inside
    사람 뿐만 아니라 돈도 미국으로 몰리고 있지요.
    1
    물냉과비냉사이
    한국에서 내내 고통만 받다가 이민가서 광명 찾은 친구들이 좀 있습니다. 한국이란 나라가 그 친구들과는 참 안맞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민이 너무 큰 일이라 생각말고 필요하면 이민을 적극 고려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5
    Jeronimo
    많이 동감합니다. 한국이란 나라 자체가 그냥 자기랑 안맞는건데 그것도 모르고 억지로 꾸역꾸역 한국에서 스트레스 받는 경우가 정말 많은거 같아요. 적극적으로 자신만의 장소를 찾아나서는게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
    카르스

    1. 잘 몰라서 그러는데, 무슨 이유로 이민을 한다고 하나요?
    한국의 미래를 비관해서? 한국과 내 성향이 맞지 않아서? 이민갈 나라들이 이민 문호를 넓혀서?
    생활수준이 배로 차이난 과거와 다르게, 이제 이민은 몇몇 직종을 제외하면
    생활수준 향상보다는 개인적 성향과 자국 미래 비관 문제가 더 커 보입니다.

    2. 내국인 이민이 늘어나다고 해도, 생활수준 격차가 배 단위로 나서 내국인 인구순유출이 벌어진 건국 이후부터 2010년대 초반 수준은 아닐 겁니다. 한국도 많이 발전했고, 벽지의 열악한 일자리라도 무조건 가는 게 나은 과거 시절이 아닌지라.
    ... 더 보기
    1. 잘 몰라서 그러는데, 무슨 이유로 이민을 한다고 하나요?
    한국의 미래를 비관해서? 한국과 내 성향이 맞지 않아서? 이민갈 나라들이 이민 문호를 넓혀서?
    생활수준이 배로 차이난 과거와 다르게, 이제 이민은 몇몇 직종을 제외하면
    생활수준 향상보다는 개인적 성향과 자국 미래 비관 문제가 더 커 보입니다.

    2. 내국인 이민이 늘어나다고 해도, 생활수준 격차가 배 단위로 나서 내국인 인구순유출이 벌어진 건국 이후부터 2010년대 초반 수준은 아닐 겁니다. 한국도 많이 발전했고, 벽지의 열악한 일자리라도 무조건 가는 게 나은 과거 시절이 아닌지라.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14
    2022년에 내국인 순유출이 늘어나긴 했는데 2020년에 코로나19로 엄청 늘어난 반동에 가깝습니다. 2023년 내국인 순유입 수치는 인구추계에서 순 제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
    Jeronimo
    국가 통계야 그렇겠지요. 한국 빈부격차도 국가통계만 보면 오히려 줄고 있습니다. 피부로 느끼는건 매우 다르죠.
    저임금 일자리라도 무조건 이민간다 그런건 아니고요, 반대로 고학력 고소득 군에서 더 나은 기회를 찾아 많이 떠납니다. 숫자로 세보면 당연히 더 적겠죠. 단순 비관문제가 아니고 현실적으로 한국에서 근로시간은 너무 긴데 그렇게 해도 서울에서 애들 둘 낳고 집 한채 갖기도 어려운 수준이라 더 나은 기회를 대부분 원합니다. 실제로 이전보다 외국어에 능숙해진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해외 이직을 더 진지하게 고민하는게 꽤 늘었다는게 체감이 되긴합니다.
    2
    카르스
    빈부격차 줄어든 건 복지국가의 확대로 인한 저소득층 가처분소득 증가가 크고, 이건 부정할 수 없습니다. 저도 각종복지제도로 혜택 많이 본 입장이라, 개인적으론 빈부격차 감소가 많이 체감됩니다.

    고학력 고소득군의 이민이야, 원래 예전부터 활발했고 한국과 유럽/영미권 간 처우 차이가 큰 경우가 많다보니(IT, 간호, 용접 등등) 그럴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근로시간이야 여전히 길지만 굉장히 빠른 속도로 줄고 있습니다. 공식 통계상으론 이미 미국과 큰 차이 안 나고, 10여년 뒤엔 OECD 평균과 근접해질 겁니다.
    주택가격 부담은 인정합니다. 타 메가시티 대비론 서울 집값은 결코 비싸지 않지만, 서울 밖에 고임금 일자리가 너무 부족한지라..
    '통계는 그렇지만 내가 보기엔 다르다' 라...
    음...
    6
    Paraaaade
    광복 이후부터 따진다면 그 땐 진짜로 못살겠어서 많이들 나갔으니, 그 때보단 줄어들었어야 맞는거 같긴합니다. 통계적으론 이 부분이 두드러질테고,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이민의 양상이 바뀌어가고 있을 순 있겠죠.
    1
    cheerful
    이제 시작이지 않을까요?? 저출산의 실제적 영향과 장기 저성장을 몇대 쳐맞으면 기술 전문직들의 탈출이 더 가속화되지 않을까.. 그리고 요즘 아이들은 저희 세대와 달라 더 언어 장벽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것 같고.
    카리나남편
    제 사촌동생은 6월에 독일에서 만난 같은 대학 후배랑 걀혼한답니다. 둘다 영주권있고 독일에서 계속 생활할거같더라고요
    귤잠수함잠수중
    전 그래도 한국이 제일 좋은 것 같읍니다. 물론 외국에서 딱히 장기적으로 살아본 적은 없습니다....ㅎㅎ
    광기잇
    그냥 한국이 선진국 반열 들어서서 그런 것 아닐까 싶네요 경제수준으로 따지면 아시아 빈국에서 서구권 이민가기에서 이탈리아에서 서구권 이민가기 정도가 됐으니까요

    오히려 과거의 이민 신화(이민가서 세탁소 차리기같은 밑바닥부터 성공하는 일화)는 현재가 그 때보다 훨씬 어려울 것 같습니다
    2
    광기잇
    좀 더 생각해보니 선진국 중에서 미국만 경제가 침체를 모른다는 듯이 호황이고(인플레는 부차적인 문제) 임금 상승 폭도 높고...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인력 대부분 미국으로 빨려 들어가는 중인데 우리가 한국인이니까 한국인에 관심을 더 두게 되니 체감하게 되는 그런 게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1
    하우두유두
    아직까지는 살만한데 앞으로 이추세가 꺽이거나 역행하면 유의미하게 변할수도여?
    2
    cummings
    222 아직은 인구구조변화로 꿀을 빠는 상황이라...
    나라가 좀 더 기울어 진 뒤에서야 유의미한 수치를 보일 것 같아요.
    좀 더 앞으로 문화적으로 전보단 다른 방식으로 전문직이나 수요많은 기술직종 종사자들이 해외를 가능한 옵션으로 생각하게 되긴 할 것도 같고요 ..
    우리나라에서 외국으로의 이민 원인이 전쟁, 사회불안, 가난, 자녀 교육, 자아실현 등으로 바뀌었고, 그래서 사회경제 계층, 나이, 직업 등에 따라서 느끼는 추세가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어릴 때 접하던 이민 사례들은 막무가내로 생존을 위해 떠나는 식은 아니라도 사회경제적으로 한계에 몰려서 떠나는 경우들 혹은 당시에는 지금에 비해 매우 드물던 유학, 주재원 기회를 가지고 해외에서 살다가 이민까지 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상대적으로 가족 단위고, 가장의 나이들이 많았죠. 적어도 30대(결혼, 취업 등이 늦는 요즘 느낌으... 더 보기
    우리나라에서 외국으로의 이민 원인이 전쟁, 사회불안, 가난, 자녀 교육, 자아실현 등으로 바뀌었고, 그래서 사회경제 계층, 나이, 직업 등에 따라서 느끼는 추세가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어릴 때 접하던 이민 사례들은 막무가내로 생존을 위해 떠나는 식은 아니라도 사회경제적으로 한계에 몰려서 떠나는 경우들 혹은 당시에는 지금에 비해 매우 드물던 유학, 주재원 기회를 가지고 해외에서 살다가 이민까지 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상대적으로 가족 단위고, 가장의 나이들이 많았죠. 적어도 30대(결혼, 취업 등이 늦는 요즘 느낌으로는 40대?)? 80년대 말 90년대 초에는 원래 금융회사 다니며 중상층으로 잘 살다가 주식시장이 난리가 나서 친척, 친구들 돈까지 다 날리고 도망치듯이 떠난 가족들도 있었습니다. (깡통 계좌라는 말이 회자하던 시절), 90년대 말에는 외환 위기로 이민을 떠나야 했던 사람들이 있었죠. 유학/주재원에서 자연스레 현지에 자리 잡는 경우가 아니면, 그런 식으로 사연 한 자락씩은 있는 이민 가족들이 과거에는 많았던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는 우리나라가 좀 먹고살 만해지면서는 보다 큰 시장, 더 훌륭한 (자녀) 교육을 찾아서 이민을 선택하는 경우들이 늘었죠. 기러기 아빠라는 신조어가 나오던 시절이죠. 요즘은 해외여행, 워킹홀리데이, 유학, 해외 취업 등 외국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에 비해 많아졌고, 진짜 먹고 살 수가 없다기보다는 우리나라 사회가 안 맞아서, 혹은 보다 나은 기회를 찾아서, 행복을 찾아서 등 이유도 다양해지고, 가족과 별개로 젊은 층, 전문 직종의 이민, 젊은 층의 나 홀로 이민 (혹은 이민 고려)가 전보다 늘다 보니 상대적으로 사회경제 계층, 나이, 직업에 따라서도 주변의 이민 분위기가 커지는 쪽으로 느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민 대상 국가도 과거보다 폭이 넓어진 것 같습니다.

    저도 가족들이 해외에 살고 있는데, 여건만 되면 이민이 과거보다는 쉬운 선택이 된 것 같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다들 이민을 선택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요즘은 이민한다고 한국에 수년씩 못 오거나, 교통/통신 등 기술의 발전으로 한국과 거의 단절되고 하는 것도 아니라서. 옛날에는 시차도 큰 한국 방송 복사본 비디오테이프를 보며 한국을 그리워하던 시절도 있었죠. 가족, 명절, 제사, 장례 문화도 급격하게 바뀌어서 이제는 화장이 일반화되고, 명절에도 여행을 떠나는 등 이민이나 해외 거주를 막는 무형의 족쇄들도 많이 사라졌습니다. 예전에는 특히 제주, 장손, 장남들은 이민을 생각하기 어려웠죠. 맏며느리들은 오히려 그래서 이민, 해외 거주를 선호한다는 얘기도 있었습니다만.

    그리고, 미디어의 발달로 본인 가족, 친구가 아니라도 해외 거주, 이민 사례 등을 많이 접하게 되면서 이민이란 것을 과거보다 쉽게 간접 체험하게된 것도 이민까지 안 가더라도 이민 고려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진 원인인 것 같습니다.

    국제 이동 통계는 이민과는 다르지만, 특히 20대 이동이 과거보다 활발해진 것 같습니다.
    9
    카르스
    말씀하신 포인트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제가 탐라글 댓글에도 적었는데, 요즘에는 해외 이민을 가더라도 한국을 국내여행하듯 자주 방문하거나, 복수국적을 유지하여(법 개정으로 복수국적 취득이 조건부로나마 용이해졌습니다) 생활 반경을 한국에도 일부 두거나, 병역의무 없는 영주권/시민권자인데도 굳이 자원입대하는 등
    타지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면서도 한국과의 관계를 강하게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진 느낌입니다.
    자원입대하는 영주권/시민권자 이야기를 제외하면(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1197) 실증 데이터까진 없습니다만 그런 인상이 드네요.
    1

    20~30년 사이도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해외에서 온 한인 대학 후배들 보면 오히려 현지 좋은 대학 놔두고 일부러 한국의 대학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 위상이 많이 올라갔고, 그 후배의 부모님 세대와는 이민의 필요성도 여러모로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오히려 나이 들어서는 우리나라로 돌아오려는 경우도 있고, 법에 따라서 노년이 되어서는 국적회복을 하려는 수요도 있더군요. 현재의 젊은 세대가 이민을 간 경우도 그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중간에 법이랑 통계가 바뀌어서 조심해야 하고, 자발적 신고라 실제 해외이주내역과 괴리가 있고, 이민과는 또 다른 범주이지만, 참고로. 해외이주신... 더 보기
    20~30년 사이도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해외에서 온 한인 대학 후배들 보면 오히려 현지 좋은 대학 놔두고 일부러 한국의 대학을 입학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 위상이 많이 올라갔고, 그 후배의 부모님 세대와는 이민의 필요성도 여러모로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오히려 나이 들어서는 우리나라로 돌아오려는 경우도 있고, 법에 따라서 노년이 되어서는 국적회복을 하려는 수요도 있더군요. 현재의 젊은 세대가 이민을 간 경우도 그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중간에 법이랑 통계가 바뀌어서 조심해야 하고, 자발적 신고라 실제 해외이주내역과 괴리가 있고, 이민과는 또 다른 범주이지만, 참고로. 해외이주신고자 현황입니다.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84
    1
    갑분 이론 투척하자면 transnational social field에 대한 논의가 2000년 초중반부터 부상했습죠 ㅎㅎ
    1
    스콘과홍차
    20-30대 고학력 IT전문가는 미국에 갔을때 한국보다 훨씬 더 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차이는 항상 있었지만 미국의 성장/한국의 부진으로 예전보다 차이가 더욱 커졌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637 일상/생각합격보다 소통을 목표로 하는 면접을 위하여(1) - 20번의 면접을 통해 느낀 면접 탐구자의 소회 4 kaestro 24/05/01 2021 4
    14633 일상/생각그래서 고속도로 1차로는 언제 쓰는게 맞는건데? 31 에디아빠 24/04/30 2821 0
    14632 일상/생각함께해서 더러웠고 다시는 만나지 말자. 비사금 24/04/29 2424 0
    14629 일상/생각방문을 열자, 가족이 되었습니다 9 kaestro 24/04/29 2360 10
    14624 일상/생각5년 전, 그리고 5년 뒤의 나를 상상하며 6 kaestro 24/04/26 2105 3
    14619 일상/생각나는 다마고치를 가지고 욕조로 들어갔다. 8 자몽에이슬 24/04/24 2625 17
    14618 일상/생각저는 외로워서 퇴사를 했고, 이젠 아닙니다 18 kaestro 24/04/24 2917 17
    14604 일상/생각개인위키 제작기 6 와짱 24/04/17 3682 13
    14599 일상/생각가챠 등 확률성 아이템이 있는 도박성 게임에 안 지는 방법 21 골든햄스 24/04/12 3392 0
    14589 일상/생각지난 3개월을 돌아보며 - 물방울이 흐르고 모여서 시냇물을 만든 이야기 6 kaestro 24/04/09 1994 3
    14588 일상/생각다정한 봄의 새싹들처럼 1 골든햄스 24/04/09 2140 9
    14587 일상/생각탕후루 기사를 읽다가, 4 풀잎 24/04/09 2302 0
    14575 일상/생각육아의 어려움 8 풀잎 24/04/03 2589 12
    14574 일상/생각재충전이란 무엇인가 5 kaestro 24/04/03 2197 6
    14573 일상/생각아들놈이 핸드폰 액정을 깨먹었어요. 8 큐리스 24/04/02 2557 1
    14572 일상/생각처음간 동네 크린토피아 1 큐리스 24/04/02 2190 0
    14571 일상/생각감사의 글 44 소요 24/04/02 3339 74
    14560 일상/생각2년차 사원입니다 9 공대왜간공대 24/03/25 3033 10
    14557 일상/생각인지행동치료와 느린 자살 8 골든햄스 24/03/24 3211 8
    14554 일상/생각아들이 안경을 부러뜨렸다. 8 whenyouinRome... 24/03/23 2893 27
    14550 일상/생각와이프랑 덕담 중입니다. 3 큐리스 24/03/21 2665 4
    14539 일상/생각22살. 정신병 수급자 고졸. 9 경주촌박이 24/03/15 3255 1
    14537 일상/생각건망증,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4/03/15 2446 1
    14535 일상/생각사람 안변한다 하지만 유일하게 부부생활을 통해 조금은 변합니다~~ 5 큐리스 24/03/14 3092 1
    14532 일상/생각groot 님 저격 4 nm막장 24/03/14 2687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