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9/25 11:49:39
Name   눈부심
Subject   일본방사능 - 사망의 진짜 원인
(이 기사에서 조지 죤슨씨는 후쿠시마가 생각보다 안전한 곳이라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라 방사능이 위험한 건 두말 할 나위가 없지만 적절한 수위 이상으로 공포에 휩싸이는 경우 어떤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아요. Raw 데이타를 보고 인과관계를 유추해내는 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니까 죤슨씨도 뭐라고 장담하기 힘들 듯 하네요. 그냥 이런 이야기도 있다 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요.)

­

사진은 2011년 후쿠시마 방사능사태 때 급히 피신해 온 환자들의 모습입니다. 기사에 의하면 현재까지 방사능으로 인한 사망자는 없고 앓는 이도 없으며 오히려 다급하게 환자들을 피신시킴으로 인해 그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쇼크나 갑작스럽게 열악해진 의료환경 등으로 사망한 사람들이 1600명에 달한다고 하네요. 

올 봄에 몇몇의 일본과학자들이 모여 지난 후쿠시마 방사능 사태 이후 피해여파에 대한 미팅을 가졌구요. 한 달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의해 확정된 사항에 의하면 일본에서 후쿠시마 방사능사태로 인해 사망하거나 질병을 앓는 이는 한 명도 없다고 해요(호기롭게 후쿠시마산 과일을 우걱우걱 먹은 어떤 남자앵커가 백혈병으로 죽었다던데 그거 유언비어인가요? 흠.. 뭘 믿어야..). 추가적인 암환자사례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하네요. 오히려 급히 대피시킨 1600여명의 사람들이 사망했다고 보고되었어요. 이들은 방사능에 노출된 정도가 그냥 양호했다고 하는데 사망을 했어요. 역학자들이 앞으로 얼마만큼의 사망률이 발생할 것이다라고 예측하곤 하지만 사망했다고 판명난 사람은 한 명도 없고 그런 말들은 그냥 뜬구름 잡는 숫자에 불과한 것이 되었어요.  

한 의사에 따르면 지금 와서 되돌아 보니 정부가 너무 패닉상태에 빠졌던 것 같다고 합니다.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들을 부랴부랴 고등학교 강당으로 옮겨놓고 살아남길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이니까요. 피신한 사람들 중에는 양로원에 있던 분들도 있는데 방사능공포에 떨다가 자살을 한 이도 있었다고 해요. 

방사능 잔여물은 대부분 바다나 바람에 휩쓸려 가거나 지상 이곳 저곳에 옅게 퍼졌대요. 방사능노출이 매우 심한 곳이라 할지라도 피신시키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면 지난 4년간 아마도 70밀리시버트의 방사능에 노출되었을 법한데 그 정도면 병원에서 매년 전신을 고해상도로 스캔하는 수치와 맞먹는다고 해요. 피신시킨 사람들의 대부분은 그 수치보다 적은 연간 대략 4밀리시버트의 방사능에 노출되었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보통 우리들이 자연 속에 있는 방사능에 노출되는 정도가 일 년에 2.4밀리시버트라고 하구요.

세계방사능기준에 의하면 어떤 기준치 이하 소량의 방사능은 인간에게 무해하며 심지어는 오히려 약간 이로울 수 있다고 해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은 썰인데 '방사능 호르메시스'라고 한다나요. 최근에 UCLA의 연구자 캐롤과 다른 연구소의 마크가 핵규제위원회에, 위협이 되지 않은 수준의 방사능에 과민방응하는 일이 없도록 규제를 수정해달라고 진정서를 제출한 바 있어요. 1시버트의 방사능에 노출되면 인구의 5%에 치명적인 암을 초래할 수 있어요. 1밀리시버트에 노출되면 0.005%에게 치명적인 암을 초래할 수 있고요. 당시 후쿠시마 근방 20km 내에 있던 20여만명의 사람들이 대피를 했거든요. 그들을 대피시키지 않았다면 (지난 4년 동안)16밀리시버트의 방사능에 노출되었을 것이고 그렇다면 사망자는 160명 정도 되었을 거예요. 대피시킨 후 사망한 1600여명의 10%밖에 안 되죠. 그리고 소위 '방사능 항상성'에 따르면 낮은 방사능 수치는 인체이 덜 유해하므로 암발생률도 덜했을 것이고요. 

'방사능 호메르시스'이란 걸 확장해서 적용시키자면 약한 방사능이라면 오히려 위험성을 감소시켰을 수도 있었을 거예요. 어떤 동물실험에 의하면 약간의 방사능에 노출되면 우리를 보호하려는 항산화제를 방출하게 만들어 면역체계를 강화시키고 모든 종류의 암으로부터 보호해주기도 한다는군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피폭자들을 연구한 역학자들이 실제 피폭의 장단점 두 가지면을 유추했다고 하는군요. 그치만 방사능규제내용에 의하면 안전한 수준의 방사능노출은 제시되어 있지 않아서 소량의 방사능으로 치료를 시도하기란 불가능합니다.(??? 근데 키모떼라피가 방사능치료법 아닌가요? 제가 잘못 해석한 걸까요. 원문은 But because radiation regulations assume there is no safe level, clinical trials testing low-dose therapy have been impossible to conduct.)

그리고 더 있는데... 왜 이리 기냐능...다른 연구에 의하면 어떤 지역에서 제법 높은 수치의 방사능에 노출된 사람들의 폐암률이 낮았다고 하기도 하고.. 방사능에 대한 병적인 공포가 어쩌면 인간을 구제해 줄지도 모를 치료법을 외면하게 하는 것일 수도 있고 더 큰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하는 그런 말이에용. 저는 이런 얘기 첨 들어봐서 신기하더라고요.


+기사를 읽었으니 이제 이에 대한 비판거리를 생각해 봤어요. 지난 4년 동안 쬔 방사능은 16밀리시버트이겠지만 거기 10년 살면 40밀리시버트의 방사능에 노출되는 거고 오래 살면 살수록 점점 수치가 늘어나잖아요. 세월이 흐름에 따라 방사능이 씻겨 나가 줄어들 것이므로 이런 예상은 적절하지 않은 건가 싶고요. 아직 4년 밖에 지나지 않아 시기상조는 아닐까란 생각도 들고요. 후쿠시마방사능사태로 사망하거나 질병을 앓는 사람이 어떻게 단 한 명도 없을 수가 있죠? 이게 가능하다면 우리가 지나친 공포에 떨고 있는 게 맞긴 한 것 같아요. 혹시 일본이 아주 약간 구라친 걸까요? 








0


    새의선물
    뉴욕 타임즈 이거 너무하는거 아닙니까? 흐흐...

    http://www.nytimes.com/2014/01/31/opinion/we-are-giving-ourselves-cancer.html
    눈부심
    아악 크크크크킄
    다른 한쪽에선 스캔 남용해서 암이 더 심해졌다니.
    Beer Inside
    최근의 연구 의료용 방사능 쪽에서 연구할 것이 좀 없어서 그런지 low dose radiation이 가장 각광받고 있는 주제입니다.

    어떻게 적은 양의 방사선으로 만족할 만한 진단결과를 낼것인가를 연구하고 있지요.
    눈부심
    근데 키모떼라피가 이미 방사능을 가지고 시도하는 치료법인 거 아니에요? low dose radiation이랑 키모떼라피랑 어떻게 다른가요.
    새의선물
    키모는 화학약품이고요 radiation은 방사선이예요.
    눈부심
    어맛. 그렇군요 으크크.
    새의선물
    네. 그런거 같아요. low dose도 해보고... single dose도 해보고... hyperfractionaed는 종종쓰고...
    새의선물
    본문에 아주 적은 양의 방사선이 도움이 되니 하는 이야기와 homeopathy이야기를 하셨는데요... 전에 세미나 들어갔는데, 발표자게 데이타를 보여주고나서 한참 이야기하고 마지막에 질문받는데, 질문자가 데이타중에 하나를 지목하면서 혹시 homeopathy로 이해할수 있냐고 하니까 발표하는 사람이 단호하게 아니라고 하던거 기억나요.

    논란이 있다고는 하지만, 일단 그건 아니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을꺼예요.
    눈부심
    hormesis가 homeopathy란 거예요? 전 둘 다 뭔지 잘 모르겠어요. homeopathy는 아무짝에도 효과가 없는 거라는 기사를 읽긴 했는데 기사에는 hormesis란 것이 나오더라고요. 사전에도 안 나오는 아주 고약한 단어인 것 같아요.
    새의선물
    hormesis는 low dose를 사용하는걸로... 세포 같은거 키울때 아주 적은 양의 약을 넣으면 세포들이 잘 자라는 일들이 보여요. 조금만 더 올리면 금방 죽는데...
    눈부심
    (아하 글쿠나). 근데 암환자들이 방사선치료 받아서 머리가 슝슝 빠지고 이런 거 아녔어요? 이미 방사선 치료법이 있는 줄 알았더니 원 세상에나 저만 키모떼라피가 방사선치료법이라고 알고 있었던 건가요 -.-
    레지엔
    방사선 치료로 머리가 빠지는 경우는 머리쪽에 방사선을 쐰 경우고, 보통은 항암제 중 일부의 부작용입니다. 항암제 치료=항암화학치료=chemotherapy, 방사선치료=radiotherapy or radiation therapy...
    눈부심
    오.. 감사합니다.
    Beer Inside
    homeopathy로 이해하게 놓아두면 사이비 의료인으로 낙인찍힐 겁니다.
    새의선물
    글쵸. 뭐 발표하던 사람들이야 의료인이 아니었던지라...
    애패는 엄마
    항상 잘 보고 있지만 가끔 제가 뭘 보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나름 통계 부전공자인데.
    눈부심
    통계는 공부하면 할수록 미궁에 빠진다고 하더라고요 흐흐..
    + 아 참.. 20만 명의 0.005%는 160이 아닌데 어째서 160이 나왔는지는 모르겠어요. the linear no-threshold model => 이런 통계모델에서는 그리 나온다고 하는 것 같기도 하고..
    아케르나르
    0.005%는 1밀리시버트에 노출시켰을 때 암에 걸릴 수 있는 비율이고, 160명은 16밀리시버트에 노출시켰을 때의 사망자 숫자인 것 같습니다.
    눈부심
    그렇군요.. 끄덕끄덕
    어렵네요 이거...
    눈부심
    저는 기사 읽어도 또 저런 사태가 발생하면 패닉에 빠질 수밖에 없지 않나란 생각이 들어요. 후쿠시마에 버려진 동물들이 있는데 걔네들 밥 주러 매일 출근한다는 일본아저씨에 관한 게시물을 본 적이 있거든요. 기사 읽고 갸들이 먼저 떠오르더라고요. 많이 아프거나 하지는 않을 것 같애서 조금 안심이에요.
    레지엔
    음 일단 IAEA에서 확정한 건 방사능 피폭에 의한 사망자가 없다가 아니라, \'방사능 피폭에 직접적인 노출이 확인되어 관찰하던 환자 중의 지연된 사망이 없다\'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외에 소아 갑상선암 중간 보고에서 문제가 없다는 것이고 이건 제가 홍차넷에도 올렸던 글이고... 실제 영향이 장기적으로 (대충 20년 정도 기준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드러난 지표대로라면 큰 문제가 없고, 방사성 물질 누출량은 적지 않았으므로 이게 시사하는 바는 \'희석이 잘 됐다\'... 입니다.
    그리고 소량 방사선... 더 보기
    음 일단 IAEA에서 확정한 건 방사능 피폭에 의한 사망자가 없다가 아니라, \'방사능 피폭에 직접적인 노출이 확인되어 관찰하던 환자 중의 지연된 사망이 없다\'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외에 소아 갑상선암 중간 보고에서 문제가 없다는 것이고 이건 제가 홍차넷에도 올렸던 글이고... 실제 영향이 장기적으로 (대충 20년 정도 기준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드러난 지표대로라면 큰 문제가 없고, 방사성 물질 누출량은 적지 않았으므로 이게 시사하는 바는 \'희석이 잘 됐다\'... 입니다.
    그리고 소량 방사선 노출이 건강에 좋다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노출된 결과를 보다보니\' 그렇다는 것이지, 의도해서 시도할 영역이 아닙니다. 일단 안전역 자체가 애매하고, 방사선 피폭의 영향 중에는 확률론적 부작용(많이 쏘일수록 확률이 올라가지만 적게 쏘였을 경우에 0%라고는 할 수 없는 부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benifit-risk 교환을 설정하기 어렵습니다. 뭐, 와인이나 맥주에다가 좀 쏴보는 건 괜찮겠습니다만...
    그리고 방사능 항상성이 뭔가 해서 봤더니 radiation hormesis였군요. 이건 그냥 방사능 호르메시스로 번역할겁니다 마땅한 말이 없어서...
    눈부심
    상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올려주신 글을 저도 감사히 읽었더랬어요.
    사망자에 대한 정의를 구분해주시니 이해가 더 잘 되네요. \'방사능 항상성\' 크크크. 이거 \'방사능 호르메시스\'로 수정해 놓을게요. 크크.
    방사능도 방사능이지만 이번 주 일 하다 보니, 이전 CT에서 암이 의심되었지만 메르스 감염 걱정 때문에 제때 병원 방문 안하고 좀 딴짓 하다 이제 병원와서 추적 CT를 찍으니 폐전이 간전이 다 생겨버린 암 환자를 두 명이나 봤습니다. 둘 다 40-50대 젊은 분이었는데.. 여러가지로 안타깝더군요. 실체적 리스크와 심적 리스크의 경중을 구분을 못하니 발생하는 일이겠지요. 답답하긴 한데 뭐 그런거죠.
    세상의빛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죠.
    눈부심
    일하시다 보면 안타까운 경우가 잦겠어요.. 환자는 아파서 괴롭지만 환자를 바라보는 의사도 보통 스트레스가 아닐 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29 꿀팁/강좌[엑셀월드] #1. 체크리스트 만들기 12 Iwanna 18/09/14 16937 6
    3325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0) 10 NULLPointer 16/07/22 16882 6
    240 영화산 안드레아스 보지마세요. 40 세계구조 15/06/06 16841 0
    3351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7) 26 NULLPointer 16/07/26 16797 5
    93 일상/생각넌존잘이 왜 이런 식으로 기억되는지 모를 일입니다. 44 구밀복검 15/05/30 16596 8
    8504 요리/음식위스키 입문, 추천 22 Carl Barker 18/11/11 16584 30
    3719 의료/건강헤로인과 모르핀 이야기 9 모모스 16/09/17 16559 1
    144 기타[과학철학] 콰인 "존재하는 것은 변항의 값이다" 2 삼공파일 15/06/01 16534 0
    3334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4) 11 NULLPointer 16/07/23 16434 3
    1447 일상/생각군대썰 : 선임 휴가증 세절한 후임 16 化神 15/11/04 16373 0
    646 역사일본 쇼토쿠 태자의 패기(?)... 17 Neandertal 15/07/24 16373 0
    133 기타요즘 피시방의 이야기 55 하드코어 15/05/31 16340 0
    3319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9) 23 NULLPointer 16/07/21 16305 10
    1358 음악(스크롤 압박有)락알못/퀸알못이 추천하는 퀸의 노래 7 Raute 15/10/28 16252 0
    1454 의료/건강밑에 글 보고 따라올려보는 요로결석 후기.txt 24 전크리넥스만써요 15/11/04 16203 0
    1361 기타런던에서 BBC 영어를 들을 수 있다는 꿈은 버려... 21 Neandertal 15/10/28 16161 3
    3316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8) 17 NULLPointer 16/07/21 16119 6
    224 기타남성의 정력을 증강시키는 운동 67 스타-로드 15/06/05 16097 0
    1099 기타일본방사능 - 사망의 진짜 원인 26 눈부심 15/09/25 16085 0
    977 IT/컴퓨터여자친구를 개선하는 신경망 17 Azurespace 15/09/13 16079 1
    1327 음악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노래 list5 10 darwin4078 15/10/24 16042 5
    9664 기타요즘 결혼 생각시 남자 연봉 기준 46 셀레네 19/09/15 16015 1
    6312 게임[LOL] 역대 롤드컵 TOP 20 총정리 6 Leeka 17/09/20 16002 3
    229 기타정도전 23화 2 천하대장군 15/06/06 15968 0
    1581 IT/컴퓨터지킬+깃허브+마크다운=블로그 18 damianhwang 15/11/18 1596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