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09 10:19:31 |
Name | 눈부심 |
Subject | 코끼리는 왜 암에 잘 안 걸릴까 |
코끼리는 인간보다 세포가 100배는 많아요. 그러면 세포가 나고 죽고 세포분열 할 일도 100배 많을 거예요. 세포가 새로 생성될 때 DNA카피를 잘 해야 해요. 카피에 문제가 생기면 암이 발생할 수 있거든요. 그런데 코끼리는 암으로 인한 사망율이 4.8%밖에 안 돼요. 인간은 11-25% 사이예요. 사자는 2%정도고요. 최근에 과학자들이 코끼리가 암에 잘 걸리지 않는 이유를 발견했어요. 세포가 분열되는 와중에 잘못될 여지를 방지하게 위해 유전 카피가 잘못되면 이를 고쳐주는 효소가 있어요. 이 효소는 잘못된 유전자만 고치고 수선하는 역할만 담당하고 있어요. 인간의 몸에 있는 효소는 한 종류의 효소가 천개의 유전적 에러를 고칠 수 있어요. Not so bad~ 바로 코끼리가 암에 잘 안 걸리는 이유는 종양억제 단백질인 p53이 많기 때문이었어요. 이 단백질은 바로 '게놈의 수호신'이라고 하는 단백질이래요. 이 단백질 종류가 인간에게는 딱 두 개밖에 없지만 코끼리에게는 38가지나 있답니다. 이 단백질이 코끼리 몸에서 유전변형이 일어나거나 '종양종양'스런 세포가 생기면 철벽으로 수비를 해서 혼을 내준다고 하네요. 코끼리들을 대상으로 암세포실험을 했을 때 (크게 해가 되지 않았다고 해요) 코끼리 몸에서는 손상된 세포가, 불어나서 희한한 세포를 양산하는 일이 없도록 그냥 자살을 해버리더래요. 코끼리가 암에 잘 안 걸리는 이유는 걔네 세포들이 이렇게 이타심이 뛰어나기 때문이었어요. 출처 : http://www.slate.com/blogs/wild_things/2015/10/08/why_elephants_don_t_get_cancer_extra_tumor_suppressors.html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p53은 사람에서도 발현도가 있는데 이걸 인위적으로 조절해서 적용할 방법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쌩으로 때려박아줘도 기능을 거의 못하고... 실제로 그런 개념의 약이 있긴 합니다만 임상적 적용은 거의 안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p53이 종양 전체에서는 아주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알지만 개별 암종을 볼 때 이거만 해결하면 다 되느냐, 그런 문제가 아니기도 하고요. 최근 연구의 트렌드는 p53의 종양 유전자 수복 매커니즘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나 단백질을 이용해서 개개인의 p53 발현도를 조절하는 쪽으로 맞춰진 듯 합니다만, 이것도 사실... 더 보기
p53은 사람에서도 발현도가 있는데 이걸 인위적으로 조절해서 적용할 방법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쌩으로 때려박아줘도 기능을 거의 못하고... 실제로 그런 개념의 약이 있긴 합니다만 임상적 적용은 거의 안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p53이 종양 전체에서는 아주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알지만 개별 암종을 볼 때 이거만 해결하면 다 되느냐, 그런 문제가 아니기도 하고요. 최근 연구의 트렌드는 p53의 종양 유전자 수복 매커니즘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나 단백질을 이용해서 개개인의 p53 발현도를 조절하는 쪽으로 맞춰진 듯 합니다만, 이것도 사실 좀 임상까지 오기엔 거리가 좀 있습니다. 최근 종양학에 관련된 문제가 \'많이 알수록 많이 낫게 할 수 있다\'라는 고전적인 명제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이 증가하고 있는데, (약간은 다른 의미에서) p53과 같은 종양억제유전자쪽도 당초 생물학쪽에서 먼저 제시했던 청사진이 임상의학 적용이 여러 가지 이유에서 안되면서 매커니즘은 계속 밝혀지고 있는데 이걸로 뭐 해볼만한게 잘 안나온다는 그런 상황입니다. 연구가 더 쌓이면 더 나아질 수는 있겠지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