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7/02 17:07:31수정됨
Name   캡틴아메리카
Subject   사칙연산 아니죠, 이칙연산 맞습니다. (부제: 홍차넷 수학강의 시즌2 프롤로그)
[수학에 서론 같은 건 없어요. 그저 시작부터 달리는 겁니다.] - 仁碩 Lee 교수님의 가르침을 받은 한 수학빌런의 말 -



여러분은 혹시 학창시절 수학시간에 배운 [항등원], [역원]이라는 개념을 기억하시나요?

항등원, 역원이라는 개념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고교 수학에서 행렬 파트와 함께 빠지게 되면서 비교적 최근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분들은 배우지 않는 개념입니다.

대수학을 좋아했던 사람으로서 참으로 안타까운 교육과정 개정이었죠...



혹시 배우지 않았거나 기억이 가물가물한 분들을 위해 이것들을 설명하고 넘어가죠.

[항등원]은 임의의 "어떤 수"에 [다른 수]를 연산하여도 변함없이 그 "어떤 수"가 유지되게 만드는 그 [다른 수]를 뜻해요.

덧셈(+)으로 예를 들면, 임의의 "어떤 수 a"가 있을 때 a + e = a이고 e + a = a가 되게 하는 그 [다른 수 e]가 바로 항등원이에요.

여러분은 이 때 e가 무엇인지 아시겠나요? 네, 바로 e = 0 입니다.

그렇다면 곱셈(x)으로 생각해보면 항등원이 무엇일까요? 네, 바로 1이 항등원입니다. a x 1 = 1 x a = a니까요.

덧셈이든 곱셈이든 항등원은 "어떤 수 a"가 무엇이 되든 항상 항등원은 0으로 혹은 1로 정해져 있어요.



[역원]은 각각의 어떤 수에 [다른 수]를 연산해서 '항등원'이 나오게 하는 그 [다른 수]를 뜻해요.

덧셈(+)을 생각하면, "어떤 수 a"가 있을 때 a + b = 0이고 b + a = 0이 되게 하는 그 [다른 수 b]가 바로 역원이에요.

이 때 b는 무엇인가요? 네, 바로 b = -a 입니다.

곱셈(x)에서도 비슷하게 생각해보면 1/a이 역원이 되죠. a x (1/a) = (1/a) x a = 1이니까요.

덧셈이든 곱셈이든 역원은 "어떤 수 a"가 정해져야 역원이 같이 정해집니다.

덧셈에서 a = 2이면 역원은 b = -2가 되고, a = 10이면 역원은 b = -10이 되죠. 곱셈에서 a = 3이면 역원은 b = 1/3이고, a = 100이면 b = 1/100이 됩니다.

"곱셈에서 a = 0의 역원은 어떻게 되나요?"

같은 질문은 받지 않습니다. 곱셈에서 a = 0의 역원은 애초에 정의하지 않기 때문에 대수학에서는 관심대상이 아니거든요.

이 질문은 해석학 하시는 분께 해보시기 바랍니다. :)



그럼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보죠. (근데 본론이 더 짧네요. ㅋㅋㅋ)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덧셈(+), 뺄셈(-), 곱셈(x), 나눗셈(/) 이렇게 네 가지의 연산을 주로 사용합니다. 우리는 이것들을 [사칙연산]이라 부르죠.

그런데 뺄셈(-)은 사실은 덧셈에서 역원을 생각하는거에요. 예를 8 - 5 = 3라는 식이 있으면 이것은 사실은 8 + (-5) = 3이라는 식인 거에요.

즉 8에서 "5의 덧셈에 대한 역원"인 -5를 더해서 3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되는 것이죠.

나눗셈(/)도 마찬가지에요. 6 / 2 = 3이라면 이것은 6 x (1/2) = 3인 겁니다. 6에서 "2의 곱셈에 대한 역원"인 1/2을 곱해서 3이 나오는 거에요.



사실 연산의 성질을 살펴봐도 덧셈, 곱셈과 뺄셈, 나눗셈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결합법칙]이나 [교환법칙]이 바로 그것입니다.

(2 + 3) + 4을 하나 2 + (3 + 4)를 하나 결과는 똑같죠. 그래서 우리는 괄호를 생략하고 2 + 3 + 4를 해도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7 x 8을 하나 8 x 7을 하나 결과는 역시 똑같습니다.

그런데 뺄셈과 나눗셈은 이런 것들이 일반적으로 되지가 않죠. 5 - 3과 3 - 5가 같지 않으며 (72 / 12) / 3과 72 / (12 / 3)이 같지가 않죠.

그래서 뺄셈이나 나눗셈, 특히 나눗셈이 섞인 연산이 나오면 이상한 논란들이 일어나게 되죠.

48÷2(9+3) 같은 것 말입니다. 이에 관한 논의는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에서는 더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doWeqpD5gk
[지식in] 6÷2(1 2) 는 9 일까 1 일까?




그래서 이야기의 결론은 무엇이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연산은 본질적으로 덧셈과 곱셈 이렇게 두 가지 연산이라는 겁니다.

뺄셈과 나눗셈은 역원의 개념에서 파생되어 온 것이라 보면 되요.



한줄요약: [이 글의 제목]



그리고 저는 이 글의 연장선으로 올여름 홍차넷 수학강의 시즌2를 진행할 생각입니다.



- 캡틴아메리카의 [고.조.선.] 수강생 모집 -

[고]오급

[조]오낸 까다로운

[선]형+대수학

* 참고: 이 강의는 선형대수학을 배우는 강의가 아닙니다. 혹시나 착각 하실까봐 덧붙입니다. :)



강의은 [7월 9일 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2시 ~ 5시]로 약 3~4주간 진행할 생각입니다. (물론 수강생분들의 일정을 고려하여 변동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수강생 분들의 반응이 좋고 잘 따라오시면 최대 5주까지도 해 볼 생각입니다.



* 이 강의를 듣기 위해 필요한 소양

최소소양: 온라인 화상프로그램 ZOOM을 사용할 줄 아시는 분 (시국이 좋지 않으므로 랜선을 통한 실시간 강의로 진행됩니다.)

권장소양: 스스로 수학적 머리가 좀 된다 하시는 분

우대소양: 선형대수학을 배우신 분 (벡터공간의 정의만 알아도 됨)



[댓글로 수강신청 받습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7-14 01:0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


    Cascade
    아 저 이해함

    그 게임에서 딜 넣는 거랑 힐 넣는 건 사실 똑같다는 의미죠?

    그러니까 딜의 역원 = 힐, 힐의 역원 = 딜
    1
    캡틴아메리카
    제... 제가 게임을 안 해서... 딜과 힐을 잘 모립니다...
    바보왕
    그래서 천템이 비싼 거군요.
    딜 잘하는 아이템 = 힐 잘하는 아이템
    별바라기
    완전 재밌겠다
    근데 이번 방학에 갑자기 할 게 많아져서 어렵겠네여 흑흑
    캡틴아메리카
    재밌으니 오셔야죠 왜 못 오심!! ㅠㅠ
    호라타래
    교수님 사랑합니다. 등록합니다.
    1
    캡틴아메리카
    프로수강러 사랑합니다. :)

    등록 완료.
    Darwin4078
    저 지금 기본정석 2차함수 근의 최소최대 하고 있거든요?
    이걸 고딩때의 나새끼는 어떻게 했는지 정말 모르겠읍니다.
    방학때 수학 복습하면서 기본정석은 각잡고 하루면 1회통독도 가능했었는데 지금은... 아...
    옛날생각 나면서 짜증나서 더 못하겠읍니다.
    캡틴아메리카
    ㅗㅜㅑ 2차함수 ㄷㄷㄷ 역시 선생님께선 그 어려운 해석학을 잘하시는군요.

    대수학하는 사람들은 함수 다루는 수학인 해석학 잘 못해영 으잉 ㅠㅜ
    zoom도 쓸 줄 알고 수학적 머리가 좀 되고 선형대수학도 배웠지만 신청하지 않겠습니다 (당당)
    캡틴아메리카
    주인장님이 오셔야 대박나는뎅 ㅜㅠ
    머리가 되는거 같은데 공부할 때는 그 머리가 잘 안 돌아가더라고요.
    저랑 공부랑 안 맞는거 같습니다.
    kaestro
    아니 교수님, 권장소양을 만족하지 못했는데 우수 소양을 만족하는건 문제가 있지 않습니까?
    1
    캡틴아메리카
    일단 등록 완료.
    우와우와 저요저요!! 감사합니다~~!!
    1
    캡틴아메리카
    환영합니다! 등록 완료.
    1
    동아일보힘내라
    캡틴아메리카
    알죠. ㅎㅎ 저는 근데 미적분 싫어해서 안 봅니다...
    저녁시간대 안됩니까 ㅜㅜ 직장인 크리
    캡틴아메리카
    ㅜㅜ 넹 ㅜㅜ 안타깝군용... 훗날 다음 기회엔 저녁이나 주말로 해보도록 하겠습니당
    사나남편
    선생님 디게 미남이시네요
    캡틴아메리카
    당연하지만 저 아닙니다...
    토끼모자를쓴펭귄
    정말 의향은 있는데 요구되는 소양을 못 갖추어서.. ㅠㅠ
    캡틴아메리카
    일단 1주만라도 들어보시는 건 어떨까요? ㅎㅎㅎ

    어려우시면 2주부터는 드랍하셔도 됩니다^^;
    무적전설
    어차피 곱하기도 더하기의 연속성에 있으니 일칙연산이라고 하셔도 무방할듯 합니다...
    3 * 3 = 3 + 3 + 3 (3을 3번 더한 것)
    6 * 7 = 6 + 6 + 6 + 6 + 6 + 6 + 6 (6을 7번 더한 것)
    모든것은 덧셈 하나로 표기가 가능하다!
    캡틴아메리카
    좋은 지적이십니다. ㅎㅎ 그런데 그것은 정수나 혹은 실수(나아가서 복소수)에서만 해당하는 이야기에요.

    연산의 본질 자체를 생각하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쉬운 예로 행렬을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행렬에서의 덧셈과 곱셈을 생각한다면 분명 다른 연산이에요.

    행렬의 곱셈은 행렬의 덧셈으로부터 파생된 것이 아니거든요. ㅎㅎㅎ
    1
    무적전설
    말씀주신대로 확실히 행렬의 곱셈은 다른 규칙이 맞다고 봅니다.

    갑자기 궁금증이 생겼는데, 같은 기호만 쓴 다른 규칙이 아닌가요?
    그냥 사칙연산의 기호를 채용해온게 아닌지.. 그래서 곱셈이라고 명명되었지만 사실은 곱셈이 아닌 그런 느낌이에요.
    제가 프로그래밍을 배워서 그런지.. 연산자 재정의(오버로딩) 같은 느낌이 들어서요.

    [아래는 부연설명입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래밍에서 x = 3 + 5; 는 우리가 아는 그 + 기호가 맞아요
    다만 +연산자를 재정의 : 문자열+문자열은 문... 더 보기
    말씀주신대로 확실히 행렬의 곱셈은 다른 규칙이 맞다고 봅니다.

    갑자기 궁금증이 생겼는데, 같은 기호만 쓴 다른 규칙이 아닌가요?
    그냥 사칙연산의 기호를 채용해온게 아닌지.. 그래서 곱셈이라고 명명되었지만 사실은 곱셈이 아닌 그런 느낌이에요.
    제가 프로그래밍을 배워서 그런지.. 연산자 재정의(오버로딩) 같은 느낌이 들어서요.

    [아래는 부연설명입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래밍에서 x = 3 + 5; 는 우리가 아는 그 + 기호가 맞아요
    다만 +연산자를 재정의 : 문자열+문자열은 문자열 2개를 이어붙여준다라고 재정의하면
    x = "abc" + "def"; 는 즉 "abcdef"라고 연산해 줄 수 있거든요. 그럼 문자열 2개를 결합하는 +는 재정의되었지만 덧셈이라고 볼 수 있을지..
    다만, 재정의를 연산자인 덧셈모양의 기능과 비슷하게 해서 그렇지 사실 +기호만 쓰는 다른 함수라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연산자 재정의 기능을 선호하진 않고, 그냥 함수를 쓰는거 더 직관적이라고 봅니다.
    1
    캡틴아메리카
    무적전설님의 이 댓글에 대한 답을 정확하게 이번 강의 1주차에서 하게 될 예정입니다.

    궁금하시면 수강신청 ㄱㄱ :)

    (대충 대학원생의 재목이 있는 학부생을 흐뭇하게 바라보는 교수짤 ㅋㅋㅋ)
    3
    감사합니다~ 아 혹시 강의내용을 유투브 등으로 올려주실수 있을까요?
    캡틴아메리카
    죄송합니당 유튜브는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강의자료를 만들게 되면 그것은 공개할 생각이에요. ㅎㅎ
    캡틴아메리카
    질문에 대한 답을 간단하게만 말씀드리면 대수적 구조의 본질적 입장에서는 정수의 곱셈과 행렬의 곱셈은 그 본질이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기호를 쓰는 겁니다.

    그리고 부연설명에 대해 덧붙이자면 덧셈(+), 더 일반적으로 연산이라는 것 자체가 애초에 함수입니다.
    2
    무적전설
    대수적 구조에서는 본질이 같기 때문이군요. 본질이 뭘까 궁금하지만.. 업무 때문에 실시간으로 강의를 수강할 수가 없다보니 ㅠㅠ
    답변은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강의를 보고 싶지만 시간 맞추기가 힘들군요.(강의안이라도 올려주시면 꼭 보겠습니다.)


    덧붙인거에 제가 말한 연산자와 함수의 차이는 사전에 정의된, 파라메터 적용법이 다른 프로그래밍의 차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개념상 둘 다 선언부만 다를 뿐 함수는 맞죠. 변수a,b가 있다면 a+b냐 plus(a, b)로 쓸거냐의 차이지요. 구현결과는 같지만요.
    1
    혹시 저도 신청해도 될까요?
    1
    캡틴아메리카
    물론이죠. 환영합니다!
    캡틴아메리카
    선비님 왜 안 오셨나요 ㅠㅠㅠ
    아아.. 세 번의 강의를 듣고 보니 선생님의 빅픽쳐가 느껴집니다.
    다음 주 마지막 강의 기대됩니다. 너무 감사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27 역사뉴질랜드와 핵실험, 거짓말쟁이 프랑스. 6 코리몬테아스 21/09/18 5044 18
    1026 정치/사회툰베리가 당신의 변명을 들었습니다. 툰베리:흠, 그래서요? 34 코리몬테아스 20/11/03 6690 18
    990 역사1911년 영국 상원의 탄생 2 코리몬테아스 20/07/27 4898 6
    967 역사경찰사와 영국성 4 코리몬테아스 20/06/08 4892 8
    944 정치/사회해군장관대행의 발언 유출 - 코로나 항모 함장이 해고된 이유. 4 코리몬테아스 20/04/07 6004 11
    899 영화시카리오 - 현실에서 눈을 돌리다 29 코리몬테아스 19/12/18 7708 15
    498 문화/예술브로드웨이와 인종주의 - 흑인 배우가 앙졸라스를 할 때 16 코리몬테아스 17/08/22 9235 8
    956 일상/생각나는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9 켈로그김 20/05/06 5444 34
    831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파스 고르는 팁 20 켈로그김 19/07/11 7382 21
    478 일상/생각... 37 켈로그김 17/07/21 7993 21
    223 일상/생각3600마리의 닭, 360개의 엔진, 30명의 사람. 6 켈로그김 16/06/25 6456 14
    796 일상/생각축구지를 펴내기까지... 그 나름의 철학 ㅋ 18 커피최고 19/04/18 8425 26
    304 정치/사회신칸센, 세계최초의 고속철도 - 소고 신지와 엘리트 네트워크 4 커피최고 16/11/17 7445 5
    200 정치/사회아르헨티나의 더러운 전쟁과 5월 광장의 어머니회 2 커피최고 16/05/02 6566 6
    156 과학알파고vs이세돌 대국을 기대하며.... 34 커피최고 16/02/16 7857 4
    157 문화/예술게임계의 절대적인 상징, 슈퍼마리오 7 커피최고 16/02/18 8688 6
    154 문화/예술드래곤볼의 획기적인 컷(프레임) 연출 19 커피최고 16/02/14 13695 17
    1359 일상/생각한국사회에서의 예의바름이란 18 커피를줄이자 24/01/27 7875 3
    1054 일상/생각내가 맥주를 마실 때 웬만하면 지키려고 노력하는 수칙 52 캡틴아메리카 21/01/21 7038 24
    1045 요리/음식(내맘대로 뽑은) 2020년 네캔만원 맥주 결산 Awards 34 캡틴아메리카 20/12/27 7079 34
    977 과학사칙연산 아니죠, 이칙연산 맞습니다. (부제: 홍차넷 수학강의 시즌2 프롤로그) 36 캡틴아메리카 20/07/02 6558 5
    412 과학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62 캡틴아메리카 17/04/15 15399 14
    391 일상/생각[실화] 내 첫 짝사랑은 고닥교 솩쌤. 31 캡틴아메리카 17/03/17 8611 15
    909 일상/생각습관 만들기 - 2달째 후기 47 카야 20/01/14 6629 37
    1398 정치/사회낙관하기는 어렵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흘러가는 한국 사회 14 카르스 24/06/03 3506 1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