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게시판입니다.
Date 15/10/23 22:01:11
Name   kpark
Subject   커브
1. 밖에서 핸드폰으로 생각나는대로 쓰는 글입니다. 그래서 수치 같은거 구체적인 제시도 없고, 틀린 내용 있을 수도 있고...

2. 영어로 curve ball입니다. 우린 거기서 '볼' 한 글자 떼서 부릅니다. 왠지는 저도 몰라요. 이름 그대로 곡선 궤적을 그리는 공입니다.

3. 오른손 투수 기준으로 설명할게요. 보통 12-6 커브, 2-8 커브 이런 식으로 묘사를 합니다. 12시에서 6시 방향으로, 2시 방향에서 8시 방향으로 휘는 궤적을 그린다는 뜻입니다.

4. 변화구 중에는 가장 큰 궤적을 그리는 편에 속합니다. 타석에서 직접 보면 심한 경우는 머리에서 무릎으로 떨어지는 것 같은 착각을 줘요. 전 죽어도 못칩니다... 경력도 일천하지만 -.-;;

5. 처음엔 직구는 알겠는데 슬라이더는 뭐고 커브는 뭐지? 이랬어요. 직구>슬라이더>커브 순으로 빠르고, 커브>슬라이더>직구 순으로 휩니다. 커브가 형이에요(먼저 발명?발견?됨). 슬라이더는 그래서 직구와 커브의 중간이라고 불립니다.

6. 마구마구 게임이나 그 게임의 레퍼런스-_-로 보이는 실황파워풀프로야구...에서는 슬라이더는 9시->3시방향, 커브는 2시->8시 방향으로 묘사됩니다(오른손 투수 기준). 이걸 보고 구속 정보까지 조합해서 경기를 보니 대충 구분이 가더라는...

7. 우리나라 투수들 기준으로 하면... 직구 구속이 시속 140~145km 정도면 슬라이더는 125~135, 커브는 115~125 정도가 평균인 것 같습니다. 근데 미국 놈들은 워낙 괴수라 130 넘는 커브가 수두룩합니다...

8. 최초의 변화구는 커브로 알려졌습니다. 물수제비 던지다가 깨달았대나 뭐래나... 기억이 정확하지 않네요. 기록도 믿을 수 있는지 모르겠고.. 암튼 그렇습니다.

9. 슬라이더가 나온 이후 유행에서 밀릴듯 말듯 하지만, 역시 야구를 가르칠 때 가장 먼저 가르치는 변화구는 커브입니다. 왜냐면 가르치기 제일 쉽거든요. 던지기도 쉬운지는 모르겠습니다. 아 그리고 슬라이더에 비해 던질 때 팔꿈치에 부하가 덜 걸린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10. 변종으로 '너클 커브'가 있습니다. 공 쥐는 법(그립)은 검색해보시면... 검지 손톱으로 공을 찍듯이 잡습니다. 왜 너클인지는 저도 잘 -.-;; 봉중근 윤석민 안영명 해커... 그리고 AJ 버넷 등등이 애용합니다. 버넷 옹은 이제 과거형

11. "OOO 커브요? ...제가 본 커브 중에 최고였어요." 전 여기 들어가는 이름이 김진우...입니다. 남들은 직구처럼 가다가 쑤욱~하고 떨어지는데 김진우 커브는 손을 떠나는 순간부터 '콰콰콰콰콰'하면서 미칠듯한 곡선을 그리던... 방망이 한참 밑에 공이 떨어지는데 이게 예술이구나 싶었습니다.

12. 가끔 커브랑 슬라이더랑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커브가 너무 빠를 때요. K-로드라는 별명을 가진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는 계속 커브를 던졌는데, 슬라이더만큼 빨라서;; 다들 슬라이더라고... 그랬는데 본인이 '이거 커브인데?' 그랬죠.

13. 결론은 그냥 던지는 사람 맘이에요. 슬라이더처럼 빠른데 던지는 사람이 커브그립으로 잡고 커브처럼 던졌으면 커브인거고... 그렇다고 커브랍시고 던지지만 아리랑볼이 되는 우리의 배나구가 커브가 되는 건;; 아닙니다?

14. 커브는 직구와 다르게 탑스핀이 걸립니다. 회전할때 공 윗면의 진행 방향이 투수->타자 쪽으로 걸리는... 근데 이게 타자 입장에서 보면 완벽하게 백스핀이 됩니다. 그래서 배트 중심에 제대로 맞으면, 백스핀이 평소의 배로 걸리고... 그러면 아직까지 날아가고 있는 홈런이 되는 겁니다 ;)

15. 때문에 커브는 정확한, 정확한 제구가 생명입니다. 어설프게 한가운데로 들어갔다간... 프로 수준의 선수들에겐 '어익후 내 고과가 여깄네'가 되는거죠. 어느 공이 안 그렇겠습니까만...

16. 와 이거 왜 이렇게 길어졌지???



1


세계구조
고속 슬라이더도 던지는 사람이 이거 슬라이더인데? 하는 경우 아닌가요? 류현진은 2-6 커브군요.
네 원래 던지는 사람 맘이에요.
시침 비유는 시계에서 선 그었을 때 대각선 모양으로 분류하는 거라 2-8, 1-7, 12-6 이렇게만 부릅니다 보통 흐흐
세계구조
오잉 1이 안 써졌군요. 12-6을 쓰고 싶었어요.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건 왠지 보는 사람 맘대로인 느낌적인 느낌?
바코드
12-6 맞습니다.
레지엔
커브는 보통 느린데 그 무브먼트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빠른 경우에 하드 커브라고 부르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근데 엄청 옛날 얘기고 지금은 그런 커브 유저가 흔해져서 오히려 무브먼트가 좋으면 하드 커브라고 부르는 경향도 있고 어느 쪽이건 자주 보이는 말은 아니게 됐죠.
커브는 공식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변화구입니다. 실제로 개발이 가장 빨랐는가는 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특히 최근 유행한 컷 패스트볼이 사실 예전에 포심그립의 지위가 확고하지 않았던 시절에도 구사되었다는 주장도 있고... 뭐 아무튼 공식적으로는 가장 먼저 변화구라... 더 보기
커브는 보통 느린데 그 무브먼트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빠른 경우에 하드 커브라고 부르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근데 엄청 옛날 얘기고 지금은 그런 커브 유저가 흔해져서 오히려 무브먼트가 좋으면 하드 커브라고 부르는 경향도 있고 어느 쪽이건 자주 보이는 말은 아니게 됐죠.
커브는 공식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변화구입니다. 실제로 개발이 가장 빨랐는가는 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특히 최근 유행한 컷 패스트볼이 사실 예전에 포심그립의 지위가 확고하지 않았던 시절에도 구사되었다는 주장도 있고... 뭐 아무튼 공식적으로는 가장 먼저 변화구라는 개념을 등장시킨 건 커브가 맞습니다.
커브를 제일 먼저 가르치는 건 패스트볼이 애매하면 변화구를 던져도 티가 잘 안 나는데, 커브는 티가 잘 나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최대 구속 110 정도 간당간당하게 나오는 투수가 투심이나 커터나 슬라이더 연습해봐야 그냥 아리랑볼처럼만 보이거든요. 반면에 커브는 구속이 확 줄면서 무브먼트가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혼자 트레이닝 하면서도 감을 잡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그립 자체도 리틀야구 스타일의 커브 그립은 손이 좀 작아도 잡기가 용이합니다. 대신에 팔의 궤적과 손 모양이 잘 보이니까 소위 말하는 디셉션이 잘 안되고, 그래서 변화구의 원점이자 정점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워낙 많이들 쓰고 타자들이 잦은 경험으로 인해 워낙 내성들이 좋으니까 이걸 프로 수준에서 써먹을만큼 다듬으려면 피나는 노력과 재능이 필요하거든요. 그리고 그렇게 연습해놨더니 포수가 못 잡는 슬픈 일도 피해야 하고...
너클 커브는 그립을 앞에서 보면 주먹쥐고 휘두르는 모양이라서 그렇습니다. 보통 커브는 손가락이 한 두 개 없는 느낌으로 던져야 오히려 구사가 쉬운데, 그러다보니 리틀야구 스타일의 그립은 손가락을 펴버리고, 너클커브는 반대로 쥐어서 궤도에 영향을 덜 주는 것이죠. 목적은 비슷한데 답안이 다르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퍼포먼스도 달라지고 그러다보니 좀 독립적인 구종이 되고 그렇습니다.
그리고 뭐 제구는... 안 그런 공이 어디있겠습니까만, 커브 자체의 제구가 예선이라면 본선은 패스트볼의 제구와 질입니다(..) 고전적인 투피치 파워 피쳐가 패스트볼-커브볼의 이지선다로 승부를 보는데, 이 때 기본적인 레파토리가 안쪽 높은 곳에 맞으면 죽을 것 같은 패스트볼을 던져서 기선제압해놓고 가장 많이 떨어지고 가장 오프스피드 효과가 좋은 커브를 던져서 배팅의 타이밍을 빼앗는 것이죠. 그래서 패스트볼이 애매하면 그냥 타자들이 커브는 안 쳐버리고 패스트볼만 때려버리게 됩니다. 반면에 이제 간혹, 시대에 한 두 명씩 커브마스터들이 나옵니다. 애매한 패스트볼과 미친 커브의 조합이 있는데... 이런 투수들은 치명적인 부상이 없는데 성적이 갑자기 뚝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나중에 시간되면 한 번 명단 뽑아서 쭉 볼까 생각 중인데, 저런 뛰어난 커브의 조절로 레파토리를 구성하는 선수들은 피칭 자체를 감각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고(이건 커브라는 변화구의 특성이기도 하고) 그렇기 때문에 파훼법이 나오고 자신감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 약점을 극복할만한 뚜렷한 개선책을 제시하기 어려워서가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크보 기준에서 그런 커브마스터는 누가 있을까요? 유희관...?
레지엔
한국은 딱 떠오르는 선수가 없습니다 저도. 유희관 선수는 오히려 무브먼트랑 레파토리 구성으로 조지는 타입이고... 일단 중고등학교때 커브를 메인으로 쓰는 선수 자체가 적은 편인데다가 기본적으로 평균 구속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이라...
바코드
유희관은 사실 이퓨즈 마스터랍니다
damianhwang
윤성환?? 뭐, 바카라 마스터이기도 하지만요
애매한 패스트볼과 미친 커브라면 (구속과 함께 이제는 7억도 잃은) 윤성환이 먼저 떠오르네요
좀 쉬고 나오면 제구된 직구가 통하니 커브도 통하고 직구가 애매해지면 맞아나가는게 그런 느낌이네요
헉 초장문
레지엔
글도 장문이니 리플도 장문해도 되는 거 아입니까!
여담인데, 하드 커브볼은 사실 따로 분류된 게 아니라, 커브볼을 묘사하는 수식어가 붙은 것입니다. 직구에다 \'돌\'을 붙이는 정도로 보시면 되겠네요. 보통 Hard가 붙는 커브볼은 속도가 더 나오는 커브볼을 말하고, Big이 붙으면 무브먼트가 큰 커브볼을 의미합니다. Hard Curve ball이라는 것은 결국 번역하자면 \'빠른 커브볼\' 정도 되겠죠. 은어로는 해머타입, 옐로우 해머라고도 합니다. 이에 비해서 큰 폭의 낙차를 가진 커브는 Big Curve ball 혹은 엉클 찰리라고도 하지요.
Beer Inside
야알못입장에서
한국에서 근대적 커브는 최동원
포스트 모던한 커브는 박찬호가 보여 줬다고 봅니다

최동원의 커브는 이것이 커브

박찬호의 커브는 커브여 땅볼이여 있죠

김진우선수는 무릅만 아니였으면 기아가 우승한번 더 했겠지요
김진우가 참 아쉽습니다.
체게바라
김진우 한창 직구 스트라잌 못던질때, 커브로만 4회넘게 끌고간 경기가 있습니다. 삼성전이에요. 체감상 80% 이상 커브만 던지는데도 못치더군요. 최고 변화구는 커브인가? 라는 생각이 들게 한 경기였습니다.
비슷한 사례로 손민한의 마에삼이 떠오르네요.
파란아게하
잘 보고 가요~
*alchemist*
그렇군요....!
야알못이라 휘어도 뭐가 뭔지 잘 모릅니다 크크
설명 해줘도 이게 커브? 슬라이더? 이랬는데 암튼 종적인 변화는 커브네요..!
김연아 경기 아무리 봐도 토룹/러츠 구분 안되던데 비슷한 느낌이겠죠? 크크
*alchemist*
연아느님은 사실 암것도 모르고 봐도 워낙 압도적이셔서요 크크;;
비슷..한 느낌이긴 하겠지요 아마 흐흐흐흐흐;
수행이 부족하신 겁니다!! 저는 김연아 선수 덕에 피겨 점프에 대해서 엄청 공부했더니 구분이 되더라구요. 사실, 그렇게 오래 본 야구에서 저게 무슨 구질인지 대번에 맞추는 건 퍽 힘들었는데, 피겨 점프는 비교적 수월하게 구분되더군요 크크크
단디쎄리라
저는 맨날 봐도 몰라요 크크크
그냥 어느선수가 커브잘던진다하면
결정구일 때 휘면 오 커브쩌네하는데
공 움직임 + 선수정보 + 구속으로 찍습니다 크크
*alchemist*
크크크크크 그런 방법도 있군요!
최연진
딴건 대충 이해 가는데 14번은 잘이해가 안가는데 누가 설명좀 해주세요 ㅠ.ㅠ
백스핀인거랑 아직 날라가고있네??? 생각 보다 비거리가 잘나오는 이유가 ;
레지엔
보통 던지는 공, 패스트볼을 예로 들자면 공의 회전방향이 투수 기준에서 위->아래로 떨어지는 회전이 됩니다. 그러니까 당구로 치면 투수가 끌어치기(히키)를 한 것과 똑같죠. 반면에 커브는 공의 회전방향이 투수 기준에서 아래->위로 올라가는 회전이 됩니다. 당구로 치면 밀어치기(오시)를 한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타자가 정확히 맞추고, 반발력을 상쇄할만큼의 충분한 힘을 배트에 전달한다면 결과적으로 벽이나 쿠션에 맞춘 것과 똑같은 효과가 나타나고 회전력만큼의 반발력이 비거리로 이어지게 됩니다.
... 라는게 이제 이론적 설명입니다만, 실제로는 인간이 던지는 수준에서의 스핀 정도로는 저런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커브 잘 맞으면 비거리가 잘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공이 느리고 운동에너지의 소실이 빨라서 때리는 시점에 반발력이 적기 때문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5 농구골든스테이트가 역사를 쓰고있네요 16 jsclub 16/04/11 5415 0
9 야구불문율: 메이저리그의 '세레모니'에 대해 47 kpark 15/06/01 13941 0
25 야구강렬한 직관의 기억들 11 kpark 15/06/02 10433 0
27 야구이승엽 KBO 통산 400호 홈런 달성! 11 kpark 15/06/03 11322 0
62 야구KBO 3차 이사회 결과 - 메르스로 시즌 중단 없음. 12 kpark 15/06/09 8605 0
55 야구[스탯] 쟤는 볼 때마다 털리는거 같은데 왜 성적이 좋지? - LOB% 34 kpark 15/06/06 12505 0
50 야구NC 다이노스의 찰리 쉬렉이 방출됐습니다. 4 kpark 15/06/05 10851 0
69 야구달라진 막둥이, KT 위즈의 상승세 5 kpark 15/06/12 9308 0
74 야구스핏볼과 이물질, 걸리는 놈이 바보? 20 kpark 15/06/13 13119 0
78 야구[스탯] 잔루율(LOB%)에 대한 쬐끔 아쉬운 기사 하나 1 kpark 15/06/16 11572 0
86 야구[한화] 마의 3연패 징크스(?)가 깨졌습니다. 28 kpark 15/06/19 8920 0
91 야구[MLB] 알렉스 로드리게스, 3천번째 안타를 홈런으로 장식 36 kpark 15/06/20 10561 0
93 야구또? 부상에 발목을 잡힌 추신수 3 kpark 15/06/21 7841 0
108 야구미국 동성결혼 합법화 기념(?) - 게이 동료에 대한 MLB 선수들의 인터뷰 1 kpark 15/06/27 10000 0
314 야구커브 27 kpark 15/10/23 8915 1
111 야구시즌 50%를 소화한 한화를 돌아보며 25 kpark 15/06/29 9190 0
116 야구왜 1군에 있는지 모르겠는 선수들 39 kpark 15/07/02 8351 0
131 야구MLB 올스타전과 한 손님의 이야기 13 kpark 15/07/15 8301 0
141 야구비정한 롯데, 비정한 야구계 9 kpark 15/07/21 9860 0
145 야구불을 지르는 이종운 감독... 8 kpark 15/07/22 8160 0
162 야구인정할 것은 인정해야... 67 kpark 15/07/29 10003 0
165 야구후반기 반전을 도모 중인 추신수 3 kpark 15/07/30 7976 0
184 야구한화에게 또 다시 악재가? 10 kpark 15/08/11 9178 0
188 야구오늘 야구 게시판 출입을 삼가시기 바랍니다. 39 kpark 15/08/12 9733 0
199 야구LG담당 기자의 트위터 Q&A(내용 추가) 6 kpark 15/08/18 902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