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3/21 15:10:40
Name   Curic
Subject   '7년 전쟁'이 '1차 세계 대전'이다.
우연히 7년 전쟁은 왜 세계 대전으로 부르지 않는가라는 질문을 봤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7년 전쟁은 임진왜란이 아니라, 18세기 유럽으로부터 시작한 전쟁입니다.

본래 목적 자체도 그렇게 특별해 보이지 않습니다. 프러시아에 빼앗긴 슐레지엔 땅을 오스트리아가 되찾기위한 전쟁인데요.

저는 '7년 전쟁'이란 단어를 읽자마자 임진왜란이 떠오를 만큼, 유럽에서의 7년 전쟁(1754/1756~1763)은 별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더 흥미로운 점은 생각보다 유럽 및 미국에서도 7년 전쟁을 정규 교육 과정에서 상세히 가르치지 않고, 그에 비해 이 전쟁으로 인한 파급력은 우리가 1, 2차 세계 대전이라고 부르는 것보다 훨씬 큽니다.

[만일 이 전쟁이 없었다면, 미국이 지금의 미국과는 다르거나 건국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 프랑스의 지위와 파급력이 완전히 다를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는 뒤이어 나올 전쟁들과 우리가 부르는 1, 2차 세계 대전의 양상은 완전히 다를 것이며, 식민지의 소유권들도 완전히 다를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5wq_k1p2EQ
The Seven Years' War : Every day


그리고 반대로 보면, 7년 전쟁을 이해하지 않으면 그 이후의 전쟁과 각국의 미묘한 세계관 변화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 하게 됩니다.
이 전쟁이 없었다면, 패배한 프랑스 속에서 자연스레 프랑스 혁명으로 이어지고, 나폴레옹, 히틀러 등과 같은 순서도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편으론, 이 전쟁이 없어서 승리한 영국이 전쟁에서 부담한 비용을 메우기 위해 아메리카에 세금 부담을 높이지 않았다면, 보스턴 차 사건 같은 전개도 역시 없었을 겁니다. 미국이 건국되지 않았다면, 공화국이라는 개념이 전파될 가능성은 사라지는 거고요.

전쟁에 참여한 모든 국가도 굉장한 자원 소비와 힘의 재편이 이뤄졌기 때문에, 세계 역사 전체가 또 많이 바뀔 것입니다.

무관할 것 같은 인도에서도, 이를 계기로 프랑스 식민지가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소멸 당합니다. 아시아의 식민 지배 양상도 완전히 바뀌게 된거죠.
스페인의 소유였던 쿠바와 필리핀도 영국으로 넘어가게 되고요.

이 전쟁의 종료 이후, 영국의 영향력은 역사상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만큼 거대하고 빨라지는데, 분명 산업혁명이 이 이후 영국에서 시작된 것 역시 몹시 유관합니다.

러시아는 이 때 얻은 것은 적으나, 훗날 영토를 서방으로 확장하는 데에 이 전쟁에서의 경험이 결정적이었을겁니다.
러시아가 본격적으로 서방으로 진출하는 시점도 모두 이 전쟁 이후입니다. 덜 추운 땅을 한 번이라도 맛 본 이상, 탐나지 않을 수 없지요.

프랑스와 건국된 미국의 초기 시점에서의 친밀감 역시, 프랑스가 잃은 아메리카 영토와 유관한 연결점이 있지요.

또한, 정말 무관해 보이는 중국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 전쟁 이후 인도 전역이 점차 영국의 소유(인도산 아편의 영국 판매는 1781년부터)가 되면서, 1800년대 초기부터 이미 중국으로의 대량 아편 수출이 이뤄집니다. 실제로 역사적으로 1800년 정도(중국의 아편 수입량 : 1650-50톤, 1775-75톤, 1800-200톤, 1835-1390톤, 1839-2553톤, 1863-4232톤) 를 기점으로 청나라는 썩어들어갑니다.

이후 일본또한 아편의 물든 중국을 직접 보게되고는 일본의 중국에 대한 입장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심지어, 홍차도 유관합니다. 보스턴 차 사건 이후, 영국은 충격을 받고 차와 관련한 세법을 개정하고서 차의 가격이 떨어지자 차의 판매량이 3배 가량 급증합니다. (이 전쟁이 없었다면, 홍차넷이 아닌 커피넷이 되었을수도....) 더불어서 홍차와 유관한 도자기(찻잔)도 수요가 많아지자, 1791년에 동인도회사는 중국으로부터의 도자기 수입을 마치고 직접 도자기를 생산하기에 이릅니다.

이 전쟁을 세계 대전이라고 칭하자는 입장과 함께, 나폴레옹 전쟁도 세계 대전이 아닌가라는 입장이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한 아시아의 파급력은 이 7년 전쟁에 비해서는 작다는 점에서 나폴레옹 전쟁을 세계 대전으로 칭할 수 있는가에 대해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3


    이그나티우스
    1, 2차 세계대전은 국제정세에 있어서의 파급력만이 아니라 국가의 모든 자원을 총동원한 총력전이라는 데서 이전의 전쟁들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는 세계대전은 7년전쟁 보다는 미국 남북전쟁과 더 닮았죠.
    4
    총력전이라는 관점에서는 그렇기는 하겠는데, '세계'라는 점에서는 7년 전쟁이 들어가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후 수십년~영구적으로 그 영향이 '세계'로 파급된다는 점도 그렇고요.
    여우아빠
    말씀하신 바도 일리는 있으나 misnomer들도 그냥 오래되면 그냥 쓰는것인지라... 바뀌지는 않겠죠 ㅎㅎ 역사엔 어두워서 7년 전쟁은 이걸로 알았네요.
    알료사
    저는 625가 3차 대전이라고 주장한다능.. ㅋ
    전쟁 규모로 보면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은 체급차가 조금 있는 편이지만, 당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온 걸로는 1차 세계대전 이상 가는 사건이 없습니다. 괜히 The Great War가 아니라는... 당시 보불전쟁(1870) 이후 1914년까지 유럽은 약 50년간의 평화를 맞이했고, 심지어 그 보불전쟁도 양측의 전면전으로 가기보다는 비교적 빠르게 끝났죠. 나폴레옹 몰락 이후로 빈 체제가 성립된 이후 잠깐의 보오전쟁, 보불전쟁을 제외하면 유럽에 거의 1세기 가량 전쟁이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더 이상 전쟁에 수반되는 비용이 전쟁으... 더 보기
    전쟁 규모로 보면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은 체급차가 조금 있는 편이지만, 당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온 걸로는 1차 세계대전 이상 가는 사건이 없습니다. 괜히 The Great War가 아니라는... 당시 보불전쟁(1870) 이후 1914년까지 유럽은 약 50년간의 평화를 맞이했고, 심지어 그 보불전쟁도 양측의 전면전으로 가기보다는 비교적 빠르게 끝났죠. 나폴레옹 몰락 이후로 빈 체제가 성립된 이후 잠깐의 보오전쟁, 보불전쟁을 제외하면 유럽에 거의 1세기 가량 전쟁이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더 이상 전쟁에 수반되는 비용이 전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초과하기 때문에 전쟁은 일어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고, 당시의 민족주의가 더 이상 무의미하고 이제 계급의 시대다라고 보는 지식인들도 많았죠. 그런 모두의 예상을 깨고 사라예보 사건 이후 순식간에 모든 국가가 전면적으로 총력전 상황으로 접어들며 전 인구가 민족주의 기치 아래 1킬로미터를 전진하기 위해 1만명씩 꼴아박는 사건이 당대 지식인들의 사고방식에 얼마나 큰 충격이었을 지 생각해보면 7년전쟁은 WW1의 아성을 위협하기 어렵습니다.
    3
    WW1, WW2는 많은 점에서 최상위 기득권이 부의 질서를 재편하고, 새로운 괴뢰국들을 정당하게 세우기위해 고도로 계획된 전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로스차일드 및 미국과 관련해서 말이지요.
    전쟁에서의 사생활과 같은 잘 다뤄지진 않지만 흥미로운 주제네요.
    듣보잡
    7년 전쟁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읍니다만 그렇다해도 결국 유럽 열강 전쟁을 넘는 세계 대전으로 규정하기는 무리 아닐까요?
    7년 전쟁이 세계대전으로서 평가될 때의 장점은 WW1의 전개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도 있습니다. 또한,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형세또한 그렇고요.

    7년 전쟁에서는 프랑스와 스페인을 무대의 주인공에서 완전하게 밀어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만일 7년 전쟁이 없었다면, 아메리카와 남아시아에서 그들간의 훨씬 소모적인 전개가 있을 것이고 동아시아를 비롯한 이외의 지역과의 접촉이 훨씬 지연될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아주 모르는 분야이긴 하지만, 아메리카와 남아시아에서 추가적인 지연은 중앙아시아와 중동의 형세가 더... 더 보기
    7년 전쟁이 세계대전으로서 평가될 때의 장점은 WW1의 전개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도 있습니다. 또한,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형세또한 그렇고요.

    7년 전쟁에서는 프랑스와 스페인을 무대의 주인공에서 완전하게 밀어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만일 7년 전쟁이 없었다면, 아메리카와 남아시아에서 그들간의 훨씬 소모적인 전개가 있을 것이고 동아시아를 비롯한 이외의 지역과의 접촉이 훨씬 지연될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아주 모르는 분야이긴 하지만, 아메리카와 남아시아에서 추가적인 지연은 중앙아시아와 중동의 형세가 더 굳건해지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것이고요.

    구대륙과 신대륙 모두를 포함해서 동시다발적으로 전쟁이 세계의 미래 운명을 새롭게 만든 계기로서는, 7년 전쟁이 첫번째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1, 2차 세계대전을 명명한 방법도 명징한 합의가 있어서기 보다는, 전쟁 직후 역사가들의 체감적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18세기 후반의 상황으로서는 인도, 북미, 중국 등의 양상이 별로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겁니다. 특히나 유럽 대륙에서는 그 치열함에 비해서 변화가 몹시 작았습니다. 그러니 당시 유럽 역사가들이 유럽만 주로 보면 세계대전 급이 아니라고 생각하겠지요.

    그러나 21세기인 지금에와서 돌이켜보면, 세계 전체 범위에서 중대한 전환점이지요.

    그리고 이런 인식의 전환은, 과거의 유럽인의 시각으로 규정한 역사관에 의존하지 말고, 아시아인으로서 능동적인 역사관을 만드는데에 목소리를 높여야 할 것입니다.

    한국만해도 유럽의 기독교 종교혁명과 진행과 양상 및 박해 등은 배워도, 정작 아시아에서 결정적인 불교의 변화양상이나 박해 등은 배우지도 않고 중요하게 여기는 역사가도 찾아보기 힘들잖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60 역사(펌)폐지 줍는 독립운동가 아들 굴뚝새 23/01/05 2234 2
    13458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4 메존일각 23/01/04 3056 15
    13112 역사홍콩의 기묘한 도로명의 유래 10 아침커피 22/08/27 4393 34
    13037 역사조위에서 조조가 그렇게까지 잘못했나(feat.사마의) 14 OneV 22/07/31 4049 0
    12777 역사3.1 운동 직전 조선군사령관에게 밀고한 민족대표? 2 라싸 22/05/04 3372 3
    12584 역사삼국지를 다시 읽으면서... 4 로냐프 22/03/06 3988 0
    12507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2) 곡사포의 등장 11 요일3장18절 22/02/10 6138 13
    12477 역사왜 '민주정'이라고 하지 않고 '민주주의'라고 하나? 26 매뉴물있뉴 22/01/29 4918 0
    12471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1) 자주포 이전의 대포 14 요일3장18절 22/01/26 4696 9
    12373 역사UN군이 실제로 파병된적은 얼마나 있었을까? 6 Leeka 21/12/22 4215 1
    12090 역사뉴질랜드와 핵실험, 거짓말쟁이 프랑스. 4 코리몬테아스 21/09/18 4601 15
    12019 역사과거를 도려낸 나라의 주민이 사는 법. 15 joel 21/08/27 4527 24
    12007 역사서양 사학자 평가한 촉한 12 히하홓 21/08/24 4988 2
    11830 역사왜 작은 어머니를 숙모라고 부를까. 19 마카오톡 21/06/30 9503 20
    11794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완- 4 마카오톡 21/06/17 5379 5
    11788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중편- 4 마카오톡 21/06/15 4547 13
    11780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상편- 3 마카오톡 21/06/14 4310 14
    11775 역사평생을 가난하게 살다가 70살에 재상이 된 남자. 백리해. 17 마카오톡 21/06/10 5635 31
    11768 역사왕안석의 신법이 실패한 이유. 6 마카오톡 21/06/08 5060 17
    11718 역사(3)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2막 (완) 4 매뉴물있뉴 21/05/24 4080 3
    11706 역사(2)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1막-2 매뉴물있뉴 21/05/21 4357 3
    11702 역사(1)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1막-1 2 매뉴물있뉴 21/05/21 3724 3
    11699 역사(0) 뮤지컬 해밀턴, 그 가장 첫 시작 5 매뉴물있뉴 21/05/20 4322 2
    11537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6665 10
    11517 역사새뮤얼 피프스, 왕비의 미라에 입을 맞추다 2 엘에스디 21/03/24 4928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