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1/16 19:25:34
Name   오늘
Subject   지방갭투자 한번 생각해봤다가 생각 접은 후기+계약갱신청구권

임대차보호법이 참 그지같으면서도 갭투자 막는 목적으로는 잘 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이번에 첫 지방 갭투자 한 번 해볼까 했다가 느꼈습니다

제가 본 모 지역은 24년 초까지는 공급이 없고 미분양도 급격히 소진되는 듯 합니다(24년 후반부터는 공급이 좀 있음/인근지역도 마찬가지+이미 올라서 키 맞출듯)

그래서 22년 초에 사서 옆지역이랑 가격 키 좀 맞추면 24년 초에 2년 채우고 팔고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제가 들어가서 살 생각은 없구요

그러면 24년 초쯤에 제 집을 사 줄 사람은 두 유형일텐데

1. 24년 초~중순에 입주하고싶은 사람
실거주자가 내쫒고 들어가겠다고 하면 세입자는 집을 안보여줄수 있더라구요 계약만료 6개월 이내면 새로운 세입자도 못쫒아내니까 그 땐 보여는 주지만 새로운 임대인(=내 집 사줄 사람)도 26년 2월에 입주해야 하는데..그런 사람 찾기 쉽지 않을듯 합니다

2. 24년에
아니면 새로운 갭 투자자에게 파는 방법이 있죠! 그런데 현시점에 25년 공급물량이 얼마나 될지 모르는데 26년 공급물량을 예측해서 시세예측을 하기는 아무래도 좀 어렵지 않아 싶습니다
예전처럼 2년 단위로 선분양-전세계약 사이클이 돌아가는 분위기가 아니라서..
다행히 공급이 줄어서 매매가가 그 뒤로도 안떨어질거같다면 다음 갭투자자가 들어올테니 문제없겠지만
만약 그 뒤로는 공급이 많다면? 갭투자자가 들어오기도 어려울 거 같습니다

결국
1. 이미 20년 상반기에 계약해서 계약갱신청구권을 쓸거거나/썼고 24년 상반기에 나가가겠다고 하는 사람을 만나거나
(이랬다고 해도 23년에 갑자기 3개월 뒤에는 나가겠다! 라고 하면 그냥 그 때 팔거나(2년 이하 보유라 비과세 못받음기존주택 아직 안팔았으면 비과세 요건 거주기간 리셋)
또는 다시 4년 살 수도 있는 세입자 맞춰야 함/ 계약갱신청구권 안쓰겠다고 특약에 써도 무효)

2. 그 때 매매가는 올라오고 전세가는 떨어질거라고 믿어보고(그럴까..?)+ 운좋게 좋은세입자 만나기+명절과 생일에 선물, 이사하실때 이사비 챙겨주고 2년 뒤에 나가달라고 하기

3. 26~28년까지도 입주물량이 적어서 다음 갭투자자/2년 뒤 입주할 실 수요자도 먹을게 있을거라고 믿기

4. 1년전부터 들어가 살 집을 구하는데 집은 안봐도 계약가능한 부지런한 차기매수인 찾기+그런 상황에 집을 보여주는 임차인 만나기

결국 그냥 운에 기대는 부분이 많은거니까
임대인 입장에서는 갭투자 유인이 적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는 갭투 투자자들이 엄청 많이 들어오는거 보니 그냥 이정도 리스크는 감수하는 걸수도 있겠네요

아무튼 지방 갭투자도 아무나 하는거 아니라는거...다시 한 번 배웠어요
기존에 갭투자 했던 경험으로 지금 갭투 추천하시는 분들 얘기도 조금 조심히 들어야 하지않나 싶구요

적폐 투기꾼 좀 해보려고 했는데 겁이 많네요 제가ㅋㅋ

욕먹을까봐 펑걸고 소소하게 올리려 했는데 글이 길어져 티타임에 갑니다ㅜㅜ
다들 그렇지만 돈을 빨리 벌어야하는 사정이 있으니 너무 뭐라고 하지 마시고 그냥 이런 생각들을 하는구나 하고 봐주세요
그리고 혹시 갭투고수인 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 쪽지 좀 부탁드립니다.....ㅜㅜ

즐거운 주말 되세요!!



0


    맥주만땅
    지방 아파트 투자의 문제점은 공급이 너무 쉽다는 것이지요.

    물론 공급이 제한적인 지역도 분명 있습니다만 거기는 서울만큼 비싸지요.
    2
    그러니까요 택지개발지구가 어떻게 그리 많은지..
    그래서 원래는 기간을 짧게 갖고하는게 맞는거같아요 하지만 이제는 위험이 더 는거죠
    하우두유두수정됨
    지방 갭투는 작년초가 마지막 타이밍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천안 아산 공시 1억미만쪽이요
    작년장이 상대적으로 지방쪽에서 갭매우기하는게 컸어서 그만큼 서울이 갭벌리기로 치고 나가면 그다음에 다시 매력이 커지지않을까합니다.
    서울도 너무 올라서 올해는 보합이나 약한상승 아닐까요? 뭐든 쉽지않은거 같습니다...
    Paraaaade
    저야 안(못)하지만, 신규 진입자 입장에서 투기과열지역이나 조정지역은 세금이 워낙세니 큰 리스크를 지고 지방으로들 가는게 아닐까싶네요
    그냥 리스크 정도는 감수하고 하는 분들인거네요
    애초에 전세 세입자를 맞출때 2년 뒤에는 들어가서 살거니까 2년만 사실 분 구한다고 하는게 최선이지 않을까싶습니다ㅜㅜㅎㅎ
    지금 약세장 초입부 같은데...잘하면 들어갈 타이밍 한번 올지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758 일상/생각아이들을 돕는 단체 "얀코"에 자원봉사 다녀왔습니다. 24 트린 22/04/28 4639 46
    12751 일상/생각엄마의 틀니 9 풀잎 22/04/23 4957 64
    12747 일상/생각아버지의 제자가 의사였습니다. 11 Regenbogen 22/04/21 5081 12
    12744 일상/생각요즘은 남자들도 육아휴직 쓴다던데.. 8 Picard 22/04/20 4890 7
    12731 일상/생각인천 학생들에게 삼성 노트북 지급 뉴스를 읽고 23 Alynna 22/04/17 5373 0
    12728 일상/생각일상의 사소한 즐거움 : 어느 향료 연구원의 이야기 (4편) 2 化神 22/04/15 4015 11
    12707 일상/생각농촌생활) 3월 중순 - 4월 초 18 천하대장군 22/04/08 4579 20
    12703 일상/생각글라이더 11 Regenbogen 22/04/07 3591 10
    12702 일상/생각신기하고 사랑스러운 강아지란 존재 7 StrPepMint 22/04/07 4385 14
    12701 일상/생각이직 여행기 5 nothing 22/04/07 4694 6
    12686 일상/생각줄을 선다. 라인을 탄다는 것은.. 11 Picard 22/04/01 4591 20
    12671 일상/생각일상의 사소한 즐거움 : 어느 향료 연구원의 이야기 (3편) 10 化神 22/03/25 5852 19
    12668 일상/생각슈퍼을이 또 나타났습니다. 25 Picard 22/03/23 5198 5
    12665 일상/생각여러 사회쟁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들 31 찐타님 22/03/22 5598 4
    12663 일상/생각농촌생활) 봄봄봄 봄이왔습니다 22 천하대장군 22/03/21 4598 29
    12654 일상/생각그럼에도 내가 보수인 것은 19 인생호의 선장 22/03/19 5229 19
    12647 일상/생각일상의 사소한 즐거움 : 어느 향료 연구원의 이야기 (2편) 5 化神 22/03/18 4742 16
    12639 일상/생각요즘 정치가 무섭네요. 4 그린티넷 22/03/17 5167 0
    12636 일상/생각지겨운 다이어트를 또 도전합니다 5 쿵파 22/03/16 4376 5
    12635 일상/생각대한민국 OECD 우울증 1위. 8 moqq 22/03/16 4722 0
    12630 일상/생각분위기 바뀌는거 걱정되네요. 24 Picard 22/03/15 5619 4
    12629 일상/생각나는 네 편 9 머랭 22/03/15 5079 39
    12617 일상/생각내 차례는 언제일까? 9 방사능홍차 22/03/13 4879 1
    12613 일상/생각일상의 사소한 즐거움 : 어느 향료 연구원의 이야기 (1편) 5 化神 22/03/11 5307 27
    12610 일상/생각윤통이 대출 풀어주면 영끌해서 집 사야겠죠? 27 Picard 22/03/11 549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