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1/04 09:55:21
Name   J_Square
Subject   왜 근로자가 근로자성을 증명해야 하는가?
https://www.worklaw.co.kr/view/view.asp?in_cate=104&gopage=&bi_pidx=33357&sPrm=in_cate$$104@@in_cate2$$0

"[대부분의 생산활동이 기업에 의해, 즉 근대적 생산방식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일하는 사람의 규범적 기본값이 근로자가 아니라는 18세기적 가정'을 그대로 고수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규범적인 기본값 자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일하는 사람의 규범적 기본값을 '근로자'라고 추정하고, 이러한 추정을 깨뜨리고 싶은 당사자에게 반증의 증명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이 일상화된 지금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부합할 것이다."



좋은 글이 있어서 소개드리고자..
일반 기업 종속노동 시대에서 벗어나 플랫폼 노동 시대에 접어드는 이 시점에서 여러 가지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7


    그래서 예전에 전공의가 노동자인가 말이 많았죠.
    병원에서도 노동자 아니라고 하고 심지어 노조에서도 노동자 아니라고 하고
    대법원 판결 후에서야 인정받은...
    8
    당근매니아
    권 교수님 글일 줄 알았습니다[....]
    주장하시는 것처럼 근로기준법 상의 근로자임을 디폴트값으로 놓는다고 한다면, 근로기준법 조문 자체를 상당부분 뜯어고쳐야 할 겁니다. 법 자체가 애초에 전통적인 근로자, 그 중에서도 제조업 근로자를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다보니 플랫폼 산업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내용이 법 내용의 2/3 이상이니까요. 단적으로 일반적인 사업장에서의 단체협약은 100개 조문 수준에서 체결되는 데에 반해서, 단체협약이 체결된 특수형태근로종사자들의 경우 2~30개 정도의 조문으로 확정됩니다. 연차니 뭐니 하는 것들이 적용될 일 자체가 없으니 생기는 차이입니다.
    J_Square
    전국민 고용보험도 공회전 중인데 근로기준법 전면 개정이라니 ㅎㄷㄷ하네요..
    1
    잘 읽었습니다 @_@ 법학은 잘 모르지만 증명책임의 분배(무엇이 원칙이고 무엇이 예외인가)하는 문제는 흥미롭네요.
    3
    주식하는 제로스수정됨
    반대아닌가싶은데.. 최근의 상황변화는 오히려 일하는 사람의 기본값이 근로자가 아닌 경우가 더 많아진 것 아닌가 싶습니다.

    근로자가 자기의 근로자성을 입증해야하는 것은 그냥 주장하는 자가 입증책임이 있는 기본원칙이지 18세기랑은 상관없는 얘기고요.

    실무적으로도 법원이 근로자성 인정하는 기준이 그리 빡빡하지 않아서 이미 절반쯤은 사용자쪽에서 근로자성없음을 입증해야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도 않고요. 문제의 '근로자성을 입증할 전제사실'들이 실제로는 '근로자체를 입증할 사실'하고 상당히 겹치기 때문에..

    글이 앞부분은 좋다가 뒤에서 갑자기 점프를 하네요.
    4
    당근매니아
    노동법 영역에서는 노사간 정보불균형이 심대한 점을 고려해서 사용자 측에 입증책임을 전환한 내용이 꽤 있습니다. 예컨대 기간제차별이 주장되었을 경우, 차별이 없었다는 점을 사용자가 입증해야 하죠. 애초부터 양 당사자간 권력 불균등을 전제로 발달해온 법에, 양 당사자간 동등성을 기초로 한 민법상 대원칙을 들이미는 건 별 의미 없는 소립니다.
    주식하는 제로스
    말씀대로 노동법 영역에서는 그런 불균등을 이유로 노동자에게 여러가지 특혜, 대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해주고 있지요.
    그렇다고 해도 원칙이 원칙이고 예외가 예외라는 것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기존보다 더 예외를 확대해 달라는
    주장은 그러한 특별한 필요를 입증할 필요가 있지요. 말하자면, 입증책임을 전환해달라는 주장을 하는 쪽에서
    그 필요성을 입증할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당근매니아
    입증책임은 사법의 영역에 놓여있는 문제고, 입증책임을 누구에게 지울 것인가는 입법의 영역이죠. 입법은 사회적 합의에 의한 기준을 정하는 것이니, 보통 이럴 땐 필요성의 입증 책이라는 표현보다는 설득 내지 공감대 형성이라고들 합니다. 링크된 글은 그러한 주장을 대중에게 설득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니, 점프를 한다는 표현은 그다지 적절해 보이지 않네요.
    J_Square
    노동법령은 그 취지상 여러 경우에서 증명책임을 전환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그 적용을 받는 근본지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노동법을 법원칙에 가두어 다 원칙대로 하자고 하면 해고가 부당하다는 것도 근로자가 주장하는 것이 맞지요.

    글 전체가 증명책임의 전환 주장을 위한 해외사례 및 필자의 개인적 소견인데 점프 지점이 어디인지는 저는 잘 못느꼈습니다. 권교수님이 허술한 분은 아닌데 제가 개인적으로 믿음을 드리는 필자라 그런가보다 하겠습니다.
    주식하는 제로스
    우선은 근로자성의 판단을 인적종속이 아니라 위계구조 편입을 기준으로 하자고 하는데
    막상 '위계구조의 편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인가요?
    사업자를 먼저 밝히지 않고는 근로자와 사업자의 의미에 대해 순환논증에 빠진다는 비판이
    인적종속과 위계구조의 의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닌가 합니다.

    인적종속의 전제사실과 위계구조편입의 전제사실이 얼마나 구별되는지도 불분명하고요.

    솔직히 말하자면 이 논의 자체가 실제로 입증책임의 전환을 구한다기 보다는
    플랫폼근로자 등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더 보기
    우선은 근로자성의 판단을 인적종속이 아니라 위계구조 편입을 기준으로 하자고 하는데
    막상 '위계구조의 편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인가요?
    사업자를 먼저 밝히지 않고는 근로자와 사업자의 의미에 대해 순환논증에 빠진다는 비판이
    인적종속과 위계구조의 의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닌가 합니다.

    인적종속의 전제사실과 위계구조편입의 전제사실이 얼마나 구별되는지도 불분명하고요.

    솔직히 말하자면 이 논의 자체가 실제로 입증책임의 전환을 구한다기 보다는
    플랫폼근로자 등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는 직종에 대해
    근로자성을 인정해달라는 데 목적이 있는 주장이라 생각됩니다.

    기존 근로자성 인정에 필요한 요건 ABC에 빠진 부분이 있는데
    A나 B나 C를 던지면 나머지 두 요건이 있는 것으로 추정해달라는 거죠.

    요건변경/요건완화의 우회로로서의 증명책임전환이라고나 할까요.
    J_Square
    저는 이 글의 목적이 플랫폼노동자 이슈를 트리거로 해서 전통 시스템의 전환을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반대로 보고 계시는거 같네요. 더 드릴 말씀이 없겠습니다.
    와와와와와우수정됨
    어디서 점프가 뛰냐면 코즈를 인용하면서 뛴다고 봅니다. 거래비용 이론 자체가 기업-노동자보다는 기업 자체의 분화와 내부화, 외부화에 관한 내용인데 그걸 18세기 장인에서 노동자라는 사례로 기업-노동자에도 적용하는 과정에서 비약이 좀 있다고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더군다나 코즈의 이론은 기업의 분화를 설명한다는 측면에서 내부화 -> 외부화에 초점이 강한데 이 글은 외부화 -> 내부화라서 더 그렇게 느껴지고요. 어디서 레퍼런스를 따왔을지 아는 사람도 재밌고 흥미로운 관점이라는 생각과는 별개로 글의 비약이 강하다고 생각하는데... 더 보기
    어디서 점프가 뛰냐면 코즈를 인용하면서 뛴다고 봅니다. 거래비용 이론 자체가 기업-노동자보다는 기업 자체의 분화와 내부화, 외부화에 관한 내용인데 그걸 18세기 장인에서 노동자라는 사례로 기업-노동자에도 적용하는 과정에서 비약이 좀 있다고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더군다나 코즈의 이론은 기업의 분화를 설명한다는 측면에서 내부화 -> 외부화에 초점이 강한데 이 글은 외부화 -> 내부화라서 더 그렇게 느껴지고요. 어디서 레퍼런스를 따왔을지 아는 사람도 재밌고 흥미로운 관점이라는 생각과는 별개로 글의 비약이 강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은 사람이 더군다나 입증책임에 대한 법학적 배경이 있는 경우라면 글 후반부는 ????한 느낌이 강하게 들 수 밖에 없는 글이라고 봅니다.
    이 글이 대중한테 좀 더 설득력이 있으려면 코즈이론을 자기의 주장에 어떻게 논리적으로 적용하는지에 대해 한 단락이 아니라 좀 더 설명이 많았어야 하는데 뭐 노동법률 신문이라는 걸 감안했을 때 주 독자층이 이해 못했을리는 없을거라고 생각했을 수 있으니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743 사회군대 월급 200만원에 찬성하는 이유 29 매뉴물있뉴 22/04/20 5031 3
    12742 사회현대 청년들에게 연애와 섹스가 어렵고 혼란스러운 결정적인 이유 56 카르스 22/04/19 6641 16
    12704 사회[뇌내망상]당연했던 것들이 당연하지 않게 될 것이다 4 주식못하는옴닉 22/04/08 4810 7
    12669 사회국회미래연구원 - 2022 이머징 이슈 15 소요 22/03/24 4901 28
    12638 사회요식업과 최저임금 7 파로돈탁스 22/03/17 4851 0
    12622 사회홍차넷의 정치적 분열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 뉴스게시판 정치글 '좋아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67 소요 22/03/13 7227 67
    12564 사회좋은 상품이 있어 알려드리려 합니다 13 치킨마요 22/03/02 4311 11
    12547 사회러시아와 우크라이나, 3개월의 기록들 3 조기 22/02/25 3625 11
    12540 사회조재연 대법관 기자회견과 사람의 기억왜곡 18 집에 가는 제로스 22/02/23 4852 12
    12503 사회지하철에서 게임하다 고소당하면 겪는 일 13 주식하는 제로스 22/02/09 5768 7
    12487 사회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역설 - 행복해졌는데 자살, 자해가 증가? 7 카르스 22/02/03 3687 4
    12473 사회고립위기 청년을 돕는 푸른고래 리커버리센터 4 토비 22/01/27 5995 9
    12469 사회택배노조 파업으로 택배가 오지않는 이유.jpg 10 cummings 22/01/26 3952 1
    12441 사회오미크론 시대에 대한 준비 18 재규어 22/01/14 4228 5
    12370 사회미혼커플. 혼인신고안하는 게 이득 38 moqq 21/12/22 6485 1
    12315 사회한국에서 서비스하는 OTT들의 최고 요금제 비교 7 Leeka 21/12/01 4619 1
    12262 사회‘비트코인 시장’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이모저모 2 오쇼 라즈니쉬 21/11/10 4804 3
    12249 사회최순실로 인해 불거진 ODA 문제는 해결되었는가 5 정중아 21/11/08 4058 14
    12240 사회왜 근로자가 근로자성을 증명해야 하는가? 12 J_Square 21/11/04 5416 7
    12228 사회정신나간 쇼핑사이트를 발견하여 소개드려봅니다. 10 보리건빵 21/11/01 8569 3
    12218 사회검단신도시 왕릉 아파트 추가(개발공고) 24 Picard 21/10/29 5489 0
    12217 사회손석희와 김어준은 어떤 언론인인가 20 매뉴물있뉴 21/10/29 4908 5
    12213 사회검단신도시 장릉아파트에 대한 법개정을 추적해 봤습니다. 8 Picard 21/10/28 4456 7
    12196 사회[댓꿀쇼] '전두환은 경제를 잘했는가' & '여론조사/국힘경선 판세를 어떻게 해석할것인가' 11 매뉴물있뉴 21/10/23 4786 2
    12188 사회다시 보는 사법농단 8 과학상자 21/10/19 4209 1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