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4/02 04:17:36
Name   실베고정닉
Subject   한국은 AI를 적극도입해야 하지 않을까요?
뉴스를 보니 이탈리아가 Chat GPT를 규제한다고 하네요

가만히 생각해보니 오히려 다른 선진국들이 Chat GPT를 규제하며 AI 경쟁에서 도태될때 한국은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면 국가 체급을 몇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닐까 합니다

한국의 낮은 출산율은 오히려 AI 도입의 명분이 되어 축복과도 같은 현상이 되겠죠

AI가 도입된다면 엄청난 생산력 향상과 그로 인한 기본소득, 이민자 외노자 죄다 받지 않고 불체자 추방해서 치안문제를 해결하고 내수부족은 원래 한국은 수출중심 국가니 문제가 안될거고요

출산율이 낮으니 AI 도입을 반대할 명분도 약할거고 한국은 전세계에서도 손꼽히는 IT 선진국이니 엄청난 발전을 기대해 볼만 하겠죠

현재 AI의 급격한 발전이 한국을 세계 최고의 선진국중 하나로 만들어 줄 좋은 기회가 될듯 하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실베고정닉님의 최근 게시물


    Chat gpt를 규제한다는 게 어떤 내용인 줄은 잘 모르겠지만, chatgpt==ai는 아닌거죠? Chat gpt는 일개 기업의 서비스일 뿐이고요.
    실베고정닉
    이탈리아에서 개인정보침해를 이유로 ChatGPT를 규제했다고 하네요

    AI 활용에서 뒤쳐진 나라는 도태될듯 합니다
    나름 의미있는 생산성 향상은 있겠지만 그게 전 분야에 걸쳐 발생할거라는 생각하지않습니다.

    그리고 치안 문제는 외국인 이민자 노동자들이 어느 일정부분을 가지고있을뿐이지 그 사람들이 악의 근원이 아닙니다.

    기본소득도 정치인이 결단할 문제지 ai가 만들어주는건 아니고
    안타깝지만 사람의 3d 노동력은 아직도 기계보다 쌈.
    7
    실베고정닉
    3D노동은 아직까지는 기계보다 싸지만 사무직의 전면적인 대체는 피할수 없을것 같네요
    린디합도그

    근데 ai 도입과 출산율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요?
    사이시옷
    AI가 생산효율성을 높인다 -> 많은 인구가 필요없다 -> 저출산은 오히려 축복

    이 루트인듯합니다
    실베고정닉
    낮은 출산율으로 정부나 기업이나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할수밖에 없죠
    Paraaaade
    저출산/AI 축복론만 계속해서 말씀하시는데 거의 로봇처럼 느껴집니다...
    8
    듣보잡
    이미 신념화되어버린...
    물냉과비냉사이
    AI가 커뮤활동한다고 생각하니 소름인데요
    Beer Inside
    한국만큼 AI 및 로봇을 많이 적용하고 있는 국가가 드물겁니다.

    이미 제조업은 전세계 최고수준으로 자동화기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기계는 다른 나라에 이전 설치하지요.

    전화로 고객을 응대하는 분야도 AI 및 I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을 합니다.

    이유는 인건비도 비싸고 전화상담원들도 스트레스가 심해서 이직률이 높아서 그렇지요.

    병원도 물류를 AI와 로봇을 이용해서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존 건물에 새로운 물류시스템을 설치하는 것보다 AI와 로봇을 이용하는 것이 ... 더 보기
    한국만큼 AI 및 로봇을 많이 적용하고 있는 국가가 드물겁니다.

    이미 제조업은 전세계 최고수준으로 자동화기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기계는 다른 나라에 이전 설치하지요.

    전화로 고객을 응대하는 분야도 AI 및 I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을 합니다.

    이유는 인건비도 비싸고 전화상담원들도 스트레스가 심해서 이직률이 높아서 그렇지요.

    병원도 물류를 AI와 로봇을 이용해서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존 건물에 새로운 물류시스템을 설치하는 것보다 AI와 로봇을 이용하는 것이 더 저렴할 가능성이 높아서이지요.
    1
    실베고정닉
    네 그점도 맞죠

    이미 한국은 전분야에 자동화를 적용하고 있어서 AI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큰 거부감이 없으리라 생각되네요
    방사능홍차
    Ai 상담 아직은 정말 별로... 그냥 상담원이랑 통화하는게 훨씬 낫습니다 ㅠ
    사무직이 대체되면 실업자 늘어나고 인건비가 싸지는건데..
    실베고정닉
    저출산으로 인해서 사무직이 대체되더라도 충격이 다른나라에 비해서 심하지 않겠죠

    오히려 저출산으로 일할 사람이 없으니 모두 한목소리로 AI도입을 원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치리아
    ChatGPT 규제 하나로 크게 달라질 거로 생각하진 않지만, 저출산이 AI 규제를 막을 명분이 될 수 있단 생각엔 동의합니다.

    전 사실 특이점에 회의적이었는데(정확히는 특이점 자체는 올 수 있지만, 특이점주의자 말대로 빨리 오진 않을 거다…)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실감한 뒤론 제가 웃음거리가 돼도 좋으니 특이점이 제발 단시일 내에 오길 바라고 있습니다.

    다만 저는 그래도 저출산이 축복이라곤 생각하진 않을 것 같네요. 저출산 자체도 그렇지만, 한국의 저출산을 낳은 원인 하나하나가 불행이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765 일상/생각어릴적 나를 만나다. 4 큐리스 23/04/18 2959 1
    13762 일상/생각밭이란 무엇일까요? 13 바이엘 23/04/18 3768 4
    13761 일상/생각부상중에 겪어본 이모저모 6 우연한봄 23/04/17 2524 10
    13751 일상/생각신입직원으로서의 폭탄을 대하는 마지막 투덜거림 6 왼쪽의지배자 23/04/13 3766 3
    13750 일상/생각아들.. 그리고 짜장면. 3 큐리스 23/04/12 3862 7
    13745 일상/생각정독도서관 사진 촬영 사전 답사의 기억 공유 15 메존일각 23/04/12 4104 12
    13744 일상/생각인간 대 사법 3 아이솔 23/04/11 3473 15
    13741 일상/생각공부는 노력일까요? 재능일까요? 39 비물리학진 23/04/11 4678 0
    13737 일상/생각비교시간선학을 통해 바라본 AI시대의 유형들. 2 Pozitif 23/04/10 2857 2
    13734 일상/생각필사 3일차 ㅎ 큐리스 23/04/10 3563 3
    13730 일상/생각갑자기 필사가 땡겨서 시작했습니다. 1 큐리스 23/04/08 3347 5
    13727 일상/생각역시 잘(?)하고 난 다음날은 표정이 다르군요.^^ 23 큐리스 23/04/07 5025 5
    13722 일상/생각양곡관리법 거부권 행사를 보고 드는생각 10 바이엘 23/04/05 3480 7
    13721 일상/생각학원가는 아이 저녁 만들기^^ 6 큐리스 23/04/05 3636 6
    13716 일상/생각이웃집 정신병자 12 당근매니아 23/04/05 4991 9
    13715 일상/생각일단 구글의 Bard가 더 재미있어요. 3 은머리 23/04/04 3460 1
    13710 일상/생각토요일 아이들과 자전거 타기 1 큐리스 23/04/03 3153 5
    13702 일상/생각한국은 AI를 적극도입해야 하지 않을까요? 16 실베고정닉 23/04/02 4132 0
    13698 일상/생각[설문]식사비용, 어떻게 내는 게 좋을까요? 7 치리아 23/04/01 3187 0
    13697 일상/생각ChatGPT와 구글의 Bard 8 은머리 23/04/01 3156 5
    13693 일상/생각외모, 지능, 재력 중 하나만 상위 0.1%고 나머지는 평범하다면 뭘 고르실 건가요? 19 강세린 23/03/31 4040 0
    13691 일상/생각통장 커피대신낮잠 23/03/30 2785 0
    13689 일상/생각정치나 사회에 관심을 쓸수록 우울해지는 것 같습니다. 8 강세린 23/03/30 3437 2
    13687 일상/생각아이와 함께 살아간다는건 정말정말정말 힘들어요. 21 큐리스 23/03/30 3454 3
    13686 일상/생각전두환의 손자와 개돼지 2 당근매니아 23/03/30 3083 3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