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6 12:04:45
Name   지와타네호
File #1   캡처.PNG (248.3 KB), Download : 34
Subject   공무원들의 월급은 얼마나 될까?


요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공무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고, 사기업에서 이직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걸로

압니다. 그런데 이직에 제일 중요한 정보가 월급인데도

가끔씩 공무원 급여명세서가 올라오면

"왜 XX수당은 빼놓냐? 밑장빼기냐? 적게받는척 하네"

"한달에 초과근무 수당 50만원을 받는 사람이 몇명이나 된다고 최대액으로 계산하는게 말이 되냐?"

등등 말이 많아서 혹시나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대략적으로 계산해보았습니다.

그냥 띡 계산한것만 올릴라다가 많은 태클이 예상되어... 간단히 설명드리겠읍니다.

1년차 기준으로 계산하였고, 세금이나, 건강보험, 연금기여금 등은 명절상여금, 성과급을 뺀 순수 월급액으로만 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실제 실수령액은 계산보다 적을 확률이 매우 크지만 이것저것 해봐야 -30만원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성과급은 어차피 다 1년차니까 B등급 받았다고 가정하고 계산했는데... 기관마다 성과급 금액이 조금씩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9, 7, 6급은 동사무소에서 민원 보시는 분들로 가정하고 민원수당으로 계산했고,

교사는 보통 담임이 많기 때문에 담임수당 넣어서 계산했습니다. 비담임의 경우는 담임수당만 빼주시면 되세요.

6급 1호봉은 채용도 안하는데 왜넣었냐고 하시면 보통 교사가 7급 대우라는 말이 많아서 처음에는 9, 7급, 교사까지 산정한건데

7급보다 훨씬 많아서 한번 계산해보았습니다. 근데 계산해보니 급여로는 교사가 5~6급 사이라고 보는게 더 맞는것

같아요. 5급부터는 성과연봉제라서 정확한 계산이 불가능하나 5급보다 많지는 않을거에요.

그리고 이 계산은 초과근무고 뭐고 정말 숨만쉬고 살았을때고, 개인별로 초과근무를 얼마나 했느냐에 따라

금액이 차이날수 있습니다. 초과근무를 매월 풀로 찍으면 1년에 500~600만원 정도 추가가 될거에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지와타네호님의 최근 게시물


    지와타네호
    참고로 최저임금으로 하루 8시간 근무시 월급은 179만 5천원입니다~
    사나남편
    님 세금이 아니라 고용주가 국가라 재원이 세금일 뿐입니다. 저사람은 자기가 일한 댓가를 받는거죠.
    지와타네호
    하도 내 세금으로 월급받는다~가 많아서 드립으로 쓴건데 수정하겠습니다.
    7급공채로 들어와서 십년쯤 지났고 현재 6급인데, 통장에 실제 꽂히는 게 월 300~310쯤 됩니다. 물론 명절이나 정근수당 붙으면 달라지구요.
    1
    존보글
    명세서 까이는군요 ㅠㅠ
    기본급이 낮고 수당이 많이 붙는 회사도 있고
    기본급이 높고 수당같은게 거의 없는 회사도 있어서
    자기가 다니는 회사라서 잘 아는거 아니면 월급 이야기는
    반쯤 걸러들어야겠더라구요
    지와타네호
    넵 맞습니다. 특히 공뭔은 본봉말고 별 잡다한 수당이 많아서 잘 모르면 어느정도 되는지 가늠을 못하실거에요.
    rustysaber
    저래서 어떤 직업이건 1년 원천징수로 까서 판단하는게 가장 정확하다고 봅니다.
    사나남편
    그렇다고 하기에는 근무시간에따라 천차만별이라 시급으로 까는게 맞지 않을까요
    rustysaber
    이게 국가단위로 통계를 낼 때 기준이 되는 것이 세전 1년 원천징수라서요.
    지니계수 5분위 분배, 이런 것도 전부 기준이 보면 1년 단위 원천징수일 겁니다.
    4대보험도 저걸 기준으로 하고 있어요
    시간단위로 하면 하루에 1시간 일하고 20,000원 받는 사람이 최저임금으로 8,590원으로 209시간(8시간 만근)이랑 비교하면, 아무래도 차이가 있으니까요.(쬐까 극단적인 예시를 들었습니다.)
    사나남편
    국가단위일때야 평준화시키기려고 하는거고 같은국가내에서 다이다이 뜰때는 시급이 더 정확하죠. 난 연봉이 1억이야 하지만 1주일에 80시간 일해랑 난 연봉이 5천이야 하지만 1주일에 35시간 일해...이럼 뭐 누가 급여가 더 쌜까요? 라고 하면 후자가 아닌가 싶어요.
    rustysaber
    이러면 가용시간에서 노동과 여가의 분배까지 가버리는지라 ㅠㅠ 저도 물론 후자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통계같은 곳에서는 워라벨을 중시하지 않으니까요. 저는 워라벨 짱짱 만세파라 사나남편님이 걸어주신 조건에서라면 당연히 후자입니다.
    Brown&Cony
    근데 직장인 기준으로 보면..대개는 연봉이 1억인사람이 1주일에 80시간 일하지 않는경우가 많기도 하거니와
    1주일에 35시간 일해서 5천받는 사람이 7-80시간 일하겠다고 하고 일해도 똑같이 연봉 5천 + 추가근무수당 정보 받지 1억 받지는 않는.....

    그래서 보통은 많이 일하고 많이받고싶어하는사람이 꽤 많을것 같습니다.
    왜냐면 적게받는사람이 근무시간만 늘린다고 많이 벌 확률은 0에 수렴하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는 것일 뿐...
    1
    대부분의 대기업 회사나 공기업에서 공무원처럼 성과급/특별보너스/수당 등 빼고 각종 퇴직연금공제 등 다 빼고 본봉 실수령으로만 얘기하면 실제로는 연봉의 60% 내외 정도로 축소되는게 보통입니다.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 더 보기
    대부분의 대기업 회사나 공기업에서 공무원처럼 성과급/특별보너스/수당 등 빼고 각종 퇴직연금공제 등 다 빼고 본봉 실수령으로만 얘기하면 실제로는 연봉의 60% 내외 정도로 축소되는게 보통입니다.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이더라고요.
    여론을 의식해서 줄여서 말하려고 하는 느낌인데, 공기업들은 모두 평균 연봉 공개가 되어 잇으니, 불필요한 오해 사지 말고 직급별 평균 연봉을 공개하든 부처별 전체 평균을 공개하든 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구청 내에서 대출 업무를 하고 있어서, 공무원들 원천징수 영수증을 하루에도 수 장 씩 받는데요. 작성하신 금액과 제가 체감하는 '1년 총 급여'는 차이가 꽤 많은 것 같은 느낌입니다. 요새 업무 하면서 와 공무원들 급여도 꽤 늘었네??? 라고 생각할 때가 꽤 많습니다. 아무래도 호봉에 따라 연봉이나 수당이 꽤 차이가 나나 보네요.
    저희 회사도 신입 영끌 원천징수 6xxx 찍히는데, 평달 실수령은 200정도 잡힙니다...... 대부분의 경우 연봉 비교시에는 영끌 소득으로 잡는 게 합리적이다 싶네요.
    지와타네호
    그분들은 호봉이 높으셔서 그럴거에요. 오히려 저 계산식이 비과세 수당까지 잡히고, 성과상여금 역시 1년차 돈이 2년차에 나온는걸 합산을 해놨으니 1년차 원천징수영수증 떼면 저거보단 확실히 적을 확률이 더 높아요. 그리고 1년차에는 공무원 특성상(수당이 뭐 있는게 없음) 더이상 영끌할건 없고... 한 5년 넘어가면서 추가되는 수당이 있어서 금액이 좀 오를순 있겠네용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986 IT/컴퓨터공간컴퓨팅 체험하기(?) 5 큐리스 23/06/16 3272 0
    4527 과학/기술공감 파우더, 미신적인 논쟁과 원격치료 2 ORIFixation 17/01/03 5148 4
    14696 게임공격, 수비, 죽음을 중심으로 살펴본 게임 속 두려움의 활용 kaestro 24/05/21 1611 2
    11098 정치공격적 현실주의자 Stephen M. Walt 교수가 바이든을 공개 지지하다. 6 열린음악회 20/10/29 4572 11
    7610 IT/컴퓨터공공기관 전산실 직원은 무엇을 하는가 20 revofpla 18/06/01 5357 2
    9696 사회공공기관 호봉제 폐지(직무급제 도입)에 대하여 7 s.v.p. 19/09/23 7945 2
    11869 일상/생각공교육+온라인 강의? 32 moqq 21/07/11 5342 1
    13549 사회공군 일병 숨진 채 발견…가족에 "부대원들이 괴롭혀 힘들다" 호소 16 revofpla 23/02/07 2970 0
    10791 정치공급이 부족하다면 수요를 줄이면 되는거 아닐까요 18 타키투스 20/07/17 4975 3
    6785 일상/생각공동의 지인 20 달콤한밀크티 17/12/19 4590 20
    6060 사회공립학교 교원임용 TO에 관한 사고 18 DarkcircleX 17/08/04 6033 0
    7957 일상/생각공무원 7급 = 일반고 전교 1등? 30 메존일각 18/07/27 7382 0
    11237 기타공무원들의 월급은 얼마나 될까? 17 지와타네호 20/12/16 6230 0
    11063 일상/생각공무원에 대한 선입견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7 nothing 20/10/16 4583 22
    1727 정치공무원이 성과에 따라서 보수를 받아야되는 직업인가 싶습니다. 27 하니남편 15/12/07 6873 2
    15186 일상/생각공백 없는 이직을 하였읍니다. 11 Groot 25/01/04 1509 21
    8694 일상/생각공부 잘하는 이들의 비밀은 뭘까? (上) 22 Iwanna 18/12/28 6295 8
    8699 일상/생각공부 잘하는 이들의 비밀은 뭘까? (下) 4 Iwanna 18/12/28 5374 9
    7416 일상/생각공부 하시나요? 10 핑크볼 18/04/20 4359 3
    15164 일상/생각공부가 그리워서 적는 대학 첫 강의의 기억 10 골든햄스 24/12/27 1217 12
    13741 일상/생각공부는 노력일까요? 재능일까요? 39 비물리학진 23/04/11 4227 0
    7228 일상/생각공부는 어느정도 레벨을 넘으면 꼭 해야하는 것같습니다. 6 란슬롯 18/03/12 4402 3
    14044 일상/생각공부에 대하여... 13 희루 23/07/14 3369 0
    10655 일상/생각공부하다 심심해 쓰는 은행원의 넋두리 썰. 10 710. 20/06/06 6382 31
    7040 일상/생각공부하다한 잡생각입니다. 10 성공의날을기쁘게 18/02/03 373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