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12/16 12:04:45 |
Name | 지와타네호 |
File #1 | 캡처.PNG (248.3 KB), Download : 34 |
Subject | 공무원들의 월급은 얼마나 될까? |
요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공무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고, 사기업에서 이직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걸로 압니다. 그런데 이직에 제일 중요한 정보가 월급인데도 가끔씩 공무원 급여명세서가 올라오면 "왜 XX수당은 빼놓냐? 밑장빼기냐? 적게받는척 하네" "한달에 초과근무 수당 50만원을 받는 사람이 몇명이나 된다고 최대액으로 계산하는게 말이 되냐?" 등등 말이 많아서 혹시나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대략적으로 계산해보았습니다. 그냥 띡 계산한것만 올릴라다가 많은 태클이 예상되어... 간단히 설명드리겠읍니다. 1년차 기준으로 계산하였고, 세금이나, 건강보험, 연금기여금 등은 명절상여금, 성과급을 뺀 순수 월급액으로만 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실제 실수령액은 계산보다 적을 확률이 매우 크지만 이것저것 해봐야 -30만원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성과급은 어차피 다 1년차니까 B등급 받았다고 가정하고 계산했는데... 기관마다 성과급 금액이 조금씩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9, 7, 6급은 동사무소에서 민원 보시는 분들로 가정하고 민원수당으로 계산했고, 교사는 보통 담임이 많기 때문에 담임수당 넣어서 계산했습니다. 비담임의 경우는 담임수당만 빼주시면 되세요. 6급 1호봉은 채용도 안하는데 왜넣었냐고 하시면 보통 교사가 7급 대우라는 말이 많아서 처음에는 9, 7급, 교사까지 산정한건데 7급보다 훨씬 많아서 한번 계산해보았습니다. 근데 계산해보니 급여로는 교사가 5~6급 사이라고 보는게 더 맞는것 같아요. 5급부터는 성과연봉제라서 정확한 계산이 불가능하나 5급보다 많지는 않을거에요. 그리고 이 계산은 초과근무고 뭐고 정말 숨만쉬고 살았을때고, 개인별로 초과근무를 얼마나 했느냐에 따라 금액이 차이날수 있습니다. 초과근무를 매월 풀로 찍으면 1년에 500~600만원 정도 추가가 될거에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지와타네호님의 최근 게시물 |
7급공채로 들어와서 십년쯤 지났고 현재 6급인데, 통장에 실제 꽂히는 게 월 300~310쯤 됩니다. 물론 명절이나 정근수당 붙으면 달라지구요.
근데 직장인 기준으로 보면..대개는 연봉이 1억인사람이 1주일에 80시간 일하지 않는경우가 많기도 하거니와
1주일에 35시간 일해서 5천받는 사람이 7-80시간 일하겠다고 하고 일해도 똑같이 연봉 5천 + 추가근무수당 정보 받지 1억 받지는 않는.....
그래서 보통은 많이 일하고 많이받고싶어하는사람이 꽤 많을것 같습니다.
왜냐면 적게받는사람이 근무시간만 늘린다고 많이 벌 확률은 0에 수렴하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는 것일 뿐...
1주일에 35시간 일해서 5천받는 사람이 7-80시간 일하겠다고 하고 일해도 똑같이 연봉 5천 + 추가근무수당 정보 받지 1억 받지는 않는.....
그래서 보통은 많이 일하고 많이받고싶어하는사람이 꽤 많을것 같습니다.
왜냐면 적게받는사람이 근무시간만 늘린다고 많이 벌 확률은 0에 수렴하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는 것일 뿐...
대부분의 대기업 회사나 공기업에서 공무원처럼 성과급/특별보너스/수당 등 빼고 각종 퇴직연금공제 등 다 빼고 본봉 실수령으로만 얘기하면 실제로는 연봉의 60% 내외 정도로 축소되는게 보통입니다.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 더 보기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 더 보기
대부분의 대기업 회사나 공기업에서 공무원처럼 성과급/특별보너스/수당 등 빼고 각종 퇴직연금공제 등 다 빼고 본봉 실수령으로만 얘기하면 실제로는 연봉의 60% 내외 정도로 축소되는게 보통입니다.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이더라고요.
여론을 의식해서 줄여서 말하려고 하는 느낌인데, 공기업들은 모두 평균 연봉 공개가 되어 잇으니, 불필요한 오해 사지 말고 직급별 평균 연봉을 공개하든 부처별 전체 평균을 공개하든 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이더라고요.
여론을 의식해서 줄여서 말하려고 하는 느낌인데, 공기업들은 모두 평균 연봉 공개가 되어 잇으니, 불필요한 오해 사지 말고 직급별 평균 연봉을 공개하든 부처별 전체 평균을 공개하든 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