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0/09 10:19:31
Name   눈부심
Subject   코끼리는 왜 암에 잘 안 걸릴까
코끼리는 인간보다 세포가 100배는 많아요. 그러면 세포가 나고 죽고 세포분열 할 일도 100배 많을 거예요. 세포가 새로 생성될 때 DNA카피를 잘 해야 해요. 카피에 문제가 생기면 암이 발생할 수 있거든요. 그런데 코끼리는 암으로 인한 사망율이 4.8%밖에 안 돼요. 인간은 11-25% 사이예요. 사자는 2%정도고요. 최근에 과학자들이 코끼리가 암에 잘 걸리지 않는 이유를 발견했어요.

세포가 분열되는 와중에 잘못될 여지를 방지하게 위해 유전 카피가 잘못되면 이를 고쳐주는 효소가 있어요. 이 효소는 잘못된 유전자만 고치고 수선하는 역할만 담당하고 있어요. 인간의 몸에 있는 효소는 한 종류의 효소가 천개의 유전적 에러를 고칠 수 있어요. Not so bad~

바로 코끼리가 암에 잘 안 걸리는 이유는 종양억제 단백질인 p53이 많기 때문이었어요. 이 단백질은 바로 '게놈의 수호신'이라고 하는 단백질이래요. 이 단백질 종류가 인간에게는 딱 두 개밖에 없지만 코끼리에게는 38가지나 있답니다. 이 단백질이 코끼리 몸에서 유전변형이 일어나거나 '종양종양'스런 세포가 생기면 철벽으로 수비를 해서 혼을 내준다고 하네요. 코끼리들을 대상으로 암세포실험을 했을 때 (크게 해가 되지 않았다고 해요) 코끼리 몸에서는 손상된 세포가, 불어나서 희한한 세포를 양산하는 일이 없도록 그냥 자살을 해버리더래요. 코끼리가 암에 잘 안 걸리는 이유는 걔네 세포들이 이렇게 이타심이 뛰어나기 때문이었어요.

출처 : http://www.slate.com/blogs/wild_things/2015/10/08/why_elephants_don_t_get_cancer_extra_tumor_suppressors.html





0


    난커피가더좋아
    그냥 직장생활을 안해서 그런거 아닐...죄 죄송합니다..ㅠㅠ

    근데 위에 적은 뻘소리와는 별개로, 저 발견을 출발점으로 인간 암치료(혹은 예방)에 발전이 있을지, 그런게 가능할지 궁금하긴 합니다.
    눈부심
    저도 인간 암치료발전에 도움이 되는 발견일까 궁금했지만 파인만 박사에게 너무 어려운 질문을 던진 인터뷰어가 생각나서 입다물고 있었어요 흐흐.
    난커피가더좋아
    크크크크....
    눈부심
    p53을 모아모아서 인간에게 주사를 빵 놔주면 되나여? 이러면 여기 분들 아마 뒤로 발라당 넘어가실 듯.
    크크크크 이런 센스가 좋아요 크크
    천무덕
    병알못의 생각으로는 의사들을 한없이 갈아넣으면(..) 언젠가는 현존하는 암에 대한 처방법을 발견하게 되지 않을지 싶습니다. 저 발견이 시발점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새의선물
    1993년 p53이 사이언스지 표지에 \'올해의 분자\'로 등장했을때만해도 암정복이 훨씬 더 가깝다고 생각을 했지만... 요원하네요.
    눈부심
    과학자들이랑 오랫동안 알고 지낸 덩어리들이군요. 여튼 코끼리들은 정말 좋겠어요.
    Beer Inside
    사람에게 주입하면 엘리펀트맨이 나올지도
    눈부심
    그런 경을 칠 일이... 킄
    생명체가 얼마나 신기한 존재인지 다시 한 번 느껴지네요.
    눈부심
    p53에게 매우 감사한..
    레지엔
    p53은 사람에서도 발현도가 있는데 이걸 인위적으로 조절해서 적용할 방법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쌩으로 때려박아줘도 기능을 거의 못하고... 실제로 그런 개념의 약이 있긴 합니다만 임상적 적용은 거의 안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p53이 종양 전체에서는 아주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알지만 개별 암종을 볼 때 이거만 해결하면 다 되느냐, 그런 문제가 아니기도 하고요. 최근 연구의 트렌드는 p53의 종양 유전자 수복 매커니즘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나 단백질을 이용해서 개개인의 p53 발현도를 조절하는 쪽으로 맞춰진 듯 합니다만, 이것도 사실... 더 보기
    p53은 사람에서도 발현도가 있는데 이걸 인위적으로 조절해서 적용할 방법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쌩으로 때려박아줘도 기능을 거의 못하고... 실제로 그런 개념의 약이 있긴 합니다만 임상적 적용은 거의 안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p53이 종양 전체에서는 아주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알지만 개별 암종을 볼 때 이거만 해결하면 다 되느냐, 그런 문제가 아니기도 하고요. 최근 연구의 트렌드는 p53의 종양 유전자 수복 매커니즘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나 단백질을 이용해서 개개인의 p53 발현도를 조절하는 쪽으로 맞춰진 듯 합니다만, 이것도 사실 좀 임상까지 오기엔 거리가 좀 있습니다. 최근 종양학에 관련된 문제가 \'많이 알수록 많이 낫게 할 수 있다\'라는 고전적인 명제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이 증가하고 있는데, (약간은 다른 의미에서) p53과 같은 종양억제유전자쪽도 당초 생물학쪽에서 먼저 제시했던 청사진이 임상의학 적용이 여러 가지 이유에서 안되면서 매커니즘은 계속 밝혀지고 있는데 이걸로 뭐 해볼만한게 잘 안나온다는 그런 상황입니다. 연구가 더 쌓이면 더 나아질 수는 있겠지만...
    눈부심
    경건하게 귀세우고 듣고 있는..
    삼공파일
    오... 발상이 재밌네요. 크고 오래 사는 포유류라는 점과 암 유병율과의 관계를 생각해본다는 점이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 같네요. p53이 중요한 단백질이긴 한데 관련된 유전자들과 단백질들의 관계가 롯데 순환출자 구조만큼 복잡해서 p53이 많고 적고만으로 암 발생과 연관 짓기는 어렵겠지만요.
    눈부심
    [크고 오래 사는 포유류라는 점과 암 유병율과의 관계를 생각해본다는 점] 바로 이것 때문에 저도 이 기사가 흥미로왔어요.
    십장생을 연구해서 노벨상을!
    눈부심
    긋 아이디어!
    근데 원인만 알고 방법을 몰라서 탈락...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2 과학/기술설사병 이야기 12 모모스 15/10/23 12069 3
    1297 과학/기술쓰레기 유전자 ( Noncoding DNA ) 와 유전자 감식 22 모모스 15/10/20 14091 9
    1285 과학/기술우주팽창, 건포도빵, 풍선 12 눈부심 15/10/18 13784 0
    1259 과학/기술X 염색체 - 인간의 기본형은 여성? 13 모모스 15/10/15 15514 2
    1252 과학/기술각인 - 애들은 엄마, 아빠 누구 머리를 닮나? 11 모모스 15/10/14 24711 6
    1245 과학/기술일본원숭이랑 침팬지랑 BBC 다큐 #5 2 눈부심 15/10/13 10741 0
    1229 과학/기술새는? BBC 다큐 #4 12 눈부심 15/10/11 7805 1
    1228 과학/기술하마랑 물고기랑 BBC다큐 #3 7 눈부심 15/10/11 11808 1
    1225 과학/기술고래는? BBC다큐 #2 4 눈부심 15/10/11 8607 0
    1220 과학/기술하마랑 새랑 BBC 다큐#1 4 눈부심 15/10/10 7707 0
    1215 과학/기술불멸의 세포 15 모모스 15/10/09 12042 9
    1212 과학/기술쌩쥐우주비행사 톰 6 눈부심 15/10/09 7398 2
    1209 과학/기술코끼리는 왜 암에 잘 안 걸릴까 18 눈부심 15/10/09 11086 0
    1180 과학/기술중국의 푸른 쑥에서 찾아낸 말라리아 치료제 [청호소青蒿素] 12 삼공파일 15/10/06 12819 2
    1175 과학/기술기생충에 대한 또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8 모모스 15/10/05 11308 0
    1147 과학/기술섹스의 진화 10 모모스 15/10/01 15250 0
    1112 과학/기술파인만이 이야기하는 광합성작용 4 눈부심 15/09/28 7394 1
    1097 과학/기술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12 모모스 15/09/25 11013 1
    1088 과학/기술너무 어려운 질문 32 눈부심 15/09/24 9133 0
    1036 과학/기술지구는 둥글지 않다? 22 darwin4078 15/09/19 17618 0
    1024 과학/기술유전자조작식물 (GMO) 4 모모스 15/09/18 15882 0
    986 과학/기술줄초상 난 카자흐스탄의 사이가산양들 10 눈부심 15/09/14 7486 0
    966 과학/기술얇고 넓은 지식을 위한 글 - 유전알고리즘 30 Top 15/09/10 11236 2
    880 과학/기술올리버 색스 타계로 다시 읽어보는 [뮤지코필리아] 13 뤼야 15/09/01 8103 1
    543 과학/기술뉴호라이즌스호는 왜 파업을 했나?... 21 Neandertal 15/07/08 872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