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6 12:04:45
Name   지와타네호
File #1   캡처.PNG (248.3 KB), Download : 34
Subject   공무원들의 월급은 얼마나 될까?


요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공무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고, 사기업에서 이직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걸로

압니다. 그런데 이직에 제일 중요한 정보가 월급인데도

가끔씩 공무원 급여명세서가 올라오면

"왜 XX수당은 빼놓냐? 밑장빼기냐? 적게받는척 하네"

"한달에 초과근무 수당 50만원을 받는 사람이 몇명이나 된다고 최대액으로 계산하는게 말이 되냐?"

등등 말이 많아서 혹시나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대략적으로 계산해보았습니다.

그냥 띡 계산한것만 올릴라다가 많은 태클이 예상되어... 간단히 설명드리겠읍니다.

1년차 기준으로 계산하였고, 세금이나, 건강보험, 연금기여금 등은 명절상여금, 성과급을 뺀 순수 월급액으로만 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실제 실수령액은 계산보다 적을 확률이 매우 크지만 이것저것 해봐야 -30만원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성과급은 어차피 다 1년차니까 B등급 받았다고 가정하고 계산했는데... 기관마다 성과급 금액이 조금씩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9, 7, 6급은 동사무소에서 민원 보시는 분들로 가정하고 민원수당으로 계산했고,

교사는 보통 담임이 많기 때문에 담임수당 넣어서 계산했습니다. 비담임의 경우는 담임수당만 빼주시면 되세요.

6급 1호봉은 채용도 안하는데 왜넣었냐고 하시면 보통 교사가 7급 대우라는 말이 많아서 처음에는 9, 7급, 교사까지 산정한건데

7급보다 훨씬 많아서 한번 계산해보았습니다. 근데 계산해보니 급여로는 교사가 5~6급 사이라고 보는게 더 맞는것

같아요. 5급부터는 성과연봉제라서 정확한 계산이 불가능하나 5급보다 많지는 않을거에요.

그리고 이 계산은 초과근무고 뭐고 정말 숨만쉬고 살았을때고, 개인별로 초과근무를 얼마나 했느냐에 따라

금액이 차이날수 있습니다. 초과근무를 매월 풀로 찍으면 1년에 500~600만원 정도 추가가 될거에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지와타네호님의 최근 게시물


    지와타네호
    참고로 최저임금으로 하루 8시간 근무시 월급은 179만 5천원입니다~
    사나남편
    님 세금이 아니라 고용주가 국가라 재원이 세금일 뿐입니다. 저사람은 자기가 일한 댓가를 받는거죠.
    지와타네호
    하도 내 세금으로 월급받는다~가 많아서 드립으로 쓴건데 수정하겠습니다.
    7급공채로 들어와서 십년쯤 지났고 현재 6급인데, 통장에 실제 꽂히는 게 월 300~310쯤 됩니다. 물론 명절이나 정근수당 붙으면 달라지구요.
    1
    존보글
    명세서 까이는군요 ㅠㅠ
    기본급이 낮고 수당이 많이 붙는 회사도 있고
    기본급이 높고 수당같은게 거의 없는 회사도 있어서
    자기가 다니는 회사라서 잘 아는거 아니면 월급 이야기는
    반쯤 걸러들어야겠더라구요
    지와타네호
    넵 맞습니다. 특히 공뭔은 본봉말고 별 잡다한 수당이 많아서 잘 모르면 어느정도 되는지 가늠을 못하실거에요.
    rustysaber
    저래서 어떤 직업이건 1년 원천징수로 까서 판단하는게 가장 정확하다고 봅니다.
    사나남편
    그렇다고 하기에는 근무시간에따라 천차만별이라 시급으로 까는게 맞지 않을까요
    rustysaber
    이게 국가단위로 통계를 낼 때 기준이 되는 것이 세전 1년 원천징수라서요.
    지니계수 5분위 분배, 이런 것도 전부 기준이 보면 1년 단위 원천징수일 겁니다.
    4대보험도 저걸 기준으로 하고 있어요
    시간단위로 하면 하루에 1시간 일하고 20,000원 받는 사람이 최저임금으로 8,590원으로 209시간(8시간 만근)이랑 비교하면, 아무래도 차이가 있으니까요.(쬐까 극단적인 예시를 들었습니다.)
    사나남편
    국가단위일때야 평준화시키기려고 하는거고 같은국가내에서 다이다이 뜰때는 시급이 더 정확하죠. 난 연봉이 1억이야 하지만 1주일에 80시간 일해랑 난 연봉이 5천이야 하지만 1주일에 35시간 일해...이럼 뭐 누가 급여가 더 쌜까요? 라고 하면 후자가 아닌가 싶어요.
    rustysaber
    이러면 가용시간에서 노동과 여가의 분배까지 가버리는지라 ㅠㅠ 저도 물론 후자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통계같은 곳에서는 워라벨을 중시하지 않으니까요. 저는 워라벨 짱짱 만세파라 사나남편님이 걸어주신 조건에서라면 당연히 후자입니다.
    Brown&Cony
    근데 직장인 기준으로 보면..대개는 연봉이 1억인사람이 1주일에 80시간 일하지 않는경우가 많기도 하거니와
    1주일에 35시간 일해서 5천받는 사람이 7-80시간 일하겠다고 하고 일해도 똑같이 연봉 5천 + 추가근무수당 정보 받지 1억 받지는 않는.....

    그래서 보통은 많이 일하고 많이받고싶어하는사람이 꽤 많을것 같습니다.
    왜냐면 적게받는사람이 근무시간만 늘린다고 많이 벌 확률은 0에 수렴하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는 것일 뿐...
    1
    대부분의 대기업 회사나 공기업에서 공무원처럼 성과급/특별보너스/수당 등 빼고 각종 퇴직연금공제 등 다 빼고 본봉 실수령으로만 얘기하면 실제로는 연봉의 60% 내외 정도로 축소되는게 보통입니다.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 더 보기
    대부분의 대기업 회사나 공기업에서 공무원처럼 성과급/특별보너스/수당 등 빼고 각종 퇴직연금공제 등 다 빼고 본봉 실수령으로만 얘기하면 실제로는 연봉의 60% 내외 정도로 축소되는게 보통입니다.
    그래서 전 공무원 급여를 그것도 신입 초급으로 실수령 얘기하는거 볼때마다 실제 연봉으론 대부분 중 연차는 최소 그 두배이상을 받겠군 하고 오히려 오해를 합니다.
    인터넷에서 연봉이 아닌 실수령 초급으로 얘기하는 두 직군중의 하나가 의사쪽이고 나머지 하나가 공무원이더라고요.
    여론을 의식해서 줄여서 말하려고 하는 느낌인데, 공기업들은 모두 평균 연봉 공개가 되어 잇으니, 불필요한 오해 사지 말고 직급별 평균 연봉을 공개하든 부처별 전체 평균을 공개하든 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구청 내에서 대출 업무를 하고 있어서, 공무원들 원천징수 영수증을 하루에도 수 장 씩 받는데요. 작성하신 금액과 제가 체감하는 '1년 총 급여'는 차이가 꽤 많은 것 같은 느낌입니다. 요새 업무 하면서 와 공무원들 급여도 꽤 늘었네??? 라고 생각할 때가 꽤 많습니다. 아무래도 호봉에 따라 연봉이나 수당이 꽤 차이가 나나 보네요.
    저희 회사도 신입 영끌 원천징수 6xxx 찍히는데, 평달 실수령은 200정도 잡힙니다...... 대부분의 경우 연봉 비교시에는 영끌 소득으로 잡는 게 합리적이다 싶네요.
    지와타네호
    그분들은 호봉이 높으셔서 그럴거에요. 오히려 저 계산식이 비과세 수당까지 잡히고, 성과상여금 역시 1년차 돈이 2년차에 나온는걸 합산을 해놨으니 1년차 원천징수영수증 떼면 저거보단 확실히 적을 확률이 더 높아요. 그리고 1년차에는 공무원 특성상(수당이 뭐 있는게 없음) 더이상 영끌할건 없고... 한 5년 넘어가면서 추가되는 수당이 있어서 금액이 좀 오를순 있겠네용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727 기타2021 GSL 슈퍼 토너먼트 시즌2 결승전 우승 "조성호" 1 김치찌개 21/05/28 4768 0
    11725 기타책 나눔의 건 (마감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34 Romantic Flight 21/05/27 3771 21
    11651 기타2021 GSL 시즌1 코드S 결승전 우승 "이병렬" 김치찌개 21/05/06 3727 1
    11625 기타군대에 가지 말았어야 했던 사람 9 마카오톡 21/04/29 4578 17
    11615 기타송악산 개발 1 당나귀 21/04/26 3955 3
    11613 기타특정금융정보법과 가상자산 거래소 5 행복한고독 21/04/26 6245 8
    11605 기타요즘 나오는 군대 빈찬합 관련 뉴스에 대해.. 36 윤지호 21/04/22 7419 17
    11540 기타60대에도 마라톤 꾸준히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10 노컷스포츠 21/04/01 6032 2
    11484 기타동아제약 면접 여성차별? 34 주식하는 제로스 21/03/11 7202 1
    11465 기타자가격리 숙박 시설 및 입출국 PCR 검사 정보 7 풀잎 21/03/04 6159 5
    11457 기타IEM 카토비체 2021 결승전 우승 "레이너" 4 김치찌개 21/03/02 4507 0
    11449 기타50이하 살만한 물품 뭐가 있을까요? 25 지겐 21/02/25 5035 0
    11424 기타옛날 유머 4 주식하는 제로스 21/02/17 3919 1
    11388 기타2021 GSL 슈퍼 토너먼트 시즌1 결승전 우승 "조성호" 2 김치찌개 21/02/01 4111 0
    11359 기타엑스와 동그라미를 그리는 방법 6 리니시아 21/01/21 6431 5
    11345 기타책 리뷰 - 홍차나눔 - 2021년 새해 기념, 한 권의 책 이벤트 종료 8 풀잎 21/01/17 4877 10
    11333 기타코스코의 템푸라 오징어 스낵 vs 리몬셀로 셔베트 1 풀잎 21/01/12 4649 1
    11313 기타홍차나눔 - 2021년 새해 기념, 한 권의 책 이벤트 11 풀잎 21/01/03 5826 22
    11312 기타영조의 완론 탕평, 정조의 준론 탕평 피아니시모 21/01/02 6546 5
    11291 기타윤석열 징계 절차적 하자에 대한 검토 (상법과 다른 이유 추가수정) 14 사악군 20/12/29 6144 8
    11273 기타[마감/나눔] 패럿 Zik 1.0 무선헤드폰과 엑박360 PC용 패드 나눔합니다. 21 lonely INTJ 20/12/24 4348 13
    11258 기타요즘 보고 있는 예능(8) 김치찌개 20/12/21 4802 0
    11237 기타공무원들의 월급은 얼마나 될까? 17 지와타네호 20/12/16 6414 0
    11235 기타[12/27 진행 확정][참가 마감] 홍차넷 연말 스타크래프트1 대회를 개최합니다. 32 化神 20/12/15 5380 12
    11220 기타[스타2] 2021 GSL 연간 계획 김치찌개 20/12/13 390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