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게시판입니다.
Date 15/09/17 01:02:40
Name   kpark
Subject   패스트볼
1. 어원
- [패스트볼]의 원어는 [Fastball]입니다. 직역하면 [빠른 공]이 됩니다. 그러나 다들 아시다시피 이 구종은 [직구]로 번역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 [직구]는 일본을 통해 수입된 단어라는 게 통설입니다. 일본에서는 이 공을 [ストレ―ト], 즉 [스트레이트]라고 합니다. 직선으로 쭉 뻗어 들어오는 공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같은 의미를 살려서 [まっすぐ], [맛스구]라고도 합니다. '똑바로'라는 뜻의 일본어입니다.

- 하지만 패스트볼이 실제로 직선 경로로 들어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공이 회전하면서 직선운동을 하기 때문에, 공기 저항에 의해 상하좌우로 경로가 변하게 됩니다. 그나마 요즘에는 이런 사실이 팬들 사이에 많이 알려졌습니다.

- 그래서 [패스트볼][직구]라고 부르는 게 어폐라는 주장이 계속해서 나왔습니다. 직선으로 오는 공이 아니니까요. 대신에 원어 그대로 [패스트볼]이나 [빠른 공], [속구]란 단어를 정착시키려는 시도가 계속 있지만 잘 정착되진 않았습니다.



2. 종류
- 그런데 요즘 메이저리그를 보면 패스트볼이 한 종류가 아닙니다. 넓게 보면 한 5가지 종류가 [패스트볼]의 범주에 속합니다.

- 공을 잡는 방법으로 나누면 [포심 패스트볼][투심 패스트볼]이 있습니다. 전자는 흔히 말하는 [직구]입니다. 그런데 후자는 대놓고 직구이기를 거부하며 휘어지는 공입니다. 하지만 [패스트볼]답게 빠른 구종입니다.

- 최근 한국 야구에서도 많이 보이는 [커터][싱커]도 패스트볼의 직계에 속합니다. [컷 패스트볼], [싱킹 패스트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커터는 패스트볼과 슬라이더의 중간에 속합니다. 싱커는 궤적 끝에서 살짝 땅으로 가라앉습니다.

- [싱커][투심]은 너무 비슷해서 다른 구종으로 분류해야 할 필요성이 의심될 지경입니다. 요즘엔 구속의 차이도 거의 없어요.

- [스플리터]도 넓게 봤을 때 패스트볼의 한 계통입니다. 포크볼의 사촌입니다. 사실 처음 나왔을 때부터 이름이 [스플릿 핑거 패스트볼]이었습니다. 손가락 벌리고 던지는 패스트볼이란 뜻이지요. 벌렸죠?

- 그렇습니다. 포심, 투심, 커터, 싱커, 스플리터... 다 넓게 봤을 때 [패스트볼]입니다.



3. 제구
- 패스트볼의 특징은 뭐니뭐니해도 [가장 빠른 공]이라는 겁니다. 그리고 투수가 가장 많이 던지는 공입니다(너클볼러는 제외).

- 제일 많이 던지는 이유는 의외로 싱겁습니다. 컨트롤하기 제일 쉽기 때문입니다. 제 생각에 이거 모르는 팬들이 꽤 될 겁니다.

- 아 물론 빨라서 타자가 대처하기 어렵다는 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일 큰 이유는 아닙니다. 사실 프로 1군에 뛸 정도면 어지간한 빠른 공은 한가운데로 오면 다 칠 수 있습니다. 예전에 추신수 선수가 명언 하나 했지요. [시속 95마일짜리 직구를 못치면 밥값 못한 기분이 든다]라고.

- 투수가 못하면 팬들이 가끔씩 한마디 합니다. 변화구 좀 섞어서 던지라고요. 지금은 아니지만 예전엔 그런 말 보면 좀 답답했습니다. 야구가 게임도 아니고 말이죠.

- 못 던지는 이유도 간단합니다. 컨트롤이 안되니까요. 류현진이 체인지업을 많이 던지는 건 그만큼 제구가 잘 되는 구종이기 때문입니다. 커브를 적게 던지는 건 반대로 제구가 잘 안돼서 입니다.

- 한복판에 몰린 패스트볼은 타자의 연봉상승 촉매제입니다. 하지만 알면서도 패스트볼을 던지는 건, 변화구를 던질 때보다 그렇게 몰릴 확률이 적어서입니다. 누군들 한가운데다 던지고 싶겠어요?

- 유희관이 시속 130km짜리 패스트볼로 먹고 사는 건 그만큼 컨트롤을 잘하기 때문입니다.



4. 조화
- 패스트볼을 살리는 건 첫째로 컨트롤입니다. 패스트볼의 컨트롤. 둘째로 변화구입니다.

- 야구 최초의 변화구, [커브]가 등장한 이래 패스트볼과 느린 변화구의 조합은 밥과 김치찌개의 조합만큼 찰떡궁합이자 정석적인 공략법이 됐습니다.

- 네놈의 공격 패턴! 강약약 강강강약 강중약! 알아내도 결과는 헛스윙 삼진입니다. 인생이 원래 그래요.

- 반대로 변화구를 살리는 것도 [패스트볼]입니다. 주구장창 변화구 던져도 안 속아요.

- 보리, 쌀, 보리보리보리 쌀쌀쌀! 만고의 진리입니다.



5. 양단
- 패스트볼만큼 사기치기 좋은 구종도 없습니다. 허를 찌르는 몸쪽 공, 타자를 우롱하는 높은 공, 바깥쪽 퇴근 존에 걸리는 꽉찬 공...

- 이게 다 컨트롤이 되서 그렇습니다. 대류... 컨트롤이 최고다.

- 반면 컨트롤이 안되고 받쳐주는 변화구가 없으면 타자에게 제일 쉬운 먹잇감입니다.

- 한국인의 주식은 밥입니다. 살면서 밥 싫어하는 한국인 못 봤습니다. 마찬가지로 패스트볼 싫어하는 타자 없습니다.



6. 타이밍
- 물론 어지간히 빠른 공은 치기도 어렵습니다. 근데 프로 수준 가면 공 보고 치는게 아니고 눈감고 휘두르는 수준입니다. 레알.

- 정확히는, 선수들의 증언(?)에 따르면 처음 공이 나오는 궤적을 보고 대충 타이밍, 예상 도착점을 그리고 휘두르는 거라고 합니다.

- 중요한 건 타이밍입니다. 막 미친듯이 라이징 라이징징 하지 않는 이상 궤도는 대충 맞는다 해도 타이밍이 안 맞으면 파울이나 헛스윙입니다.

- 여하튼 패스트볼은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투수들도 타자들의 메트로놈을 망가트리려고 무진 애를 씁니다. 변화구도 던지고, 타임도 요청하고, 일부러 느리게도 던져보고...



7. 공포
- 패스트볼의 또 다른 무기는 [공포심]입니다. 공기를 가르면서 날아오는 공은 상상외로 두려운 존재입니다.

- 아까 패스트볼을 제일 많이 쓰는 게 컨트롤 때문이라고 했는데 죄송. 공포심도 그 이유에 한몫 합니다.

- 머리 쪽으로 날아온 공에 맞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한동안 [트라우마]에 시달리게 됩니다. 생각보다 벗어나기 많이 힘듭니다. 몸쪽에 맞는 것도 비슷하게 아픕니다.

- 그래서 똑똑하고도 야비한 투수들이 이 공포심을 많이 써먹었다고 합니다.

- 약쟁이가 되긴 했지만 성적만은 세계최강이었던 로저 클레멘스가 그 중 한 명입니다. 별명이 [헤드헌터]였습니다. 무지막지하게 몸쪽 공을 쏴댔다고.

- 돈 드라이스데일이란 전설적인 투수가 있습니다. ['타석에서 홈플레이트에 가까이 붙는 놈이 있으면 내 할머니라도 맞춰버리겠다.'] 명언입니다 명언...

- 물론 보복구에 대한 두려움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보복구가 다 패스트볼인건 제구가 쉬워서 맞추기 쉽고, 맞췄을 때 아프니까...입니다.

- 롯데 감독이었던 제리 로이스터는 투수가 공격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이면 불같이 화를 내곤 했습니다. 몸쪽 공에 주저하는 모습이 보이면 마운드를 향해 이렇게 외쳤다지요. ['Fxxxing Inside!']



8. 잡설
- 패스트볼은 사실 두 가지입니다. Fastball하고 Passed ball입니다. 이상하게 둘 다 우리말로 적을 땐 똑같이 적던데... 그래서 Passed ball은 보통 [포일]이라고 합니다. 알까기가 더 친숙하긴 합니다.

- 구속을 처음 측정하기 시작한 뒤로 세계 최고 기록은 아롤디스 채프먼이 기록한 시속 105마일, 약 170km/h짜리 패스트볼입니다. 어후...

- 류현진은 작년 평균 시속 90.9마일을 기록했습니다. 140이닝 이상으로 기준을 잡으니 72등이었네요.

- 사실 야구장에서 제일 빠른 공은 투수가 던지는 게 아니고 타자가 친 공입니다. 올해 지안카를로 스탠튼이 친 홈런이 시속 120마일, 약 시속 193km로 제일 빨랐습니다. 리얼리 리얼리 패스트 볼.

- 저는 [빠른 공]을 썼다가 [패스트볼]을 썼다가 [속구]를 썼다가 [포심]을 써보기도 했습니다. 요새는 그날그날 기분타는 대로 씁니다.

- [직구]도 씁니다. 다만 좀 진지하게 쓸 때는 안 씁니다.

- 갑자기 생각나서 주저리주저리 해볼라고 쓴건데 쓸데없이 길어졌습니다(...)



5


바코드
1. 사실 커쇼 공을 보면 패스트볼이 직구가 맞는걸로...
2. 커터와 하드 슬라이더는 아직까지 구분이 잘 안가요. 커쇼가 쓰는거야 워낙 궤적이 달라 그러려니 하는데 제가 잘 모르는 선수가 던지면(...)
3. 우리나라에서도 라이징 패스트볼이 많아졌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제구도 안되면서 언제까지 낮게 던질거야...
4. 선발투수의 구종이 그렇게 많이 필요없다는 입장에서 사실 패스트볼 구종 중 2개만 잘 익히고 수많은 변화구 중 하나만 배워도 저는 메이저에서 성공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어려워서 그렇지(...)
damianhwang
4번에 대해서 ;-) 선발투수에게 요구하는 구종이 보통 3가지입니다만, 하나는 속구고, 나머지 두개가 문젠데. 보통 우투수 기준으로 좌타자용 하나, 우타자용 하나 그렇게 해서 사실상 2피치가 됩니다.
우리나라 투수들 기준으로 직구 슬라이더가 우타자용, 직구 써체가 좌타자용 레파토리가 되는거죠.
이유야 뭐 휘어져 들어오는게 눈에 뻔히 들어오면 치기 쉬워서이고, 바깥쪽으로 공이 달아나든지, 아니면 종으로 크게 떨어져야 타자가 치기 어려워서이지 않나 싶네요\';
(바깥쪽으로 공이 달아나는게 스크류볼 같은게 있는데, 이거 던지다가는 ... 더 보기
4번에 대해서 ;-) 선발투수에게 요구하는 구종이 보통 3가지입니다만, 하나는 속구고, 나머지 두개가 문젠데. 보통 우투수 기준으로 좌타자용 하나, 우타자용 하나 그렇게 해서 사실상 2피치가 됩니다.
우리나라 투수들 기준으로 직구 슬라이더가 우타자용, 직구 써체가 좌타자용 레파토리가 되는거죠.
이유야 뭐 휘어져 들어오는게 눈에 뻔히 들어오면 치기 쉬워서이고, 바깥쪽으로 공이 달아나든지, 아니면 종으로 크게 떨어져야 타자가 치기 어려워서이지 않나 싶네요\';
(바깥쪽으로 공이 달아나는게 스크류볼 같은게 있는데, 이거 던지다가는 진짜 팔 뽑는 수가 있어서;;)

메이저리그 투수들 기준이면 속구-변형속구(투심이나 커터류겠죠)-브레이킹볼 하나 (커브나 써체?) 대략 그런 스타일인 듯 합니다.

일본투수들은 포크볼이 주 레퍼토리고, 한국투수들은 슬라이더가 주레퍼토리인데, 메이저 투수들은 워낙에 다양해서;;;
1. 그분은 예외로 합시다. 존함을 적기도 죄송하네요.
2. 저도 그렇습니다. 요샌 슬라이더라면서 시속 144는 그냥 넘기는 사기꾼들이 너무 많아요.
3. 우선 제구나 좀 잘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하긴 다이나믹함과 아스트랄함이 한국야구의 참맛이긴 합니다.
4. 저는 (제일 흔한)포심 외의 패스트볼도 변화구 숫자에 넣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포심-커터-체인지업 컨트롤이 되면 사실상 3피치 투수에요. 그만큼 커터/싱커/투심 마스터하기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레지엔
1. 직선으로도 잘 가는거지 막상 무브먼트 보면...
2. 구종 구분이 그립 기반/무브먼트 기반이 혼재되어 있어서... 근데 어차피 그립은 개별화가 심하다는 걸 생각하면 둘을 구분하는게 큰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특히 릴리스 포인트 조절이 잘 된 하드 슬라이더는 커터랑 용도에서 아무 차이가 없죠.
3. 구속도 애매하고 폼도 그렇고 사실 스트라이크 존 자체가 라이징 패스트볼에 불리합니다. 특히 존 외곽에서 살살 걸치는 걸 주문하는 감독들이 여전히 많아서...
4. 메이저 기준으로 패스트볼 두 개 + 변화구 중 하나... 정도로... 더 보기
1. 직선으로도 잘 가는거지 막상 무브먼트 보면...
2. 구종 구분이 그립 기반/무브먼트 기반이 혼재되어 있어서... 근데 어차피 그립은 개별화가 심하다는 걸 생각하면 둘을 구분하는게 큰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특히 릴리스 포인트 조절이 잘 된 하드 슬라이더는 커터랑 용도에서 아무 차이가 없죠.
3. 구속도 애매하고 폼도 그렇고 사실 스트라이크 존 자체가 라이징 패스트볼에 불리합니다. 특히 존 외곽에서 살살 걸치는 걸 주문하는 감독들이 여전히 많아서...
4. 메이저 기준으로 패스트볼 두 개 + 변화구 중 하나... 정도로는 레파토리 구성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레파토리에서 시대 착오지만 성적은 다른 의미에서 시대 착오였던 랜디 존슨도 쓰리피치 구성에다가 서브로 스플리터도 던지고 그랬죠. 어차피 궤적 연구는 시즌 다 가기 전에 끝나는 거고 결국 알고도 못 칠 상황을 못 만들면 선발로 성공할 수가 없는데, 말씀하신 구성으로는 좀 무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포심-투심-체인지업에 체인지업이 종변화가 좀 좋고 여기에 횡변화구 하나 정도 더 추가하면 그럭저럭 구성이 나오긴 하는데... 어차피 언젠가는 구위가 떨어지고 분석도 당하고 반면에 레파토리 수정은 시간이 걸린다는 걸 생각하면, 슬커체에 무빙 패스트볼 구성 정도는 해야 좀 얘기가 되지 않나 싶어요. 다 잘할 수도 없고...
바코드
자꾸 커쇼 이야기를 해서 죄송합니다만...
커쇼의 슬라이더도 어느 순간부터 (아마 2014년부터) 하드 슬라이더로 바뀌면서 패스트볼화 되어버렸습니다. 포텐 터지기 전에는 81~83마일 하던 평균구속이 최근에는 87.8마일까지 올라갔습니다. 지금은 기존의 슬라이더는 아예 던지지 않고 있죠. 물론 체인지업도 찍히긴 한데 2015년 기준 0.6%로 그냥 보여주기 식 공이 되어버렸으니 이건 예외로 칩시다.
제가 야구 이론을 하나도 모른 상태에서 좀 이상한 생각일 수도 있는데, 둘중에 하나일 수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1. 빠른 볼 던지다가 커브같은 극단적인 브레이킹 볼이 아니라면 그냥 궤적을 바꾼 채 빠르게 던지는게 낫다고 생각한 것일까?
2. 지나친 구속변화는 투수의 몸에 무리가 가지 않을까?
레지엔
뭐 분석을 좀 더 심도있게 해야겠는데, 기본적으로 커터그립이 슬라이더 그립보다 팔 부하가 덜할 것이다라는 추정이 있습니다. 상박 회전각이 적어서... 그래서 만일 커쇼가 그립을 커터 그립으로 바꿨다면 이러한 부분도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실 그거보다 큰 건 대세 자체가 각이 큰 슬라이더보다 디셉션이 용이하고 \'빠르고 빠르고 빠르게\' 혼동을 주는 레파토리가 대세이다보니 커터 혹은 커터성 슬라이더로 변화했을 가능성입니다만... 진짜 이유는 사실 알기가 좀 어렵습니다.
그리고 구속변화는 부상하고 분명히 연관이 있는데, 구속변... 더 보기
뭐 분석을 좀 더 심도있게 해야겠는데, 기본적으로 커터그립이 슬라이더 그립보다 팔 부하가 덜할 것이다라는 추정이 있습니다. 상박 회전각이 적어서... 그래서 만일 커쇼가 그립을 커터 그립으로 바꿨다면 이러한 부분도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실 그거보다 큰 건 대세 자체가 각이 큰 슬라이더보다 디셉션이 용이하고 \'빠르고 빠르고 빠르게\' 혼동을 주는 레파토리가 대세이다보니 커터 혹은 커터성 슬라이더로 변화했을 가능성입니다만... 진짜 이유는 사실 알기가 좀 어렵습니다.
그리고 구속변화는 부상하고 분명히 연관이 있는데, 구속변화\'때문에\' 부상이 오는가는 좀 논란거리입니다. 구속 증가를 위해서 폼을 수정하다가 부상이 올 수도 있고, 피지컬 트레이닝 과정에서 오버트레이닝이 올 수도 있고... 반대로 구속 저하는 꽤 명백한 데드암 징후 중 하나죠. 근데 이제 특정 구질의 공을 무브먼트를 줄이고 벨로시티를 올리는(... 근데 커느님 하드 슬라이더는 무브먼트가 별로 많이 안 준 거 같은데 아무튼) 경우는 상대적으로 부상 위험이 좀 적을 겁니다. 반대의 경우는 보통 팔을 뒤틀거나 스텝을 옆으로 밟거나 하는 경우가 많은데 벨로시티를 올릴 경우는 그립을 바꾸고 더 밀어주는 쪽으로 가니까... 근데 뭐 이건 전반적으로 브레이킹볼이 패스트볼 아류 계열보다 부하가 더 크다는 전제 하에 그런 것이지 실제로 그러한가는 좀 더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일단 메쟈쪽의 대세는 악력되고 손목고정 되고 상체 고정되고 힙드라이브 잘 줄 수 있다면(=툴이 좋다면) 고전적인 브레이킹볼 대신 변종 무빙 패스트볼과 체인지업으로 레파토리를 구성해라이긴 합니다 확실히.
바코드
동의합니다. 변형된 빠른 공들의 성향의 궤적이 갈수록 브레이킹볼화 되는것이 큰것 같습니다. 리베라나 잰슨의 커터같이 그냥 무식한 손가락힘으로 이겨내는 커터가 아니라면 특히 스플리터는 대놓고 가라앉는 공이고, 싱커는 잘 던질수만 있다면 무브먼트가 원체 심한 공이니까요. 저는 특히 이런 공들까지 같이 가지고 있다면 제구 부분에서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브레이킹볼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을 들이고 좋은 공을 가질 수 있다고 봅니다.
결론은 커쇼사기.
레지엔
뭐 커터인데 남보다 잘 휘는 거 하나, 싱커인데 남보다 낙폭 큰 거 하나 들고 있고 포심 평속 92마일은 넘겨준다면 저거 세 개에 체인지업 양념만 쳐도 사기이긴 할 겁니다. 근데 제 편견일지 모르겠는데 하드 싱커 잘 던지는 선수치고 다른 변화구가 좋거나 포심이 미친 케이스가 없어서(..)
그 점에서 고전적인 쓰리피치 스타일의 커쇼는 참... 이 시대에 저러고도 최강 투수라니 이게 무슨 게임인가...
레지엔
패스트볼을 직구로 부르는 것이 역으로 투수에게 영향을 주는 부분이 좀 있다고 보는데, 예컨대 일본의 \'슈트\' 논란같은 게 그렇죠. 내추럴 무빙을 의도적으로 교정할 것을 주문하는 경향이 있는데 패스트볼은 직선으로 쭉, 빠르게 꽂혀줘야 제 맛이라는 사고가 지배하고 있고 이게 어떤 의미에서 언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일본 야구(특히 일본 야구 게임)로 야구에 입문한 분들이 구종과 구질의 구분에서 상당히 잘못된 관념을 가지고 있는 것도 그렇고.
그리고 패스트볼이 가장 제구가 쉬운가는 뭐 원론적으로 맞는 얘기... 더 보기
패스트볼을 직구로 부르는 것이 역으로 투수에게 영향을 주는 부분이 좀 있다고 보는데, 예컨대 일본의 \'슈트\' 논란같은 게 그렇죠. 내추럴 무빙을 의도적으로 교정할 것을 주문하는 경향이 있는데 패스트볼은 직선으로 쭉, 빠르게 꽂혀줘야 제 맛이라는 사고가 지배하고 있고 이게 어떤 의미에서 언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일본 야구(특히 일본 야구 게임)로 야구에 입문한 분들이 구종과 구질의 구분에서 상당히 잘못된 관념을 가지고 있는 것도 그렇고.
그리고 패스트볼이 가장 제구가 쉬운가는 뭐 원론적으로 맞는 얘기인데 이것도 파고 들어가보면 애매한 영역이 있습니다. 손가락 붙일수록, 멀리 둘수록 공은 빨라지는데 릴리스 포인트는 미묘하게 흐트러지기 쉽습니다. 손가락 벌리면 좀 더 쉽고... 그 점에서 투수가 던질 수 있는 공 중 가장 안정적인 확률이 높은 건 투심 그립을 약간 손가락 벌리고 손바닥에 붙여서 던지는건데, 이렇게 되면 투심성/싱커성 패스트볼이 되거나 체인지업이 되거나... 사실 대부분은 그냥 좀 느리고 좀 애매한 아리랑볼이 되죠(..) 그리고 사실 공을 배우는 시점이나 매커니즘에 의한 영향이 작지 않은데, 기본적으로 어깨-팔꿈치-손목 각도의 변화가 크지 않고(=처음 폼을 배울 때 스탠더드하게 교정하기 쉽고) 또 볼배합의 매커니즘은 \'빠른 걸 보여주고 변화가 큰 걸로 잡는다\'에서 뒤집거나 역으로 가거나 그런 것이기 때문에 결국 처음 시작할 때 패스트볼부터 배우게 되고 그래서 많이 던지다보니 제일 익숙하고 제일 영점 조절이 잘되는... 그런 영향이 크지 않나 싶습니다. 뭐 슬라이더나 커브처럼 애초에 무브먼트 자체가 남다른 공은 아무리 영점 조절 잘해봐야 패스트볼 넘기가 쉽지 않지만, 투심과 포심 중에 뭐가 더 영점 조절이 잘 될 포텐셜이 큰가에서는 투심의 손을 들어주는 부분도 꽤 있어서...

아무튼 글 잘 봤습니다.
Azurespace
타자가 보고 친다는건 사실 반응속도상 불가능에 가깝죠. 포수가 잡는것도 힘든데..
구체적인 데이터는 기억이 안 나긴 하는데... 포심이 95마일인가 그쯤 넘어가면 그때부터는 마일 단위로 헛스윙 비율이 증가하더군요. 100마일과 95마일조차 천지차이였고요. 그니까 여러분 재능러가 짱입니다.
최종병기캐리어
그래서 스카우터들이 \'신체조건\'을 우선시할 수 밖에 없죠...
레지엔
보통 프로 타자의 기준이 \'95마일 직구를 알면 때려버릴 수 있다\'니까... 바꿔 말하면 모르면 못 때리고... 100쯤 가면 알아도 못 때리고... 내가 본즈면 100마일 그까이꺼 보고 때리고... 다 그런거죠 뭐.
BraveGuy
저는 요시 그란도시즌의 경우처럼 좀 틀린뜻이지만 직구라는 표현이 거부감은 없네요
애패는 엄마
다른 분들이 워낙 좋은 설명을 해줬고
패스트볼인 가장 위력적인건 가장 제구가 쉬워서도 있지만 가장 빨라서도 있습니다.
가장 빠른게 가장 위력적이죠.
사회인 야구 3부리그에서 110~120만 멀쩡하게 던져도 씹어먹을 수 있고
2부리그에서는 120~130만 던지면 씹어먹고
1부리그에서 130 이상 던지면 씹어먹습니다.

우리나라 야구에서는 평속이 150처럼 던져대면 역시나 씹어먹고 mlb도 그이상이면 가능하죠.
(참고로 다 씹어먹는 기준이지 통하는 거면 저것보단 더 낮죠.)
레지엔
8회까지 평속 150으로 던지면서 슬라이더 하나쯤 가지고 있으면 포수가 못 받아서 페일....?!
huckleberryfinn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추천드리고 갑니다.
그리고 추신수 선수가 한 말은 아마 90마일이었을 거에요. 145km 정도네요.
미국에서도 95마일이면 굉장히 빠른 구속이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53 야구패스트볼 17 kpark 15/09/17 10132 5
255 야구밀어치기 12 kpark 15/09/17 12526 4
634 야구김현수 계약 현재 상황 정리 13 kpark 16/03/29 7830 3
357 야구[스탯] 초보용 WAR 입문 11 kpark 15/11/19 6716 3
218 야구[스탯] 세이브 조작단을 검거해보자 - WPA 6 kpark 15/08/31 10468 3
774 야구우리 동네 야구단 - 고양 다이노스 2 키스도사 16/05/26 6022 2
571 야구[3.4]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박병호 1타점 적시타) 3 김치찌개 16/03/04 5479 2
379 야구FA시즌 기사 해석 7 kpark 15/11/26 7939 2
244 야구한화 팬들도 잘 모르는 한화 이야기들 23 Raute 15/09/11 12568 2
808 야구약으로... 아니 야구로 승부하자 21 2Novation 16/06/15 9511 1
777 기타[F1] 2016 월드챔피언십 중간 결산 ① : 메르세데스 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6 6382 1
764 야구내셔널스의 네번째 10경기 8 나단 16/05/19 5049 1
674 야구넥센보다 못하는 팀이 있다면 그 팀은 정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 8 졸려졸려 16/04/11 5733 1
673 축구리그 1위팀이 강등권 팀을 이겼을 뿐인데 7 기아트윈스 16/04/11 5276 1
566 야구엑스포스의 마지막 드래프티 이안 데스몬드 5 나단 16/03/01 6727 1
545 축구무리뉴의 맨유행에 즈음하여 (컬럼 소개) 18 기아트윈스 16/02/15 8374 1
479 축구아스날 15-16 시즌 전반기 리뷰 3 Arsene 16/01/01 15999 1
480 야구2015 한화 이글스 리뷰 11 kpark 16/01/01 9388 1
531 야구조선의 4번타자, 시애틀 이적 확정!! 15 Darwin4078 16/02/03 6326 1
378 야구메이저리그도 이제 고학력 시대 10 kpark 15/11/26 8991 1
347 축구68-69 시즌, 아약스 vs 벤피카의 혈전 1 구밀복검 15/11/11 7765 1
328 야구노경은의, 노경은에 의한,노경은을 위한 하루(KS 4차전) 2 kpark 15/10/31 8173 1
305 야구[10.15]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추신수 포스트시즌 1호 솔로 홈런) 김치찌개 15/10/15 6618 1
303 야구스탯티즈 오픈 12 kpark 15/10/14 9395 1
293 야구[MLB] 기립환영 받는 강정호.swf 1 김치찌개 15/10/09 8464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