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이야기를 자유롭게
- 코인이야기도 해도 됨
남강부엉이 21.02.26 18:28 수정됨
주식투자의 기본적인 구조는 친구와 함께 편의점을 운영하는 것과 같습니다. 편의점이 아니면 식당이라도 괜찮고 카페라도 괜찮지요. 나 혼자 운영하기엔 돈이 부족하니까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 여럿 모여서 돈을 모으고 그 돈으로 편의점 운영을 하는 거죠. 여기서 동업자중 한 명이 직원이 될 수도 있고 새로 직원을 고용해서 월급을 줄 수 있겠죠. 그리고 거기서... 더 보기
주식투자의 기본적인 구조는 친구와 함께 편의점을 운영하는 것과 같습니다. 편의점이 아니면 식당이라도 괜찮고 카페라도 괜찮지요. 나 혼자 운영하기엔 돈이 부족하니까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 여럿 모여서 돈을 모으고 그 돈으로 편의점 운영을 하는 거죠. 여기서 동업자중 한 명이 직원이 될 수도 있고 새로 직원을 고용해서 월급을 줄 수 있겠죠.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수익을 동업자들끼리 분배하는 것입니다.
단지 기업은 그 규모에 있어 훨씬 큰 자본이 필요하니 더 많은 사람들이 돈을 모으고, 급하게 돈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증권거래시장이 생긴거죠. 어쨌든 그 원리 자체는 완전히 같습니다.
그러나 주식시장에는 약간 특이한 움직임이 생깁니다. 단지 이 지분의 거래가격이 '오른다'는 이유 많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지분을 구매하고 싶어합니다. 실제 그 기업의 실적과는 무관하게, 그냥 오르니까 사는거죠. 편의점을 운영하는데 편의점의 매출도, 수익도 오르지 않는데 단지 편의점의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이 편의점을 인수하고 싶어할 사람은 잘 없을겁니다. 그런데 이런 일이 주식시장에서는 일어난다는 거죠.
케인즈는 이를 두고 '더 큰 바보 이론' 으로 설명했습니다. 이미 가격이 정상적이지가 않은데 내 뒤에 더 많은 바보가 있을 거라 생각하고 다들 이 자산을 사는 거죠. 그리고 이 바보는 한없이 들어올 수가 없습니다. 결국 내 뒤에 들어오는 바보가 없으면 더 이상 그 주가는 유지되지 못하고, 이제는 반대의 모양새가 나오죠. 가격이 계속 줄줄 떨어지게 되는 겁니다. 기업은 결국 수익을 내고 이 수익을 주주들에게 그 기업이 평가받고 있는 가치만큼 분배하거나 자산을 늘려야 그 가격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편의점의 가치는 그 편의점이 버는 돈과 같고 편의점이 그냥 아무 근거 없이 비싸다면 그 비싼 가격이 유지될 수는 없겠죠. 너무나 상식적인 이야기입니다.
주식의 매수를 이런 편의점을 인수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해보면, 가격이 터무니 없다면 아무도 편의점을 사고싶어하지 않을 겁니다. 그런데 편의점 가격이 내가 평가하는 가격보다 훨씬 싸다면? 이건 당연히 가서 인수를 해야 하는거죠. 운영은 이미 직원들이 해주고 있을테니까요. 마찬가지로 주식 또한 내가 이 기업을 직접 사서 운영한다고 생각하면 정말 선뜻 손이 안 가는 주식들이 사방에 넘쳐날 겁니다. 시총 1조~2조가 비현실적이라면 1억~2억으로 바꿔서 봐도 됩니다. 그리고 사고 싶은 몇몇 기업들은 눈에 띌 수도 있겠죠.
부동산이든 카페든 편의점이든 이런 걸 인수해서 운영하려면 정말 많은 걸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상권, 유동인구, 매출, 영업이익, 일하는 알바들, 점장의 능력. 같이 인수하는 동업자의 정직성등을 다 보겠죠. 이렇게 보면 주식도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이 회사와 동업하기 위해선 많은 걸 봐야 해요. 그리고 무엇보다 가격이 매력적인지를 봐야 겠죠. 그리고 일단 인수를 하면, 단기적인 편의점 가격 전망이 변한다고 해서 금방 다시 팔진 않을 겁니다. 돈 잘 벌고 일 잘 하고 있는데 굳이 팔 이유가 없죠. 코스피와 부동산 둘다 지속적으로 우상향을 했으나 주식은 패가망신한다는 속설이 있고 부동산으로는 돈 번다는 속설이 있죠. 부동산은 다들 단기적인 가격 대응을 하지 않고 잘 '들고' 있었으니까요.
효율적 시장 가설이라는 게 있습니다. 모든 주식은 그 정보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고, 어떤 주식을 사도 수익률의 기댓값은 똑같으며 단지 위험을 피하기 위해 종목을 최대한 많이 분산하는 게 중요하다는 거죠. 이 걸 다른 말로 하면 어떤 종목을 그냥 찍어서 계속 '들고'만 있으면 적어도 주식시장의 평균 수익, 연 8~9%의 수익 정도는 기대할 수 있다는 겁니다. 만약에 시장이 조금이라도 비효율적이고 내가 선구안이 있어서 좀 더 좋은 종목들을 들고 있는다면 수익률을 더 올릴 수 있겠죠.
즉 애초에 내가 내 뒤에 바보가 있을 거란 생각으로 주식을 산 게 아니라 좋은 종목을 싸게 잘 골랐고 영업활동도 잘 하고 있다면 단기적인 하락에 조금은 무덤덤해질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런 하락 상승 추세는 내가 예측한다고 해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게 아니죠. 그리고 섣부르게 시장에서 나오면 안 된다는 것도. 피터 린치의 마젤란펀드는 13년동안 27배가 올랐는데 린치가 은퇴후 자신의 고객들을 분석해보니 이런 펀드에서도 무려 절반은 돈을 잃었다고 하죠. 단기적인 대응을 하다가.
누구는 주식시장에서 돈을 벌게 해 주는 것은 배짱이고 이 배짱은 아무나 가질 수 없다라고 했지만, 사실 그 배짱을 조금이라도 가질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잘 분석해서, 좋은 종목을, 싸게 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은 지루한 기다림 뿐이지요.
단지 기업은 그 규모에 있어 훨씬 큰 자본이 필요하니 더 많은 사람들이 돈을 모으고, 급하게 돈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증권거래시장이 생긴거죠. 어쨌든 그 원리 자체는 완전히 같습니다.
그러나 주식시장에는 약간 특이한 움직임이 생깁니다. 단지 이 지분의 거래가격이 '오른다'는 이유 많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지분을 구매하고 싶어합니다. 실제 그 기업의 실적과는 무관하게, 그냥 오르니까 사는거죠. 편의점을 운영하는데 편의점의 매출도, 수익도 오르지 않는데 단지 편의점의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이 편의점을 인수하고 싶어할 사람은 잘 없을겁니다. 그런데 이런 일이 주식시장에서는 일어난다는 거죠.
케인즈는 이를 두고 '더 큰 바보 이론' 으로 설명했습니다. 이미 가격이 정상적이지가 않은데 내 뒤에 더 많은 바보가 있을 거라 생각하고 다들 이 자산을 사는 거죠. 그리고 이 바보는 한없이 들어올 수가 없습니다. 결국 내 뒤에 들어오는 바보가 없으면 더 이상 그 주가는 유지되지 못하고, 이제는 반대의 모양새가 나오죠. 가격이 계속 줄줄 떨어지게 되는 겁니다. 기업은 결국 수익을 내고 이 수익을 주주들에게 그 기업이 평가받고 있는 가치만큼 분배하거나 자산을 늘려야 그 가격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편의점의 가치는 그 편의점이 버는 돈과 같고 편의점이 그냥 아무 근거 없이 비싸다면 그 비싼 가격이 유지될 수는 없겠죠. 너무나 상식적인 이야기입니다.
주식의 매수를 이런 편의점을 인수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해보면, 가격이 터무니 없다면 아무도 편의점을 사고싶어하지 않을 겁니다. 그런데 편의점 가격이 내가 평가하는 가격보다 훨씬 싸다면? 이건 당연히 가서 인수를 해야 하는거죠. 운영은 이미 직원들이 해주고 있을테니까요. 마찬가지로 주식 또한 내가 이 기업을 직접 사서 운영한다고 생각하면 정말 선뜻 손이 안 가는 주식들이 사방에 넘쳐날 겁니다. 시총 1조~2조가 비현실적이라면 1억~2억으로 바꿔서 봐도 됩니다. 그리고 사고 싶은 몇몇 기업들은 눈에 띌 수도 있겠죠.
부동산이든 카페든 편의점이든 이런 걸 인수해서 운영하려면 정말 많은 걸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상권, 유동인구, 매출, 영업이익, 일하는 알바들, 점장의 능력. 같이 인수하는 동업자의 정직성등을 다 보겠죠. 이렇게 보면 주식도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이 회사와 동업하기 위해선 많은 걸 봐야 해요. 그리고 무엇보다 가격이 매력적인지를 봐야 겠죠. 그리고 일단 인수를 하면, 단기적인 편의점 가격 전망이 변한다고 해서 금방 다시 팔진 않을 겁니다. 돈 잘 벌고 일 잘 하고 있는데 굳이 팔 이유가 없죠. 코스피와 부동산 둘다 지속적으로 우상향을 했으나 주식은 패가망신한다는 속설이 있고 부동산으로는 돈 번다는 속설이 있죠. 부동산은 다들 단기적인 가격 대응을 하지 않고 잘 '들고' 있었으니까요.
효율적 시장 가설이라는 게 있습니다. 모든 주식은 그 정보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고, 어떤 주식을 사도 수익률의 기댓값은 똑같으며 단지 위험을 피하기 위해 종목을 최대한 많이 분산하는 게 중요하다는 거죠. 이 걸 다른 말로 하면 어떤 종목을 그냥 찍어서 계속 '들고'만 있으면 적어도 주식시장의 평균 수익, 연 8~9%의 수익 정도는 기대할 수 있다는 겁니다. 만약에 시장이 조금이라도 비효율적이고 내가 선구안이 있어서 좀 더 좋은 종목들을 들고 있는다면 수익률을 더 올릴 수 있겠죠.
즉 애초에 내가 내 뒤에 바보가 있을 거란 생각으로 주식을 산 게 아니라 좋은 종목을 싸게 잘 골랐고 영업활동도 잘 하고 있다면 단기적인 하락에 조금은 무덤덤해질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런 하락 상승 추세는 내가 예측한다고 해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게 아니죠. 그리고 섣부르게 시장에서 나오면 안 된다는 것도. 피터 린치의 마젤란펀드는 13년동안 27배가 올랐는데 린치가 은퇴후 자신의 고객들을 분석해보니 이런 펀드에서도 무려 절반은 돈을 잃었다고 하죠. 단기적인 대응을 하다가.
누구는 주식시장에서 돈을 벌게 해 주는 것은 배짱이고 이 배짱은 아무나 가질 수 없다라고 했지만, 사실 그 배짱을 조금이라도 가질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잘 분석해서, 좋은 종목을, 싸게 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은 지루한 기다림 뿐이지요.
3
맥주만땅 21.02.26 19:35
장이 시원치 않을 때에는 잡문이 재미있지요.
스갤문학 쓰던 이들이 이제 주갤문학을...
1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0399
... 더 보기
스갤문학 쓰던 이들이 이제 주갤문학을...
1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0399
... 더 보기
장이 시원치 않을 때에는 잡문이 재미있지요.
스갤문학 쓰던 이들이 이제 주갤문학을...
1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0399
2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3145
3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6171
4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8343
5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04499
6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07826
7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12599
마지막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24870
주식리딩하는 노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709912
스갤문학 쓰던 이들이 이제 주갤문학을...
1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0399
2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3145
3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6171
4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898343
5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04499
6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07826
7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12599
마지막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924870
주식리딩하는 노인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5709912
2
moqq 21.02.27 00:57
다른 곳에서 보고 온건데 괜찮은 단기전략 같네요.
포트폴리오의 75%를 뱅가드 가치주 ETF를 삼.
나머지 25%를 SQQQ (나스닥 3곱버스)를 삼.
가치주가 하락해도 기술주 하락이 더 크면 이득.
300만원/100만원 투자시
가치주 하락 -3%면 -9만원, 기술주 하락 4%면 +12만원.
가치주 상승 3%면 +9만원, 기... 더 보기
포트폴리오의 75%를 뱅가드 가치주 ETF를 삼.
나머지 25%를 SQQQ (나스닥 3곱버스)를 삼.
가치주가 하락해도 기술주 하락이 더 크면 이득.
300만원/100만원 투자시
가치주 하락 -3%면 -9만원, 기술주 하락 4%면 +12만원.
가치주 상승 3%면 +9만원, 기... 더 보기
다른 곳에서 보고 온건데 괜찮은 단기전략 같네요.
포트폴리오의 75%를 뱅가드 가치주 ETF를 삼.
나머지 25%를 SQQQ (나스닥 3곱버스)를 삼.
가치주가 하락해도 기술주 하락이 더 크면 이득.
300만원/100만원 투자시
가치주 하락 -3%면 -9만원, 기술주 하락 4%면 +12만원.
가치주 상승 3%면 +9만원, 기술주 상승2%면 -6만원
즉 가치주 퍼포먼스가 기술주보다 나으면 이득.
그래도 애플이나 아마존 방어력이 무서우면
대형주 3 / 소형주 3곱버스 1 이런식으로 짜도 되겠네요.
대형주 ETF하고 러셀-3배. 요런식.
포트폴리오의 75%를 뱅가드 가치주 ETF를 삼.
나머지 25%를 SQQQ (나스닥 3곱버스)를 삼.
가치주가 하락해도 기술주 하락이 더 크면 이득.
300만원/100만원 투자시
가치주 하락 -3%면 -9만원, 기술주 하락 4%면 +12만원.
가치주 상승 3%면 +9만원, 기술주 상승2%면 -6만원
즉 가치주 퍼포먼스가 기술주보다 나으면 이득.
그래도 애플이나 아마존 방어력이 무서우면
대형주 3 / 소형주 3곱버스 1 이런식으로 짜도 되겠네요.
대형주 ETF하고 러셀-3배. 요런식.
2
존보글 21.02.27 09:37
*필자는 현재 주식에 포지션이 없읍니다. 한동안도 없을 예정입니다.
*매수 매도 추천 아닙니다.
쓰다보니 비단 주식시장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닌 듯합니다.
'킹론적으로' 모든 주식의 현 가격은 적정가격입니다. GME가 저 난리를 쳐도 '킹론상으로는 적정가격'입니다. 반대로 GME가 다음 날 -90%를 쳐맞아도 ... 더 보기
*매수 매도 추천 아닙니다.
쓰다보니 비단 주식시장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닌 듯합니다.
'킹론적으로' 모든 주식의 현 가격은 적정가격입니다. GME가 저 난리를 쳐도 '킹론상으로는 적정가격'입니다. 반대로 GME가 다음 날 -90%를 쳐맞아도 ... 더 보기
*필자는 현재 주식에 포지션이 없읍니다. 한동안도 없을 예정입니다.
*매수 매도 추천 아닙니다.
쓰다보니 비단 주식시장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닌 듯합니다.
'킹론적으로' 모든 주식의 현 가격은 적정가격입니다. GME가 저 난리를 쳐도 '킹론상으로는 적정가격'입니다. 반대로 GME가 다음 날 -90%를 쳐맞아도 그것 또한 킹정가격인 겁니다.
쉽게 이야기하기 위해 단순화시켜 이야기하겠읍니다. 상승장일 때는 주식가격이 계속 올라가도 사줄 사람이 있읍니다. 시장 참여자 대부분이 오른다에 동의를 했기 때문에 오르는 거죠. 같은 테설라(실제로는 기업의 영업활동에 따라 좀 달라지겠지만 단기적으로 봅시다) 주식을 사는데 700불, 750불, 800불, 850불... 이렇게 올라가는 건 난 850불에도 이 주식을 사겠다는 사람이 계속 나오니 그런 것이죠.
뒤집어서 말하면 하락장은 '시장 대부분이 주식가격이 떨어진다'에 동의한 것과 같읍니다. 테설라 900불 안사, 850불 안사, 800불 노, 750불 놉... 이러니 700까지 가는 거죠. 이게 생각해보면 상당히 무서운 말입니다. 내가 가진 주식이 떨어지기를 바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읍니다. 기본적으로 주식시장은 자본주의의 우상향이 전제되었기 때문에 존재하는 시장입니다. 그런데도 대부분이 떨어지는 것에 동의했다는 건 의미가 많이 무겁지요.
그래서 뭐 어쩌라는 거냐... 저도 잘 모릅니다만 투자를 공격적으로 한다는 의미를 조금 더 보수적으로 생각해보면 어떨까 싶긴 합니다. arkk 같은 etf가 포트폴리오의 주력인 사람은 -50%~-60%도 감내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하루에 -5~6%만 날아가도 마음 속에 대곰왕이 찾아오지요. 주식투자도 어떻게보면 자기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매수 매도 추천 아닙니다.
쓰다보니 비단 주식시장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닌 듯합니다.
'킹론적으로' 모든 주식의 현 가격은 적정가격입니다. GME가 저 난리를 쳐도 '킹론상으로는 적정가격'입니다. 반대로 GME가 다음 날 -90%를 쳐맞아도 그것 또한 킹정가격인 겁니다.
쉽게 이야기하기 위해 단순화시켜 이야기하겠읍니다. 상승장일 때는 주식가격이 계속 올라가도 사줄 사람이 있읍니다. 시장 참여자 대부분이 오른다에 동의를 했기 때문에 오르는 거죠. 같은 테설라(실제로는 기업의 영업활동에 따라 좀 달라지겠지만 단기적으로 봅시다) 주식을 사는데 700불, 750불, 800불, 850불... 이렇게 올라가는 건 난 850불에도 이 주식을 사겠다는 사람이 계속 나오니 그런 것이죠.
뒤집어서 말하면 하락장은 '시장 대부분이 주식가격이 떨어진다'에 동의한 것과 같읍니다. 테설라 900불 안사, 850불 안사, 800불 노, 750불 놉... 이러니 700까지 가는 거죠. 이게 생각해보면 상당히 무서운 말입니다. 내가 가진 주식이 떨어지기를 바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읍니다. 기본적으로 주식시장은 자본주의의 우상향이 전제되었기 때문에 존재하는 시장입니다. 그런데도 대부분이 떨어지는 것에 동의했다는 건 의미가 많이 무겁지요.
그래서 뭐 어쩌라는 거냐... 저도 잘 모릅니다만 투자를 공격적으로 한다는 의미를 조금 더 보수적으로 생각해보면 어떨까 싶긴 합니다. arkk 같은 etf가 포트폴리오의 주력인 사람은 -50%~-60%도 감내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하루에 -5~6%만 날아가도 마음 속에 대곰왕이 찾아오지요. 주식투자도 어떻게보면 자기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공부맨 21.02.27 21:13
삼성전자 고려아연 KT&G 같이 부채가 거의 없는 기업에
내가 합리적 이율로 레버리지를 써서 투자하는것과
LG전자 CJ제일제당 하나투어 대한항공 같이 부채가 많은 기업에 레버리지 없이 투자하는것은
결과론적으로 같은것 아닌가? 하는 생각으로
저의 빛투를 정당화합니다.
내가 합리적 이율로 레버리지를 써서 투자하는것과
LG전자 CJ제일제당 하나투어 대한항공 같이 부채가 많은 기업에 레버리지 없이 투자하는것은
결과론적으로 같은것 아닌가? 하는 생각으로
저의 빛투를 정당화합니다.
lonely INTJ 21.02.27 21:42
개인적으로 맘에 드는 종목인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대세 상승중일 때도 매입을 고민했는데 요번 하락장에서 꽤나 털리고 있는 중이라..매력적인 가격에..지지반등하면 매수를 고려중입니다.
자체적으로는 아마존코리아(가칭?)도입시 간편결제 서비스 제휴를 부정하고 있지만 여러 취재결과 베타테스트만 앞두고 있다는데...한국의 페이팔아닌가 싶기도하고 ㅋㅋㅋ 아닌것 같기도하고 긴가민가..적어도 기업자체는 계속 성장중인것 같습니다.
대세 상승중일 때도 매입을 고민했는데 요번 하락장에서 꽤나 털리고 있는 중이라..매력적인 가격에..지지반등하면 매수를 고려중입니다.
자체적으로는 아마존코리아(가칭?)도입시 간편결제 서비스 제휴를 부정하고 있지만 여러 취재결과 베타테스트만 앞두고 있다는데...한국의 페이팔아닌가 싶기도하고 ㅋㅋㅋ 아닌것 같기도하고 긴가민가..적어도 기업자체는 계속 성장중인것 같습니다.
피를마시는새 21.02.28 15:13
주봉마감이 코앞이네요.
마감까지 시간이 남았지만, 앞선 장대양봉을 그대로 잡아먹은 모습입니다.
점점 매도세가 강해지고 있는데, 이러면 두번째 그림처럼 38~39K까지 내린 뒤 꼬리를 남겨두고 마감시키는 모양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44000에서 버티면 또 모를 일이긴하지만, 구태여 현금을 들고 있는데 모험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39000에서 매수를 받으면 그 자리는 물린다해도 현물 기준 매우 높은 확률로 탈출 가능한 자리가 되니까요.
다들 매매 조심하시고, 크게 올린 만큼 크게 빠져도 이상하지 않으니 리스크 관리는 필수입니다.
마감까지 시간이 남았지만, 앞선 장대양봉을 그대로 잡아먹은 모습입니다.
점점 매도세가 강해지고 있는데, 이러면 두번째 그림처럼 38~39K까지 내린 뒤 꼬리를 남겨두고 마감시키는 모양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44000에서 버티면 또 모를 일이긴하지만, 구태여 현금을 들고 있는데 모험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39000에서 매수를 받으면 그 자리는 물린다해도 현물 기준 매우 높은 확률로 탈출 가능한 자리가 되니까요.
다들 매매 조심하시고, 크게 올린 만큼 크게 빠져도 이상하지 않으니 리스크 관리는 필수입니다.
3
존보글 21.03.01 09:38
바이든 정부의 부양책이 지속되면 상방 압박은 어쩔 수 없을 겁니다. 게다가 연준이나 월가나 2퍼까진 눈하나 깜짝 안한다고 이미 선언한 상태죠. 그러니 너무 신경 안 쓰셨으면 합니다.
변동성은 어쩔 수 없을 겁니다. 이미 좀 비싸지기도 했으니... 조그마한 변수에도 발작하는 건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 투자하시는 분들은 너무 쫄지는 마시되 심한 변동성을 내가 어디까지 버틸 수 있는지 한번 되짚는게 어떨까 싶읍니다.
월가도 개미 털어먹는 포인트가 어딘지 잘 알다보니 장이 좋을때는 낙관론이 막 나오다가 조금만 어그러져도 세상 다 망할거같이 멘트를 치곤 합니다. 진짜 망할 때는 월가도 그런 소리 할 정신이 없어요 ㅋ
변동성은 어쩔 수 없을 겁니다. 이미 좀 비싸지기도 했으니... 조그마한 변수에도 발작하는 건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 투자하시는 분들은 너무 쫄지는 마시되 심한 변동성을 내가 어디까지 버틸 수 있는지 한번 되짚는게 어떨까 싶읍니다.
월가도 개미 털어먹는 포인트가 어딘지 잘 알다보니 장이 좋을때는 낙관론이 막 나오다가 조금만 어그러져도 세상 다 망할거같이 멘트를 치곤 합니다. 진짜 망할 때는 월가도 그런 소리 할 정신이 없어요 ㅋ
2
맥주만땅 21.03.01 17:2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8&aid=0004550134
한/일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인터넷 시장은 어떻게 될지 궁금해집니다.
한/일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인터넷 시장은 어떻게 될지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