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3/02/16 12:50:38 |
Name | 큐리스 |
Subject | 아들의 현질 금액이 자꾸만 올라가서 고민입니다. |
올해 중1되는 아들을 두고 있는 아빠입니다. 초등학교때 한두번 만원정도 게임 아이템을 구매해준적은 있는데요. 오늘 발로란트를 한다고 4만원가량 현질을 하고 싶다고 하네요. 일단 이건 아닌거 같아서 생각좀 해보고 다시 얘기하자고 했습니다. 혹시 다른 집들은 어떻게 관리하시는지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큐리스님의 최근 게시물 |
덧붙여 중학생때부터 돈관리하는 법 배워서 경제관념 익히는게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도 가능한 알바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학생들도 가능한 알바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https://youtu.be/H9AjLcWhV_g?t=1097
요 영상의 링크한 대목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하는데요. 요약하자면 현질하고 싶도록 하는 게임을 하는 상황 자체가 이미 문제라는 내용입니다. 어릴 때부터 pay-to-win 게임을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죠. 발로란트가 그런 게임인지는 저는 모르겠으니, 발로란트가 어떤 게임이고 현질하면 어떤 것이 달라지는지 한번 알아보시면서 고민하는 것도 좋겠네요.
그러면 어떤 게임이 좋은 게임이고 어떻게 그런 게임을 시켜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드신다면 영상 전체를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김실장 아재가 썰을 참 잘 풉니다.
요 영상의 링크한 대목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하는데요. 요약하자면 현질하고 싶도록 하는 게임을 하는 상황 자체가 이미 문제라는 내용입니다. 어릴 때부터 pay-to-win 게임을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죠. 발로란트가 그런 게임인지는 저는 모르겠으니, 발로란트가 어떤 게임이고 현질하면 어떤 것이 달라지는지 한번 알아보시면서 고민하는 것도 좋겠네요.
그러면 어떤 게임이 좋은 게임이고 어떻게 그런 게임을 시켜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드신다면 영상 전체를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김실장 아재가 썰을 참 잘 풉니다.
발로란트는 LoL처럼 캐릭터 사용권이나 스킨, 치장품을 주는 게임패스를 구매하기 위해 인게임에서 결제를 합니다.
인게임에서 돈을 쓴다고 실력이나 성능이 올라가지 않아요 ㅠ.ㅠ
인게임에서 돈을 쓴다고 실력이나 성능이 올라가지 않아요 ㅠ.ㅠ
라이엇에서 만든 발로란트, 롤과 같은 게임들은 pay2win 기반의 게임들이 아닙니다.
반면 리니지와 같은 게임들은 pay2win이지요. 즉 돈 = 내 캐릭터 성능이 되는 게임들입니다.
pay 2 win이 아니라는건 승부 외적인 곳에 과금이 된다는거죠.(ex. 싸이월드 방꾸미기)
큐리스님은 아들이 pay2win이 아닌 게임에서 돈을 쓰는 아들에 대해 글을 쓰셨고
스라블님은 pay2win 게임의 과금과 관련된 영상을 가져오셨으니 해명님께서 잘못된 예시라고 하신것입니다.
사실 이건 발로란트라는 게임을 안해본 분은 잘 모르실 수 있는 부분입니다. :)
게임의 종류는 너무 많잖아요. 모두 성격도 다르고요.
반면 리니지와 같은 게임들은 pay2win이지요. 즉 돈 = 내 캐릭터 성능이 되는 게임들입니다.
pay 2 win이 아니라는건 승부 외적인 곳에 과금이 된다는거죠.(ex. 싸이월드 방꾸미기)
큐리스님은 아들이 pay2win이 아닌 게임에서 돈을 쓰는 아들에 대해 글을 쓰셨고
스라블님은 pay2win 게임의 과금과 관련된 영상을 가져오셨으니 해명님께서 잘못된 예시라고 하신것입니다.
사실 이건 발로란트라는 게임을 안해본 분은 잘 모르실 수 있는 부분입니다. :)
게임의 종류는 너무 많잖아요. 모두 성격도 다르고요.
생일, 특정 조건 달성을 전제로 들어줍니다.
아직 초딩이라 경제관념이 더 생길 때 까지는 본인이 모아둔 용돈으로 해결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으며, 결제를 해 줄 때 인-게임 디지털 재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야기를 해 봅니다. 어떤 것이고, 어떤 이득이 있고, 시간과 피지컬로 해결이 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 뿐만 아니라, 거래 주체는 어디인지 (마인크래프트 같은 경우처럼 서드파티 서버가 있는 경우 때문), 얼마나 알아봤고 어떻게 알아보고 있는지 등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만족도에 따라서 가치 있는 소비가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니... 숙려기간을 두게 해서 생각하는 여유를 한 두번 정도 줍니다.
아직 초딩이라 경제관념이 더 생길 때 까지는 본인이 모아둔 용돈으로 해결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으며, 결제를 해 줄 때 인-게임 디지털 재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야기를 해 봅니다. 어떤 것이고, 어떤 이득이 있고, 시간과 피지컬로 해결이 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 뿐만 아니라, 거래 주체는 어디인지 (마인크래프트 같은 경우처럼 서드파티 서버가 있는 경우 때문), 얼마나 알아봤고 어떻게 알아보고 있는지 등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만족도에 따라서 가치 있는 소비가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니... 숙려기간을 두게 해서 생각하는 여유를 한 두번 정도 줍니다.
요즘 기준으로 4만원은 별로 큰 돈은 아닌 것 같습니다만... 발로란트란 게임은 게임 자체에는 현질요소는 없는 실력겜이고 아마 자제분이 게임에 애착이 있어 스킨을 사고 싶어하는 것 같은데요. 그냥 사라고 주기 보다 뭔가 목표달성에 대한 보상 기준으로 주는 것이 그나마 좋지 않을까 싶네요. 게임 랭크든 학업이든.
그 게임 현질이 가치가 있냐 없냐는 다른 문제고 돈을 버는것과 쓰는 것에 대해서 교육이 필요해보입니다. 보통 용돈 시스템으로 돈의 가치와 사용을 교육하곤 하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