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26 00:15:48 |
Name | kpark |
Subject | 메이저리그도 이제 고학력 시대 |
학벌 타파는 오래 전부터 많은 이들이 역사적 사명(?)으로 여겨오던 것이지만 시대의 흐름은 점점 고급 학위의 필요성이 증진하는 쪽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스포츠 산업의 메카 미국, 그 미국의 스포츠 업계도 다르지 않은 것이. 치고 달리는 선수들 뒤에서 펜대와 키보드를 부여잡고 있을 '프런트 오피스'의 수장들은 더욱 스마트한 뇌섹남(?)들로 가득 채워져가고 있습니다. 선수들 뒤에서 팀의 운영을 도맡아 하는 총 책임자, 야구 구단의 CEO 혹은 GM(제너럴 매니저, 단장)들 중에는 이제 프로 생활을 전혀 안해본 사람들도 넘쳐나고 있습니다. 한 단장은 '이제 야구 팀들도 인재를 두고 애플, 구글 같은 기업과 경쟁을 한다'고 해서 노오오력 없이는 그깟 공놀이를 만지작거리지도 못한다는 현실을 밝혔습니다. ㅠㅠ 현재 메이저리그에서 내로라하는 30, 40대 젊은 수장들의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야구 쪽에서 첫 사회생활을 한 경우를 빼면 야구팀 경력은 모두 제외... LA 다저스: 앤드류 프리드먼(39) 사장. 툴레인 대학 야구 장학생, 경영학 석사, 베어 스턴스 애널리스트, 미드파크 캐피털 어소시에이트 등 LA 다저스: 파르한 자이디(40) 단장. MIT 졸업, UC 버클리 경제학 박사, 보스턴 컨설팅 그룹 경영 컨설턴트, 스포르팅 뉴스 경영 부서 등 밀워키 브루어스: 데이빗 스턴스(30) 단장. 하버드 대학 정치과학 학사, 피츠버그 인턴/뉴욕 메츠/MLB 사무국 노사협상 부서 등 (바로 야구계로 투신한 드문 예) 신시내티 레즈: 딕 윌리엄스(44) 단장. 버지니아 대학 졸업, 투자 은행 근무, 조지 W. 부시 재선 캠프 등 필라델피아 필리스: A.J. 프렐러(39) 단장. 코넬 대학 최우등 졸업, 필라델피아 인턴/LA 다저스/메이저리그 사무국 등 텍사스 레인저스: 존 다니엘스(38) 단장. 코넬 대학 졸업, 얼라이드 도메크(던킨 도너츠 지주회사) 경영 부서 등 탬파베이 레이스: 매튜 실버맨(40) 사장. 하버드 대학 최우등 촐업, 골드만 삭스, 탬파베이 구단 인수 팀장 등 오클랜드: 데이빗 프로스트(39) 단장. 하버드 대학 우등 졸업, 마이너리그 프로 경험, 오클랜드 스카우트 등 특이한 점은 굵은 글씨로 표기한 것처럼 금융계, 컨설팅 기업 등에서 일한 경제/경영계통 출신의 젊은 인재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저평가된 가치를 발굴해내고, 치밀하게 손익을 계산하고, 각종 수치를 분석하는 일이 중요하다 보니... 그런 점에서 금융계/컨설팅 쪽과 공통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결론은 스포츠 산업 역시 높이 올라가려면 엄청난 노오오오오오력과 재능이 필요하다는 것...?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이게 맞는 거죠. 스포츠 클럽도 상품인 이상, 이전처럼 경영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무지렁이들이 현역 시절 볼 좀 차고 던지고 치고 튀기고 했다는 이유로 인맥과 명망을 내세워 사장이나 CEO같은 요직 차지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것이었죠. 최근까지도 일반 기업의 경영 전문가들이 스포츠 클럽 경영진을 [호구] 취급했다고들 하지요. 일 관계로 얽혀보면 자신들에 비해 아마추어 수준이니까...
여하간, 경영 리더가 반드시 현장에 통달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현장 전문가들의 경험적이면서도 근시안적인 판단에 매몰되지 않은채 현장에서 보이는 것 이상을 볼 수 있는 사람이어야하죠. 그러기 위해서는 알아야할 것이 갈수록 많아질 테고요.
여하간, 경영 리더가 반드시 현장에 통달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현장 전문가들의 경험적이면서도 근시안적인 판단에 매몰되지 않은채 현장에서 보이는 것 이상을 볼 수 있는 사람이어야하죠. 그러기 위해서는 알아야할 것이 갈수록 많아질 테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