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18 12:42:30 |
Name | 눈부심 |
Subject | .사.진. |
여섯 살의 워펠은 오스트리아의 고아원에서 지내는 아이입니다. 레드 크로스가 새 신발을 선물해 줬어요. 처음으로 받아보는 새 신발. 1946년에 타임 매거진에 실렸습니다. 보스턴지에 실린 이산가족상봉 사진입니다. 버스에 탄 분이 북한에 살고 계신 형제분이고 눈물을 훔치시는 분이 남한의 형제분이세요.. 뭔가 아이러니하죠. 관절이 좋지 않은 반려견을 위해 물 속에서 같이 노니는 모습입니다. 물 속에 있으면 관절에 무리가 덜 가서 잠을 편하게 잘 수 있어요. 남자분 또한 자살충동과 우울증을 겪으며 힘든 나날을 보내다가 버려진 새끼였던 개를 데리고 온 후 우울했던 자신이 치유가 되었다고 해요. 장례식시작부터 전사한 주인 곁에 저렇게 누워있더래요.. 유명한 사진이죠. 사진 작가 Kevin Carter는 왜 아이를 구해주지 않았느냐는 비난에 직면하고 나중엔 결국 자살해요. 자살 노트에 이렇게 써 놓았어요. [ I am depressed … without phone … money for rent … money for child support … money for debts … money!!! … I am haunted by the vivid memories of killings and corpses and anger and pain … of starving or wounded children, of trigger-happy madmen, often police, of killer executioners … I have gone to join Ken [recently deceased colleague Ken Oosterbroek]if I am that lucky.”] 아마 사진을 찍으며 목격했던 고통의 기억들과 우울증과 생활고가 복합적인 원인이었나 봐요. 호랑이와 음식을 나눠 먹는 승려. 호랑이가 저렇게 귀여울 수 있다니. 중국의 기차역에서 한 노인분이 의자에 앉은 채 돌아가셨어요. 승려분이 그 분의 영혼을 위해 기도를 드립니다. ![]() 삶이란... ![]() 필리핀 마닐라, 석탄공장의 한 여자아이.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어도 웃을 수 있으려면 어린아이여야만 하나봐요.. 2014년 시리아내전 중 동생을 안고 있는 오빠. 이 사진 뭉클.. ![]() ![]()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제가 독일인가에 모여 있는 시리아난민을 누가 촬영한 동영상을 본 적이 있어요. 독일남성이 과자뭉치가 든 커다란 가방을 메고 하나씩 나누어 주려는데 난민아이들과 어른들이 야만인처럼 들러붙어서 가방이며 과자며를 막 빼앗아 가는 거예요.. 정말 얼마나 짐승 같은 장면이었던지 선입견이 바로 밀려들어서 본 걸 후회했어요. 그게 연출이 아니고 현실을 반영한 거지만 도대체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를 모르겠더라고요. 저도 갑작스런 인구유입이 초래하는 사회 경제적 악재를 이론적으로 상상은 해 봤어요. 브로커에 돈 주고 피난해 오는 난민이 무슨 난민인가... 더 보기
제가 독일인가에 모여 있는 시리아난민을 누가 촬영한 동영상을 본 적이 있어요. 독일남성이 과자뭉치가 든 커다란 가방을 메고 하나씩 나누어 주려는데 난민아이들과 어른들이 야만인처럼 들러붙어서 가방이며 과자며를 막 빼앗아 가는 거예요.. 정말 얼마나 짐승 같은 장면이었던지 선입견이 바로 밀려들어서 본 걸 후회했어요. 그게 연출이 아니고 현실을 반영한 거지만 도대체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를 모르겠더라고요. 저도 갑작스런 인구유입이 초래하는 사회 경제적 악재를 이론적으로 상상은 해 봤어요. 브로커에 돈 주고 피난해 오는 난민이 무슨 난민인가도 싶고 처음부터 그들에 대한 동정을 딱히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그런 동영상을 보고 나니 난민들을 수용하는 건 국가의 재앙일 것 같더라고요. 적어도 난민유입에 대해서 극히 보수적인 사람들의 의견을 함부러 재단해선 안되겠단 생각을 했어요. 사진이나 이미지의 힘은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그러다 또 시리아인들이 폭격당하고 쫓겨나는 사진들 보면 역시 인간의 시야는 좁다는 생각도 들고 그랬어요.
그러다 또 시리아인들이 폭격당하고 쫓겨나는 사진들 보면 역시 인간의 시야는 좁다는 생각도 들고 그랬어요.
정말 대단하죠.. 어떻게 잘 포착 혹은 심한 경우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사회의 담론 자체가 달라지기도 하니까요
(카파의 그.. 스페인 내전 사진은 다른 밀착들이 있어서 혐의를 벗어났는데 그만큼 조작의 의심까지 받을 만큼 강력한 이미지이지요)
(비슷한 사례로 전후에 해군 수병과 키스하는 여자의 사진이나 아오지마 섬?인가 거기에 깃발 꽂는 미 해병대는 철저히 연출된 사진이지요..)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사람은 쉽게 짐승이 되더라구요.
저는 예전에 일하면서 겪은 하나의 작은 에피소드 때문에 인간의 지성에 대해서 절대 신뢰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은 짐승\'이라는 전제를 깔고 살게 되었어요..
(카파의 그.. 스페인 내전 사진은 다른 밀착들이 있어서 혐의를 벗어났는데 그만큼 조작의 의심까지 받을 만큼 강력한 이미지이지요)
(비슷한 사례로 전후에 해군 수병과 키스하는 여자의 사진이나 아오지마 섬?인가 거기에 깃발 꽂는 미 해병대는 철저히 연출된 사진이지요..)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사람은 쉽게 짐승이 되더라구요.
저는 예전에 일하면서 겪은 하나의 작은 에피소드 때문에 인간의 지성에 대해서 절대 신뢰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은 짐승\'이라는 전제를 깔고 살게 되었어요..
좀 다르지 않나요? 애초에 저 아이가 사진이 찍힌 곳은 외부인이 아예 들어갈 수가 없는 구역이고 그렇기 때문에 손 댈 수 없는 공간의 아이 사진을 찍은 거라서 저런 비난이 온당치 못하다는 글을 본 적이 있네요.
In March 1993, while on a trip to Sudan, Carter was preparing to photograph a starving toddler trying to reach a feeding center when a hooded vulture landed nearby. Carter reported taking the picture, because it was his \"job title\", and leaving. He was told not to touch the children for fear of transmitting disease.
In March 1993, while on a trip to Sudan, Carter was preparing to photograph a starving toddler trying to reach a feeding center when a hooded vulture landed nearby. Carter reported taking the picture, because it was his \"job title\", and leaving. He was told not to touch the children for fear of transmitting disease.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