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8/23 00:27:55수정됨
Name   아침커피
File #1   Perl_programming_language.png (36.7 KB), Download : 10
Link #1   https://crmn.tistory.com/151
Subject   펄 쓰던 개발자의 회상


십여 년 전, 스크립트 언어를 배워야 할 일이 생겼을 때 비주류 좋아하는 성격 탓에 당시 한창 뜨던 중인 파이썬을 안 하고 슬슬 지기 시작하던 펄을 공부했었다. C로 - 그러고보니 C++도 아니고 - 문자열 처리 코드 짜고 있던 나에게 펄은 신세계였다. 요즘은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이지만 배열 마지막 원소를 arr[-1] 같이 -1이라는 인덱스로 접근할 수 있는 것도 C에서는 상상도 못 했던 일이었다.

펄은 참 재미있는 언어였다. 한국어로 치자면 "거시기"에 해당되는 변수가 자동으로 존재한다. $_ 라는 변수인데, 그 덕에 코드를 듬성듬성 짤 수 있었다. 다른 언어에서는 명확하게 변수와 값을 지정해주었어야 할 상황에서 펄은 "거시기" 변수만 불러와 보면 얼추 필요한 값이 들어있었기 때문에 변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리고 if문과 함께 unless 문도 있었다. Unless 문의 작동방식은 if문의 정반대. 즉 if (true)는 unless (false)와 같고... 이런 조건문을 겹쳐서 if ( unless ( if ( true ) ) ) 같은 식으로 볼썽사나운 코드를 짜는 것도 가능했다.

물론 이런 코딩이 가능하다 보니 남이 짠 펄 코드를 이해하는 건 정말 어렵고 어쩔때는 내가 예전에 짠 펄 코드도 이해가 안 가기도 했다. 그래서 펄 사용자가 많이 떨어져 나가기도 했고. 이런 펄의 특성은 "어떤 일을 하는 데에는 하나 이상의 길이 있다 (There's more than one way to do it, TMTOWTDI)" 라는 펄의 슬로건에 잘 나타나 있다. 펄 코드에는 개발자의 개성이 원없이 묻어난다. 어쨌든 나는 펄이 참 좋았고, 펄은 내 석사 연구의 꽤 많은 부분과 함께 했다.

펄과 완전 반대편에 있는 언어가 바로 파이썬이다. 파이썬에서 import this를 치면 파이썬의 철학이 죽 나오는데 그 중에 이런 말이 있다.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한 하나의, 되도록이면 단 하나의 자명한 방법이 존재한다. (There should be one-- and preferably only one --obvious way to do it.)" 그래서 파이썬은 띄어쓰기를 몇 칸으로 할 것인지까지도 한번 정하면 끝까지 지켜야 한다. 펄은? 펄 사용자들끼리 신나서 자주 하는 게 어떻게 하면 한 줄 안에 코드를 잘 구겨넣을까 하는 일이다.

이런 면에서 여러모로 펄은 한국어(와 일본어)를, 파이썬은 영어를 닮았다. 한국어에서는 온갖 생략이 가능하다. "사랑해" 라고 하면 내가 너를 사랑한다는 말인 줄 다 안다. 영어에서는 "Love" 라고 하면 못 알아듣기 때문에 단 둘이 있어도 굳이 "I love you" 라고, I가 you를 love한다고 다 꼬치꼬치 말해줘야 한다. 우리는 사과를 먹었으면 됐는데 영어에서는 굳이 사과를 한 개 (an apple) 먹었는지 두 개 이상 (apples) 먹었는지를 말해줘야 한다. 영화 황산벌에 나오는 계백 장군의 대사인 "그러니께 이번 여그 황산벌 전투에서 우리의 전략 전술적인 거시기는, 한 마디로 뭐시기 할 때꺼정 갑옷을 거시기한다, 바로 요거여. 알겄제?" 는 영어로는 말이 안 되고, 번역해 봐야 억지스럽다.

이런 다양성, 다의성은 인간의 언어에서는 언어를 풍요롭게 하고 문학의 비옥한 토양이 되는 존재이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그다지 환영받지 못한다. 프로그래밍에서는 간단함과 명료함이 미덕이다. 그래서 날이 갈수록 파이썬 사용자는 많아지고 펄 사용자는 줄어만 간다.

예전, 대략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git이 아니라 cvs나 svn을 쓰던 때, 수많은 개발자들의 땀과 눈물이 서려있을 Visual C++ 6.0이 현역이었을 때, 간혹 3.5인치 디스켓 드라이브를 볼 수 있었을 때, 안드로이드는 나왔는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없어서 이클립스로 앱 만들던 때, 도스에서 터보C를 쓰던 때의 코딩은 참 자유로웠다. 참조할 수 있는 자료가 제한되어 있으니 다 개발자가 어떻게든 직접 해야 했고, 그러다보면 좀 삐그덕대더라도 분명 내 손에서 나왔다고 자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생기곤 했다. 홈페이지도 메모장에 직접 html 코드를 쳐 가면서 만들곤 했지.

요즘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거대해지면서 많은 부분이 규격화되었다. 이미 남이 만들어놓은 코드를 "라이브러리"라는 이름으로 잘 가져다가 쓰는 게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예전처럼 내가 다 하려다가는 "왜 바퀴를 재발명하고 있냐?" 라는 핀잔을 듣기 일쑤다. 깃허브에서 여러 코드를 받아오고 스택 오버플로우에서 이것저것 찾아서 어떻게 하다 보면 금세 프로그램 하나를 뚝딱 만들 수 있다. 요즘 간단한 스마트폰 앱은 파워포인트 만들듯이 마우스로도 만들 수 있고. 그런데 그렇게 해서 나온 결과물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 속 한 구석이 왠지 허전하다. '이 프로그램에서 내가 만든 부분이 도대체 뭐지?' 하는 생각과 함께.

펄을 마지막으로 써 본 지도 거의 10년이 다 되어 간다. 옛 생각이 나서 인터넷에서 펄을 검색해 보니 5년 안에 사용자가 사라질 언어 중 하나로 펄이 꼽혀 있었다. 바퀴를 재발명하던 때가 그립다. 스택 오버플로우 없이 프로그램을 짜던 때가 그립다. 괜히 커맨드 창에서 perl을 실행시키고 이것저것 눌러보다가 창을 닫았다. 기분이 참 $_ 한 오늘이다.



26
  • 회상이란 제목이 잘 어울리는 글이네요.


웹게시판에서 perl cgi를 쓸 땐 굉장히 느렸는데 php로 바꾸니 날라다녔다 정도의 이미지만 있습니다.
perl로 과제 냈던 적도 있었는데 하나도 이해 못하고 어케어케 대충 넘어갔던 기억이…
아침커피
펄이 웹 개발에 많이 쓰였다고 들었는데 저는 어쩌다보니 펄로 웹 쪽은 한번도 못 건드려봐서 아쉽네요 ㅠ 펄 접은 지 몇년 후 회사 내부용 간단한 웹페이지 만들 일이 있어서 PHP를 잠깐 써본 적이 있었는데 변수 이름 앞에 $가 붙는게 펄하고 똑같아서 반가웠던 기억이 납니다 ㅋ
저는 아직까지 git 이 마음에 안들어서 피해다니고 있는데, 언제까지 안쓰고 버틸 수 있을 지 좀 막막합니다.
git 쓰기 싫으면 그만두고 나가야 하는 판국이 되면 아마도 '이게 뭐 하는 짓인가' 하고 투덜거리면서 쓰게 되겠지만 말이지요.
git 어떤 점이 맘에 안드시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선택할 수 없는 외부적인 이유로 IDE, 개발언어와 VCS 가 동시에 바뀌는 상황을 맞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 git을 써야 했고 출시까지 일정도 촉박하여 별도로 학습할 수 있는 시간 예산 없이 급하게 쓰다가 고생을 해서 첫인상이 안좋습니다.
github desktop의 gui로는 해결할 수 없는 chery pick fail같은게 하루에도 몇번씩 터지는데 cli에서 해결하려니 그렇잖아도 시간이 부족해서 마음은 급한데 키워드도 낯설고 뭐 되는게 없더군요.
git을 제외하면 실제 업무에서 svn, perforce, alien... 더 보기
제가 선택할 수 없는 외부적인 이유로 IDE, 개발언어와 VCS 가 동시에 바뀌는 상황을 맞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 git을 써야 했고 출시까지 일정도 촉박하여 별도로 학습할 수 있는 시간 예산 없이 급하게 쓰다가 고생을 해서 첫인상이 안좋습니다.
github desktop의 gui로는 해결할 수 없는 chery pick fail같은게 하루에도 몇번씩 터지는데 cli에서 해결하려니 그렇잖아도 시간이 부족해서 마음은 급한데 키워드도 낯설고 뭐 되는게 없더군요.
git을 제외하면 실제 업무에서 svn, perforce, alien brain을 각각 1년 이상 사용해 봤는데 저에게는 svn이 영어, perforce와 ab가 독일어와 불란서 말이라면 git은 스와힐리어 같았습니다.

baba yetu 노래가 좋은 것 처럼 cvcs와 dvcs가 서로 다르고, 장단점이 있는 건 알고 있습니다만, 제가 일 하는 분야에서는 작업자가 지구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는 것도 아니고 구성원 중 프로그래머가 아닌 인원이 더 많은데 학습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git을 쓸 필요가 없네요.
1
저는 gui툴로 source tree를 씁니다.
cli에서 다뤄야 할 때는 저도 누가 쓰자고 해서 봤는데 어려워서 못썼어요.
그래서 컨벤션을 강조하는것 같아요. 대표적인 예가 git flow이구요. git의 성공은 git 그 자체보다는 github에 있지 않나 싶습니다.
아침커피
예전에 한창 svn으로 관리되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작업했던 일이 있었는데 몇 년 후에 다시 찾아보니 해당 프로젝트가 통째로 git으로 옮겨져 있던 기억이 나네요. 1인 프로젝트 관리하기에는 svn과 git에서 별 차이를 못 느꼈었고, 여럿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에서는 svn은 안 써봤고 git만 썼었는데 git이 유용하기는 하지만 처음 진입장벽이 좀 높다는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비슷한 성향의 코더로써... 공감이 되고, 좋은 글입니다.
아침커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자몽에이드
[코딩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 보는 다른 세계의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그의 심정을 조금 더 명확히 알 수 있는 그런 마음이 드는 좋은 글이었습니다.]
이런 문장은 어느쪽과 가깝다고 봐야 하나요?
아침커피
읽어주시고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어느쪽과 가까운지에 대한 말씀은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 혹시 조금 더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자몽에이드
문과적인 시각으로 말씀 드린건데 위에 펄과 파이썬의 차이를 설명하신 부분이 인상 깊어서 원래 댓글에 제가 쓴것처럼 장황하게 길고 목적이 한번에 보이지 않는 글은 어떤 툴과 더 가깝냐는 일종의 질문이었습니다.
지금 보니 제가 물어본게 너무 문맥이 없네요. ㅋㅋ
아침커피
아! 이해했습니다 ㅋ 원래 댓글의 괄호 속에 적어주신 부분은 제 생각에는 파이썬 코드에 더 가까워 보여요. 펄이었으면 아마 '그의' 등의 주어가 생략되고 말도 좀 더 구어체로 바뀌지 않았을까 싶네요 ㅋ
1
듣보잡
원글의 펄과 파이썬의 차이는 문법적인 영역에서의 자유도 차이로 보시면 됩니다. 같은 내용을 어떻게 쓰느냐의 차이입니다.
단순화시켜서 얘기하자면 주어 생략하고 목적어 동사 위치 바꿔도 대충 알아먹을 수 있는 한국어가 펄, 주어 생략 어지간해서는 불가하고 단어 순서 바꾸면 의미가 달라져서 버리기 때문에 좀 더 표준 문법에 엄격하게 써야 하는 영어는 파이썬이라고 보면 됩니다. 정확한 비유는 아닙니다.
펄을 사용하던 파이썬을 사용하던 그 결과인 프로그램은 명확하게 목표를 전달해야합니다. 다만, 목적이 한번에 보이지 않는 글을 쓰신 그 목적이 어떤 언어에 가깝냐는 의미로 해석을 한다면.. 프로그래밍 언어를 2가지의 문맥적 표현법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1)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 시작된 객체지향언어. 파이썬이 객체지향언어냐고 하면 아니라고 하실 분들이 많겠지만, 이러한 분류에서는 객체지향언어로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펄은 제가 써본적이 없기때문에 모르겠지만, 이 쪽에 가까울 것이라 예상합니다.

2) 로쉬의 프로토타입 이론에서 시작된 문맥을 중요시 하는 언어. 자바스크립트가 문맥적 해... 더 보기
펄을 사용하던 파이썬을 사용하던 그 결과인 프로그램은 명확하게 목표를 전달해야합니다. 다만, 목적이 한번에 보이지 않는 글을 쓰신 그 목적이 어떤 언어에 가깝냐는 의미로 해석을 한다면.. 프로그래밍 언어를 2가지의 문맥적 표현법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1)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 시작된 객체지향언어. 파이썬이 객체지향언어냐고 하면 아니라고 하실 분들이 많겠지만, 이러한 분류에서는 객체지향언어로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펄은 제가 써본적이 없기때문에 모르겠지만, 이 쪽에 가까울 것이라 예상합니다.

2) 로쉬의 프로토타입 이론에서 시작된 문맥을 중요시 하는 언어. 자바스크립트가 문맥적 해석을 중요시 하는 언어입니다.

따라서, 작성해주신 댓글은 이 글이 있었기에 발생할 수 있었던 것, 그리고 다른 글에서 작성된다면 그 문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펄 / 파이썬 보다는 자바스크립트에 더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아래에 관련 링크 공유드리니 흥미가 간다면 읽어보셔도 좋습니다 ㅎㅎ 코드는 거의 나오지 않으니 클릭을 두려워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D

요게 논문이고
https://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56.4713&rep=rep1&type=pdf
요게 논문의 한글 해석입니다.
https://medium.com/@limsungmook/%EC%9E%90%EB%B0%94%EC%8A%A4%ED%81%AC%EB%A6%BD%ED%8A%B8%EB%8A%94-%EC%99%9C-%ED%94%84%EB%A1%9C%ED%86%A0%ED%83%80%EC%9E%85%EC%9D%84-%EC%84%A0%ED%83%9D%ED%96%88%EC%9D%84%EA%B9%8C-997f985adb42


ps. 아, 그리고 문장의 해석이 얼마나 편하느냐의 관점에서 볼 때, 자바/코틀린을 사용하는 제 기준에서 펄이나 파이썬이나 그게 그거긴한데... 둘 중에 고르라면 펄에 좀 더 가까워보입니다 +_+ㅋㅋㅋ

ps2. 구어라고 해야겠죠 댓글도...? 구어라면 문맥이 생길 수 밖에 없는게 아닐까 싶긴합니다 ㅎㅎ
자몽에이드
헛 자바까지 넘어왔네요. 재미삼아 단 댓글이...

일단 다 이해했습니다. 이해했어요!
말씀하신 현상에 대해 저도 공감이 됩니다.

저는 웹개발을 일찍 시작했는데 20여년 전에는 문제만 있고 정답은 없어서 어떤 식으로든 문제를 풀면 되었거든요.
그래서 조건하에서 창의적인 답들을 찾아내고 나만의 방식으로 슬기롭게 해결해나가는 재미가 있었지요.
근데 시간이 지나니 그 모든 방식이 부정되고 라이브러리를 통해 개발하는 정형화된 공식을 따라가는게 대세가 되었습니다.

물론 제가 선택한 방법들도 지금 생각해보면 그다지 훌륭한 것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걸 억울해 할 일은 아니지만, 예전과 같이 고민해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더 보기
말씀하신 현상에 대해 저도 공감이 됩니다.

저는 웹개발을 일찍 시작했는데 20여년 전에는 문제만 있고 정답은 없어서 어떤 식으로든 문제를 풀면 되었거든요.
그래서 조건하에서 창의적인 답들을 찾아내고 나만의 방식으로 슬기롭게 해결해나가는 재미가 있었지요.
근데 시간이 지나니 그 모든 방식이 부정되고 라이브러리를 통해 개발하는 정형화된 공식을 따라가는게 대세가 되었습니다.

물론 제가 선택한 방법들도 지금 생각해보면 그다지 훌륭한 것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걸 억울해 할 일은 아니지만, 예전과 같이 고민해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이 아닌 남들 가는 길을 따라가는 식의 작업으로 사조가 바뀐건 좀 아쉬운 느낌이 있네요.
1
아침커피
정말로 공감가는 말씀입니다!
코드의 재활용성이 생산성 향상의 핵심이라서, 규격화 되어 가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아침커피
계속해서 더 이런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산업, 어느 학문이든 초기에는 다양한 방식이 난립하다가 결국에는 주요 몇 가지 방식으로 정리가 되니까요. 춘추전국시대의 여러 나라들을 진나라가 다 통일하는 것 처럼요. 그저 그런 과정에서 점점 사용자가 줄어가는 펄을 보며 감상에 젖어 글을 써 보았습니다 ㅎ
파이썬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됨에 따라서 같은 일을 할수 있는 방식이 수백개씩 생기고 있죠... 펄은 자세히 공부해본적은 없지만, 코드를 해독하는 맛이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물론 보통은 해독 실패...
아침커피
ㅋㅋㅋ 펄 코드는 해독이라는 표현이 잘 어울려요 ㅋ
저도 펄 썼어요. 저도 20년쯤 전에 돈받고 일하는 전업 개발자였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C/C++ 근본주의 세력의 마수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때라, 근본없이 자유로운 펄이 매력있고 그랬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 개발은 그렇게 흘러가는군요. 저는 코딩에 손뗀 뒤로 '개발' 하면 맨날 '바퀴를 재발명해야 하는' 부담감이 느껴졌는데, 요새 개발은 훨씬 부담없는 느낌일 수도 있겠군요. 하긴 바퀴 재발명하고 앉아 있으면 원시인이지..
아침커피
'근본없이 자유로운 펄'이라는 표현이 참 와닿습니다 ㅋㅋ '바퀴를 재발명하던' 시대에 개발을 시작했어서 그런지 요즘의 '바퀴를 가져다 쓰는' 개발 방식에 대해 편하기는 하지만 마음 속에 뭔지 모를 허전함이 느껴지곤 합니다 ㅎ
다크초코
한 때 다니던 회사가 Perl 스크립트를 써서 원하지 않았지만 한동안 주력으로 썼던 적이 있습니다. 낙타 책 반갑네요.
아침커피
펄 하면 낙타지요! ㅋㅋ
홍차넷 개발은 원시적이라서 갖다쓰는게 없고 대부분 다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바퀴를 갖다 쓰면 좋을텐데... 그러려면 프레임이 바퀴와 호환되도록 수정을 해야 해서... (귀찮)
바다사자
전 과학자로서 펄이 좋네요. 일회용 코드, 원라이너 만들어 쓰기 최고의 언어 아닐까 싶습니다.

같은 스크립팅 언어인 파이썬은 자질구레 정의해줘야할게 너무 많아요
글이 참 조읍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39 IT/컴퓨터아이패드 신형 출시로, 한국 아이패드 가격들이 모두 변경되었습니다. 8 Leeka 22/10/19 2873 0
13238 IT/컴퓨터아이폰의 성능이 그렇게 좋아져서 어디에 써먹나요?.. 41 Leeka 22/10/18 3724 1
13219 IT/컴퓨터아이폰 14 프로맥스 기변후 사용 후기 4 Leeka 22/10/11 3916 2
13211 IT/컴퓨터애플페이 관련해서 간단하게 살펴보는, 결제 방식 3가지의 차이 4 Leeka 22/10/06 2687 1
13207 IT/컴퓨터애플페이가 11월 30일 (예정) 에 한국에 상륙합니다. 16 Leeka 22/10/06 2741 0
13197 IT/컴퓨터망사용료 이슈에 대한 드라이한 이야기 17 Leeka 22/09/30 3720 8
13155 IT/컴퓨터애플 워치를 쓰면서 건강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8 큐리스 22/09/16 3112 2
13141 IT/컴퓨터'가격 동결'인줄 알았으나... 애플 9월 이벤트 Far Out 요약 32 Cascade 22/09/08 4330 4
13103 IT/컴퓨터펄 쓰던 개발자의 회상 30 아침커피 22/08/23 4377 26
13097 IT/컴퓨터예전에 일기첫마디를 쓰던걸 마저 쓰라고 돌렸는데 ㅎㅎㅎ 3 큐리스 22/08/19 2813 0
13096 IT/컴퓨터인공지능 글쓰기?? kogpt 한번 써봤습니다. 21 큐리스 22/08/19 3835 0
13069 IT/컴퓨터가끔 홍차넷을 버벅이게 하는 DoS(서비스 거부 공격) 이야기 36 T.Robin 22/08/08 4911 24
13068 IT/컴퓨터AI님 감사합니다~~ 3 큐리스 22/08/08 3382 0
13048 IT/컴퓨터아이패드 액정보호용 강화유리를 갈아봅시다~~ 20 whenyouinRome... 22/08/04 3558 6
12929 IT/컴퓨터휴직된 구글 직원과 인공지능의 대화 전문 7 Jargon 22/06/18 5052 7
12927 IT/컴퓨터산업현장은 AI에 너무 큰 기대를 하는 걸까. 14 Picard 22/06/17 4058 18
12912 IT/컴퓨터문자를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 14 토비 22/06/13 4328 0
12894 IT/컴퓨터아이폰 14의 파멸적인 예상 가격 120 Cascade 22/06/07 5910 2
12819 IT/컴퓨터[팁] 넷플릭스 소리 설명 자막 없애는 방법 3 토비 22/05/15 10574 5
12786 IT/컴퓨터애플스토어 5호점이 강남에 생길거 같다고 합니다 6 Leeka 22/05/07 3551 0
12709 IT/컴퓨터테슬라 2년 탑승후기 12 소노다 우미 22/04/09 4995 10
12633 IT/컴퓨터4개 업체의 스마트워치 심박수 정확도 비교 및 애플 관련 잡담.. 15 Leeka 22/03/15 6873 2
12537 IT/컴퓨터백수가 어플 개발했습니다 42 helloitraffic 22/02/23 4659 0
12496 IT/컴퓨터컴린이의 컴 오래쓰는 법? (소프트웨어 & 물리) 18 Groot 22/02/07 5078 8
12382 IT/컴퓨터애플TV+ 무료 체험 (최대 15개월) 하는 방법들 3 Leeka 21/12/25 5946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