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07 21:16:50
Name   캡틴실버
Subject   수도권 집중, 정말 일자리가 문제일까

그냥 문외한의 생각입니다. 귀엽게 봐주세요.


청년들의 수도권 집중 문제에 대한 원인을 대부분 일자리라고 지적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그런데 과연 일자리가 문제일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https://www.fnnews.com/news/201905071303491843


https://m.ebn.co.kr/news/view/1565501


지방에 일자리가 없었던 것이 아니죠.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인재들이 서울, 수도권에서 안내려오려고 해서 지방에 본사가 있던 기업들마저 서울, 수도권으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죠.

그리고 이건 지인피셜입니다만, 예전 한창 조선업 활황이던 시절 현대중공업조차, 서울 명문대 나온 애들 뽑아놓으면 몇년 안되서 서울로 도망가는 애들이 태반이라고 했습니다. 그 지인분이 애들 배가 불렀다고 혀를 끌끌 차셨죠. 뭐 지금은 다 옛날 이야기가 되었습니다만..

그렇다고 과거 지방에 인재들이 없었나? 그것도 아니죠. 지방출신 연배가 있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예전에 지거국 대학의 위상은 지금 인서울 사립대에 밀리지 않았습니다.

그럼 수도권에 비해 지방 인프라가 많이 부족한가? 광역시, 지방 대도시 정도 되면 있을건 대부분 다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일상을 차지하고 있는 쿠팡도 되고 배민도 됩니다.

물론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수도권에 비할바가 안되는 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과연 그렇게 디테일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비중이 그렇게 높을지는 의문입니다. 문화생활? 취미활동? 사실 대부분 일에 치여 사는게 일상이지 않나요?
오히려 집값만 따져보면, 수도권 주택 사려고 아둥바둥하느니 지방에 내려오면 그 차익으로 오히려 인프라 부족분을 상쇄할 수도 있습니다. (교통 인프라가 부실해? 그냥 좋은 차 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고오급 일자리가 수도권에 대부분 몰려 있는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수도권 산다고 그 고오급 일자리를 모두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죠.


제가 생각할 때 핵심은 '판타지'라고 봅니다.

글로벌 메트로폴리탄 시티 서울에서 좝을 겟하면 트렌디하고 힙한 라이프를 엔조이할 수 있을 것 같은 그런 판타지 말이죠. 그러다보면 핸섬가이나 큐트걸을 만나서 데이트할 가능성도 높아질거고 말이죠.


그래서 정말 수도권 집중화를 해소하고 지방을 살리고자 한다면,

공기업이나 대기업을 이전할게 아니라, '방송국'을 이전해야 된다고 봅니다.

보도기능과 공공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엔터부분을 죄다 지방으로 뿌려서

지방을 재미있는 판타지 공간으로 만드는게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다 못해 지방을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를 의무적으로 제작하게 만들어야 된다고 봅니다.


물론 제가 투박하게 적어서 그렇지, 저도 지방의 일자리 사정이 열악한 건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판타지'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아무리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이전해봤자 도루묵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사례를 보면 충분히 그럴것 같네요.


제가 본 영상중에 이런게 있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eBiN4nlj0s
바이든보다 빈살만이 더 중요하다고? (명지대학교 박정호 교수)


긴 영상인데, 1:01:00 쯤에 해당 내용이 나옵니다.

요약하자면, 낙후된 프랑스 남부 지방을 개발하기 위해 관광단지를 개발했는데,

오히려 IBM,TI 같은 하이테크 기업에서 문의가 많았다고 합니다.

고오급 인재들은 칙칙한 도시가 아니라 관광지같은 놀기 좋고 쉬기 좋은 공간에서 일하는 걸 더 선호해서 말이죠.

그래서 아예 전략을 관광산업에서 첨단산업쪽으로 돌렸다는게 그 내용입니다.

우리의 지방 살리기 전략도 이런 방향으로 가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지방에서 선거철만 되면 정치인들의 공약이 대부분 '산업단지 유치, 일자리 유치'같은 걸 들고 나옵니다.

그리고 그 결과인지 모르겠지만, 지방 교외쪽으로 가면 논밭이 펼쳐진 가운데 불규칙하게 듬성듬성 공장들이 들어서있죠.

도시야 뭐, 한국 도시 대부분이 그렇듯이 특색없는 상가와 아파트의 군집이고요.

지방 도시나 그 근교들을 보면 딱 봐도, '아 여긴 정말 일만 하는 곳이구나'란 느낌이 듭니다.

당장 기업, 공장, 일자리 유치도 좋지만, 도시의 분위기, 판타지라는 측면에서의 접근도 상당히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물론 제가 투박하게 적어서 반론을 제기할 부분이 많이 있을겁니다. 다만 이런 방면으로의 접근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6


    celestine
    <보도, 공공기능> 빼면 요즘 지상파 방송국에 남는게 있나 싶읍니다 ㅠ 종편, 케이블은 공영도 아니니 명분이..드라마는 이미 지자체 협조로다 여럿 찍었고 찍는걸로 압니다.

    차라리 청담동에 즐비한 기획사,엔터사를 강제이전시키면 어떨까 상상해봅니다 (....)
    지방 대도시라고 좋은 일자리 있나요
    지방에 있는 괜찮은 일자리는 근처 공단에나 있죠
    지방 거점도시에서 출근하려면 차타고 30분~1시간 걸리는곳
    서울, 판교랑 다른점은 이거라고 봄
    인스타 맛집 찾아갈라면 서울에 있어야함
    당근매니아
    다음이 제주도에 본사를 차렸던 것이 꽤 의미있는 실험이라고 생각했는데, 결국은 카카오로 넘어간 뒤 리턴하는 결과가 나와서 안타깝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저런 논의에서 학군과 학원이라는 요소가 빠져있는 게 아쉽네요. 일전에 교육환경과 집값의 연관성 부분을 다룬 기사를 본 기억도 있구요.
    2
    미카엘
    일단 롤파크는 서울에 있어서 롤붕이는 수도권을 뜰 수 없습니다ㅜㅜ
    서당개
    방송국이 지방에 내려가고 거기서 방송을 만들어서 무슨 의미가 있어서 2030이 지방에 내려가요?
    가뜩이나 유튜브 넷플릭스에 방송국들 탈탈 털리고 있는데...?
    P의노예
    일단 과거 중소기업의 포지션을 하는 일거리가 없어요.
    현재의 젊은층들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 한가지 놓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 최저임금이 엄청나게 많이 올랐다는 겁니다.
    즉 최저임금 풀타임 수령기준 월 수령액이 세전 200 가까이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배달업을 하든 뭘하든 더 몸을 굴리면 수령액은 늘어나겠죠. 아직 중소기업 초봉이 최저임금보다는 더 나올텐데, 그렇다고 중소기업이 딱 정시간 일하고 끝나는 워라벨 있던 직장이 아니잖아요.

    대기업을 볼까요. 잘나가는 대기업 업종(반도체 같은곳), 그리고 경쟁 구... 더 보기
    일단 과거 중소기업의 포지션을 하는 일거리가 없어요.
    현재의 젊은층들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 한가지 놓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 최저임금이 엄청나게 많이 올랐다는 겁니다.
    즉 최저임금 풀타임 수령기준 월 수령액이 세전 200 가까이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배달업을 하든 뭘하든 더 몸을 굴리면 수령액은 늘어나겠죠. 아직 중소기업 초봉이 최저임금보다는 더 나올텐데, 그렇다고 중소기업이 딱 정시간 일하고 끝나는 워라벨 있던 직장이 아니잖아요.

    대기업을 볼까요. 잘나가는 대기업 업종(반도체 같은곳), 그리고 경쟁 구도로가서 임금 최근에 엄청 올라간 소프트웨어 개발쪽 제외하고, 그냥 전통적인 대기업쪽 보면 지금 초봉이 10년전 초봉과 거의 유사합니다. 실수령 280 받는곳이 수두룩해요. 그렇다고 대기업이라고 나온다는 보너스가 잘나오나요. 이것도 잘나가는 분야 말곤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대기업도 사원대리 정리해고 하는것도 흔하고요.

    즉 20대가 눈이 높아졌다고 다들 그러지만 알바 풀타임 월170 실수령 / 중소기업 실수령 200 (중견기업 이런곳 제외)/ 대기업 초봉 실수령 280 대충 이정도인데 요즘 물가에 중간이 눈에 들어오겠나요. 그러니 대기업 꿈을 꾸거나 배달업같은 직종으로 가는거죠. 즉 젊은 친구들 입장에서도 시장이 큰 도심지에 와서 전자를 노리거나, 최소 중견기업이상을 노릴려면 영세 중소가 산더미인 지방보다 서울로 몰리게 되는거예요.

    제 짧은 인생 살면서 느낀건, 사람들은 환상에 젖어 사는 경우가 있을지라도, 사회적 경향은 항상 사람들의 본능을 따라간다는 겁니다.
    대기업급의 직장이 지방에도 있죠. 근데 지방의 바늘구멍을 뚫는거보다(지방은 인맥/지연 팩터도 있죠) 일단 시장이 큰곳에 와야 내가 바늘구멍을 못뚫더라도 생존할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2
    P의노예
    생각해보니 대기업 초봉 실수령 월 280도 좀 과하네요. 한 240-250정도로 봐야할거 같습니다.
    Thy킹덤
    큰 틀에서 동의를 합니다. 서울과 비슷한 지방 도사라고ㅜ해봤자 서울과 경쟁에서 밀릴뿐입니다.

    아예 각 도시별 특성을 명확히 해서 어느 도시는 엔터(미국 헐리웃 처럼) 어느 도시는 IT, 어느 도시는 콘텐츠 이런 식으로 특화를 해야 그나마 각자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 구상도 나온지 좀 됐는데, 식민지에서 특화 키워놓으면 1) 정말 잘 되면 제국 아니 서울에서 다 뺏어갑니다 2) 서울서 못/안 뺏는 것은 여기저기서 너도나도 베껴갑니다. 쉽지 않더라구요
    절름발이이리수정됨
    일부 중공업 지역을 예로 들면서 지방에도 일자리가 있다는 말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런 직업도 젊은이들이 대개 선호하는 일자리는 아니거든요. 물론 일자리가 전부가 아닌 건 맞습니다. 가장 먼저 일자리 차이가 크고, 그러나 결국 모든 게 총체적으로 떨어지는 거죠.
    5
    보이차
    판타지를 떠받치는 것은 결국 돈이라고 생각하는데..
    돈이 돌려면 일단 일자리가 필요한 건 맞는 것 같읍니다
    1
    열한시육분
    여기에 더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세와 멀어지면 죽는다고 다들 생각하니 그게 현실이 되죠. 한번 대세가 생기면 극단적으로 따르지 않고는 못 배기고 실제로 대세에 못탄 사람이 손해보는 경험들을 해보면 더더욱 못 거스릅니다. 꽤나 극단적이고 올인 좋아하는 사람들입니다.
    1
    전국 홍차넷 협회
    지방에도 있을 것이 다 있긴 한데 접근성이 아무래도 좀
    일자리가 문제가 맞아요.
    그 말하신 본사들이 서울에 있으므로 해서 생기는 주절주절 하면서 다 거기로 간다고요.
    인재들이 안내려와서 서울로 올라간다? 서순이 반댑니다.
    대기업 사이즈들이 다 서울에 있으니 사람들이 올라갈수 밖에 없는 구조가 만들어진겁니다.
    지방기업들의 본사 이전과 사람들이 내려오려고 하지 않는건 그 다음 순서입니다.
    1
    여우아빠
    닭과 달걀 같은 문제죠. 기업 입장에선 똑같은 조건이어도 지방에 있을때랑 서울에 있을때랑 인재들의 수준 차이가 나고, 서울 선호하지 않는 비주류의 사람 입장에선 일자리가 다 서울에 있고. 굳이 선후를 나누자면 중앙집중형 개발을 했던 과거가 있으니 시작 자체는 서울집중발전이 문제의 시작이 맞겠죠. 근데 지금은 서로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상태입니다.

    지방-서울 중 아무데서나 일할 수 있는 직종들 보면 명백한 선호도가 보이고, 공대생 단점 중 하나가 지방에서 일해야 하는거라고 하는데요. 윗 댓글에서 언급했듯 다음의 경우도 있었... 더 보기
    닭과 달걀 같은 문제죠. 기업 입장에선 똑같은 조건이어도 지방에 있을때랑 서울에 있을때랑 인재들의 수준 차이가 나고, 서울 선호하지 않는 비주류의 사람 입장에선 일자리가 다 서울에 있고. 굳이 선후를 나누자면 중앙집중형 개발을 했던 과거가 있으니 시작 자체는 서울집중발전이 문제의 시작이 맞겠죠. 근데 지금은 서로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상태입니다.

    지방-서울 중 아무데서나 일할 수 있는 직종들 보면 명백한 선호도가 보이고, 공대생 단점 중 하나가 지방에서 일해야 하는거라고 하는데요. 윗 댓글에서 언급했듯 다음의 경우도 있었죠. 근데 말씀하신대로 놀거리를 만든다고 해도 결국 돈이 돌아야 그런 업체가 생기건 말건 하는 것도 있고, 요식업이나 예술계통은 특히 서울 선호가 강해서... 한국의 문화적 특징이 변화에 거부감이 적고 빨리빨리 바뀌는건데, 그러다 보니 한국적 문화에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육도 아주 크게 한 몫 하고요.
    1
    반짝반짝
    사람들이 가고싶어 하는 IT 회사들의 위치를 퍼센트로 나눠보면 답이 나오지 않나,, 그렇게 생각해요.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이 말이 저는 일리 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예를들어 토목과는 전통적으로 "지방에 보통 가기 때문에" 기피과였잖아요? 엄청나게 전통적인 얘기고, 현상은 있으나 고칠 수는 없는 내용이라는 것이죠.
    일자리의 양(자리)과 질(임금)둘다의 문제죠..
    은하넘김셋
    방향성 측면에서는 100% 동의하는데,
    결론은 방법이 없다는 거죠.

    차라리 일자리 만드는 게 쉽지, 판타지는 만들 수가 없어요.

    수원에 일자리 좋은 거 얼마나 많습니까? 일자리 만들기는 (상대적으로) 존X 쉬워요.
    일자리가 많아도 수원에 판타지는 없죠.
    방송국 옮긴다고 없던 판타지가 생기지는 않을 겁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677 사회새로운 시대를 위한 노인연령기준이 필요하다 - 장래연령 관점 9 카르스 23/03/27 2523 3
    13676 사회<시어도어 카진스키>를 아시나요? 10 강세린 23/03/27 3335 0
    13675 사회미 하원의 틱톡 청문회 - 틱톡은 미 국가안보의 위협이 아니리라 6 코리몬테아스 23/03/27 2669 4
    13654 사회싱가포르 정부의 이주가사노동자 도입과 관리방식 4 dolmusa 23/03/21 3134 8
    13650 사회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권리도 없는 걸까요? 23 강세린 23/03/20 3720 0
    13633 사회일본은 한국의 미래인가? 17 레게노 23/03/11 3718 3
    13595 사회한국 인구부양비 악화의 진짜 원인 (부제: 출산율 2.1 찍어도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다) 27 카르스 23/02/24 4055 9
    13583 사회서구와 동아시아에서 추구하는 자유는 다르다 13 카르스 23/02/21 2976 7
    13569 사회한국인과 세계인들은 현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을 어떻게 보는가 6 카르스 23/02/15 2732 6
    13564 사회인생을 망치는 가장 손쉬운 방법 20 아이솔 23/02/13 3400 16
    13550 사회수도권 집중, 정말 일자리가 문제일까 19 캡틴실버 23/02/07 3198 6
    13549 사회공군 일병 숨진 채 발견…가족에 "부대원들이 괴롭혀 힘들다" 호소 16 revofpla 23/02/07 2882 0
    13546 사회통계로 본 비수도권 청년 인구유출 추이 7 카르스 23/02/06 3537 9
    13538 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3 카르스 23/02/03 3236 29
    13510 사회미국 사람들은 왜 총기사고에 둔감할까? 2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1/26 3345 6
    13486 사회장애학 시리즈 (3) - 지리는 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잖아요?: '어른'이 되기 위해 억제를 배워간다는 것, 그리고 장애와 섹슈얼리티 8 소요 23/01/17 2615 10
    13432 사회빌라왕 또 또 사망. 반년사이 3명째 숨져 10 Leeka 22/12/28 3549 0
    13427 사회바이크 타는 양아치로 살아가기 4 당근매니아 22/12/26 2519 3
    13420 사회하나의 그래프로 압축해본 한국 일본사회 비교 29 카르스 22/12/22 3816 6
    13392 사회기자는 세계를 어떻게 왜곡하는가 8 dolmusa 22/12/13 3019 10
    13391 사회이민 반대 논리중 잘 이해가 가지 않는 것 22 Amsden 22/12/13 3077 0
    13308 사회한국 사회의 검열이 완화되지 않는 진짜 이유? 80 카르스 22/11/10 5296 7
    13294 사회슬픔과 가치 하마소 22/11/02 2705 15
    13282 사회이태원 압사사고를 바라보는 20가지 시선 6 카르스 22/10/30 4840 29
    13276 사회레고랜드가 촉발한 채권 시장 위기를 보면서 정리 7 포르토네 22/10/27 3351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