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3/14 16:30:18수정됨
Name   알료사
File #1   비열한거리.png (1.26 MB), Download : 24
Subject   (망상) 남자들이 빨리 죽는 이유와 유리천장


전프로들이 여BJ들에게 스타를 가르칠 때 거의 예외없이 나타나는 반응이 있습니다.

대회때는 뭔가 무난한 정석 대신 승부수를 띄우는 전략을 많이 준비해 주는데 항상 [그러다 막히면 어떡해?]라는 질문이 백이면 백 돌아옵니다. 이걸 처음 보는 전프로들이나 남자 시청자들은 좀  어이가 없어요. 뭘 어떡해 그냥 지는거지. 그러다가 점점 이런 성향에 익숙해지면 좀더 상냥하게 이런 도박수가 왜 필요한지 어떤 효율이 있는지 차근차근 설명해주게 되고.. 이걸 잘하는 스승들은 좋은 강사로 소문나서 수강생들이 끊이지 않게 됩니다.. ㅋ 답답해서 못 참는 스승들은 여캠이라면 학을 떼게 되고.. ㅋ

주식에서 남성 평균 수익율이 처참한 이유도 이거겠죠. 뭔가 잘못될 가능성을 도무지 고려하지를 않아요ㅋㅋㅋㅋㅋ 고려한다 해도  까짓거 한번 사는 인생 쪽박차면 어쩔수 없는거지 한방 노려보는거지 마인드.. ㅋ오로지 한강입수 or 한강뷰 가즈아 입니다ㅋㅋ 유튜브에<남자들이 수명이 짧은 이유>로 올라오는 수많은 뜨악한 영상들도 같은 맥락일 테고.. ㅋ

저는 개인적으로 주식에서는 일반인에게  도박같은 투기를 삼가하라는 금언이 널리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어느 분야든 천상계는 존재하고 주식판에도 위험한 승부에 강한 사람들이 소수 있긴 있어요.  

물론 그들의 승부가 디시주갤에 널려있는 가즈아 일동들과 같지는 않지만 확실한건 안전한 범생이식 투자를 뛰어넘는 세계는 존재한다는것.

스타 초보자들이 처음 배울때 쉽게 이겨먹으려고 날빌을 쓰다가 점점 실력이 늘면서 정석을 갈고 닦고, 그러다가 그 정석의 정점에 오른 자들끼리 경쟁하게 되면 다시 날빌을 쓰게 되듯이..  하지만 스타리그 결승에서 이제동이 쓰는 5드론은 래더D가 쓰는 5드론과는 차원이 다르게 되는 것처럼.


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서, 인류가 다른 포식자 동물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도 결국 시부레 안되면 죽기밖에 더하겠어 하고 질러버린 답 없는 수컷들의 메타가 주도할 수밖에 없었던거 아닌가..  딱히 그들이 잘났다는게 아니라 100명이 뒈지고 1명이 살아남으면 그 1명의 생존자가 씨를 퍼뜨리고 피라미드에 정점에 설수밖에 없는거니까..  메타 자체는 1% 생존율이라 그지같아도 거기에서 살아남은 자는 안전빵메타의 생존자들을 압도할 수밖에 없으니까..  동물들간의 포식자 경쟁에서 승리한 인류가 <이제부터 서로가 서로를 죽여라>시대로 접어들고 나서도, 언제나 그 시대를 주도하는 메타는 여전했을 것이고..


이제 여기서 개인적인 무리수를 던져 보자면,


여성들을 억압하는 '유리천장'도 약간은 앞서 거론한 극단으로 정 반대되는 성향과 연관되는 면이 있지 않은가..

기업들간의 경쟁은 거의 총 안쓰는 전쟁이나 마찬가지고 정말 중요한 순간에는 승부수를 띄워야 할 때가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사람은 결국 아 시발 안되면 죽는거지 메타에서 살아남은 1%를 원하게 될수밖에 없지 않은가..  래더D의 5드론과는 무언가 다른 5드론을 터득한 사람이지 않은가..

그 살아남은 1%를 걸러내기 위해서는 조직원들이 피래미 시절일 때부터 갈아넣어서 죽는 99% 버리고 남는 놈들 데려가는거고.. 여기에 기꺼이 나 갈려나가겠소, 하고 나서는 바보들이 확률적으로는 여성보다 남성쪽에 많지 않은가..  싶은 망상에까지 이르게 되었읍니다ㅋㅋㅋ


어제 '비열한 거리'라는 영화를 봤어요. 영화 자체는 재미 없었는데 약간 오늘의 망상을 촉발시킨 장면이 하나 있었어요ㅋ


조직의 두목인 황회장이 조직 운영에 방해가 되는 검사 하나를 담그고 싶어서 오른팔인 중간보스 상철에게 너가 좀 해주면 안되겠냐 하고 제안해 봅니다. 상철은 어떻게 검사를 담그냐고 그러다가 잘못되면 조직 작살난다고 손사래를 치면서 사양해요. [그러다 막히면 어떡해]였던 거죠. 위험한 일인건 사실이라 황회장도 더는 못 권하고 끙끙 앓고 있는데 상철의 부하인 조인성이 내가 하겠다고 나서서 해치웁니다.

황회장 입장에선 상철이 나서든 조인성이 나서든 일 잘되면 과일은 내가 먹고 잘못되면 나선 놈 꼬리자르면 되니까 개꿀이죠. 조인성은 위험한 일 성공시켜서 황회장이 주는 뽀지 주워먹고 직속상사였던 상철도 제끼니까 당장은 좋아라 하지만 그렇게 좋다고 위험한 일 계속 떠맡다가 언젠가 한번은 반드시 찾아올 삑사리 나는 날 뒈지는거고..

기업 운영이 이런 삼류영화 건달패처럼 돌아간다 하면 개 에바 삼진 에바겠지만 어느정도 유사한 요소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리스크 있는 역할에 총대 매고 나서줄 호구새기가 필요한데 그 호구짓에 헬렐레 달려들 바보들은 상대적으로 남자 쪽에 많지 않을까..  


물론 당연히 유리천장이라는 것은 여러가지 잘못된 관행과 후진적인 인식에서 비롯된 면이 훨씬 더 많다는걸 전제로 하는 망상입니다. 저의 <사상검증>은 평소의 탐라글 등으로 충분히 완료되어 왔다고 나름 믿고 있어서 제가 이런 얘기로 유리천장을 정당화시키는거라는 오해는 생기지 않을것 같아 안심하고 배설합니다.



7
  • 춫천


불타는밀밭
비열한 거리는 조인성이 아무리 연기를 잘해도 깡패 똘마니 같은 외모가 아니라서 끝까지 이상했다는 점만 빼고 명작이었던 거 같습니다. 감독도 신경쓰였는지 중간에 황 회장이 대사를 치긴 하던데.
1
주식하는 제로스
알파메일이 아니면 자손을 못남기는게 자연의 수컷들이니까요.
엘에스디
그건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가장 가까운 친젹인 침팬지의 성적 결합 형태가 상당히 다양한 것을 보면 알파메일에게 몰리지 않을 가능성도
2
주식하는 제로스
인간 남성만 얘기하는 건 아니고.. 왜 그 유명한 짤도 있지 않습니까. 수컷의 90%는 짝짓기한번 못해보고 죽는다고 ㅜㅜ
GME 가즈아ㅏㅏㅏㅏㅏ
요일3장18절
꼭 리스크를 감수할 사람을 찾는 것 뿐만 아니라, 치열한 현장 속에서 나의 등 뒤를 맡아줄 사람이 필요하죠.

그런 사람은 휴일이건 저녁이건 나와라 하면 군말 없이 나오고 나와같이 죽음의 문턱을 넘을 때도 같이갈 수 있는 사람을 원하는...

오랜시간동안 형성된 남성향 조직문화에서 비롯된 인식도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런 현상을 없애려면 조직문화, 나아가 비즈니스 환경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할 것 같아요.

같이 피 땀 눈물을 나누며 전쟁터를 누비는 전우같은 관계가 아니라 기업 의사결정 단계부터 예측과 전략... 더 보기
꼭 리스크를 감수할 사람을 찾는 것 뿐만 아니라, 치열한 현장 속에서 나의 등 뒤를 맡아줄 사람이 필요하죠.

그런 사람은 휴일이건 저녁이건 나와라 하면 군말 없이 나오고 나와같이 죽음의 문턱을 넘을 때도 같이갈 수 있는 사람을 원하는...

오랜시간동안 형성된 남성향 조직문화에서 비롯된 인식도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런 현상을 없애려면 조직문화, 나아가 비즈니스 환경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할 것 같아요.

같이 피 땀 눈물을 나누며 전쟁터를 누비는 전우같은 관계가 아니라 기업 의사결정 단계부터 예측과 전략에 기반한 계획을 세우고 그에 맞게 일하고 성과를 받는 구조가 되어야 할거에요.

그런데 그렇게 하면 지금 높은 자리에 있는 그런 전쟁터 용사같은 사람들 우수수 잘려야해서 안될듯요
2
그저그런
그런데 말씀대로라면 예측과 전략에 기반한 계획을 세우는것 보단 피땀흘리는 전우들이 더 높은 성과를 낸거라 생각할 수도 닜지 않나요?
비즈니스 패러다임은 결국은 성과를 높게 내는쪽으로 쏠릴거라 생각 되어서요.
1
요일3장18절
그러니까, 성과를 낼 때 (목표 100% 달성이 어렵다고 보고)

A. 200%의 헌신을 요구해서 90%의 성과를 내는 집단과
B. 100%의 헌신을 요구해서 90%의 성과를 내는 집단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달려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A집단의 성과가 92%이고 B집단의 성과가 90% 일경우,
(이 시발 좀더 빡세게 하면 더 성과가 날텐데, 애사심이 없어 노오력을 안해 )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을테고 말이죠..
그저그런
효율은 그렇게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A가 92고, B가 90이면 A가 잘한거죠. 그 2%에 의해서 고객의 선택이 갈릴 수도 있다면 더더욱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면 투입은 중요한 고려사항은 아닐것 같습니다. 뭔가 회사가 왜이렇게 저를 갈아대는지 알것같은 기분이네요. ㅎㅎ
2
사이시옷
아우 너무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조지 포먼
만약 비열한 거리를 여성 배우들로 구성한다면은 그림이 안나온다는 ㅋㅋ
파란아게하
인생 자체가 도박인 거 같아용
그냥 '온전한 사람' 취급을 안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남자들이 더 충동적이고, 리스크를 취할 성향이 높고...또한 기대 목표치도 더 높은 것은 사실인것 같습니다..
그런 경우에, 당연히 평균분포의 꼬리는 남자쪽이 길테니, 극단적 성공자와 실패자의 분포도 여성보다 더 높을 듯 하고요.. 그러므로, 유리천장에 대비되는 최상위 성공자의 비율은 남자쪽이 더 높을수 있다는게 맞을듯 합니다.

다만, 평균값도 더 높으냐는 결국 리스크대비 수익률인데.. 위의 영화 예시에서 나왔듯이 대부분 가진것 별로 없을 때, 즉 리스크 대비 수익률이 높은 위치의 사람들이 더 리스크를 지고, 일단 어느정도... 더 보기
남자들이 더 충동적이고, 리스크를 취할 성향이 높고...또한 기대 목표치도 더 높은 것은 사실인것 같습니다..
그런 경우에, 당연히 평균분포의 꼬리는 남자쪽이 길테니, 극단적 성공자와 실패자의 분포도 여성보다 더 높을 듯 하고요.. 그러므로, 유리천장에 대비되는 최상위 성공자의 비율은 남자쪽이 더 높을수 있다는게 맞을듯 합니다.

다만, 평균값도 더 높으냐는 결국 리스크대비 수익률인데.. 위의 영화 예시에서 나왔듯이 대부분 가진것 별로 없을 때, 즉 리스크 대비 수익률이 높은 위치의 사람들이 더 리스크를 지고, 일단 어느정도 가진게 많은 위치에 올라가면 리스크를 덜 지는 성향(왜냐하면 리스크대비 수익률이 낮아져 있음)을 유지하기 때문에, 결국 사람들의 태도는 risk parity한 태도를 취한다고 보입니다. risk parity는 장기수익률이 좋은 편이기 때문에 장기 수익도 괜찮은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런관점에서 보면, 여성들이 덜 risk를 지는 이유는, 그게 여성의 내재 성향이라서가 아니라 혹시 남자보다 risk대비 얻는게 더 적거나 risk가 남자보다 더 커서 그런걸 수도 있다고 보입니다.
불타는밀밭
https://sootabucks.tistory.com/3289 이런 이야기도 있으니 그저 성향 차이일수도...
링크의 주식에서의 여성 리스크성향이 낮은 것은... 그냥 리스크 성향이 남자보다 낮다는 걸 의미하지.. 그게 내재적 특징인지 혹은 이성적 판단인지는 알수 없다고 보입니다. 예를 들어, 여자들이 바닥으로 떨어졌을때의 손실이 더 크다면 리스크를 덜 지는건 이성적 판단이지, 내재적 성향은 아니라고도 볼수 있거든요.. 링크에 나왔있는 나이들수록 노인들이 리스크를 덜 지는건, 나이들수록 손실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인지.. 나이들수록 내재된 리스크성향이 낮아지는건 아니라고 보이듯이요..
알료사
음.. 육아 같은 걸 보면.. 리스크를 덜 져야 리턴이 크지 않을까 생각은 합니다. 남자가 기르면 애랑 놀다가 다치는 경우 많을듯 해서.. 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17 일상/생각20대가 386의 글을 보고 386들에게 고함(2) 27 가람 21/04/26 7127 15
11614 일상/생각20대가 386의 글을 보고 386들에게 고함(1) 21 가람 21/04/26 5830 25
11610 일상/생각출발일 72시간 이내 - 샌프란시스코 공항의 사태 23 소요 21/04/25 4779 12
11607 일상/생각오늘 정말 날씨가 좋네요 2 필교 21/04/24 4455 1
11604 일상/생각채식에 대한 단상 16 일상생활가능 21/04/22 6306 20
11590 일상/생각연결감에 대하여 6 오쇼 라즈니쉬 21/04/18 5225 5
11581 일상/생각1년간 펜을 놓은 이유, 지금 펜을 다시 잡은 이유. 9 Jaceyoung 21/04/14 5044 28
11576 일상/생각힘든 청춘들, 서로 사랑하기를 응원합니다. 28 귀차니스트 21/04/13 6681 3
11564 일상/생각홍차넷의 한 분께 감사드립니다. 3 순수한글닉 21/04/08 6106 23
11561 일상/생각☆★ 제 1회 홍차넷배 몬생긴 고양이 사진전 ★☆ 41 사이시옷 21/04/08 6062 23
11558 일상/생각XXX여도 괜찮아. 8 moqq 21/04/07 4392 5
11547 일상/생각공짜 드립 커피 3 아침커피 21/04/04 4952 13
11542 일상/생각1-20년간 한업무만 해왔는데, 새 업무를 준다면.. 19 Picard 21/04/02 5482 2
11532 일상/생각노후경유차 조기폐차.. 6 윤지호 21/03/30 4806 1
11531 일상/생각스트레스 때문에 몸이 아프다는 것 11 right 21/03/29 5226 1
11529 일상/생각200만원으로 완성한 원룸 셀프인테리어 후기. 29 유키노처럼 21/03/28 6060 46
11521 일상/생각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4 늘쩡 21/03/25 5101 18
11499 일상/생각요즘 생각하는 듀금.. 내지는 뒤짐. 16 켈로그김 21/03/17 4972 16
11493 일상/생각그냥 회사가 후져요. 11 Picard 21/03/15 5573 2
11492 일상/생각대학원생으로서의 나, 현대의 사제로서의 나 5 샨르우르파 21/03/15 4795 15
11491 일상/생각(망상) 남자들이 빨리 죽는 이유와 유리천장 17 알료사 21/03/14 6243 7
11486 일상/생각제조업(일부)에서의 여성차별 68 Picard 21/03/12 7138 9
11482 일상/생각김치볶음밥을 먹으면서 3 조지아1 21/03/11 4322 9
11480 일상/생각회사 교육.. 팀장급 교육과 팀원급 교육의 차이점.. 6 Picard 21/03/10 5185 2
11472 일상/생각우렁각시 12 아침커피 21/03/07 4910 1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