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6/06 14:46:55수정됨
Name   710.
Subject   공부하다 심심해 쓰는 은행원의 넋두리 썰.
안녕하세요, 저는 서른 살, 은행 근무 오년 차 행원이에요. 주말을 맞아 오랜만에 공부하러 나와 인강을 듣다가....
넘모나 심심해서 썰을 좀 풀어 보려고 해요. 어떤 직업이든 안 그렇겠냐만, 포털사이트 댓글이나 커뮤니티를 보면 보통 은행원들은 영업 때문에 인성을 팔아먹은 파렴치한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고, 반면에 4시에 문 닫고 노는 거 아니냐!!! 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새벽 여섯시 출근 10시 퇴근을 삼년 쯤 했습니다ㅠ_ㅠ)  그래서 좀 친근해 졌으면 하는 마음에서 나름 소소한 고충들을 털어놓고 싶었어요:)


1. 달력/신권 전쟁

각 은행은 연초에 달력을 배부합니다. 달력 교부일 근처가 되면 모든 은행원들은 긴장하기 시작합니다. '아 또 달력시즌이네..'
사무실에서는 종종 캘린더를 쓰긴 하지만, 벽걸이 달력은 사용해본지가 너무 오래되어서 이게 왜 난리가 날 만한 일인가 의아했었는데, 옛날에는 은행 달력을 사용해야 재복이 들어온다는 속설이 있었다고 하네요.
의외로 나이드신 분들 뿐 아니라 젊은분들까지 달력 때문에 은행을 찾습니다. 예를 들어 12월 15일이 달력 교부 시작일이라고 하면, 11월 초순부터 달력 안들어왔냐고 물어보는 고객님들이 슬슬 늘어나기 시작해요. 안그래도 연말/연초에 업무에 시달리는데, 달력에까지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하는거죠.

'다른 지점은 다 주는데 여긴 왜 안 주느냐', '내가 여기 몇년 거래했는데 몇개 더 달라', '나 xxx지점장 친구다'
사실 시간이 지날수록 종이달력 사용량은 줄어들 수 밖에 없고, 은행에서도 슬슬 교부량을 줄이는데 몇 개씩 더 달라고 객장에서 고래고래 소리지르는 고객님들을 보면 참 속이 상합니다.

마찬가지로 명절시즌에는 신권으로 전쟁을 치루지요. 달력보다는 이해는 되는데, 뭐 손주들 용돈 주실 때 빳빳한 신권으로 주면 받는 사람도, 주는 사람도 기분이 좋겠죠. 저도 입사하고 첫 급여 때가 추석과 겹쳐서, 빳빳한 신권 2백만원을 부모님께 드렸을 때 뿌듯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런데 요새 들어, 한국은행에서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의 상태가 양호하여.....' 신권을 잘 배부하지 않고 있습니다. 저희도 없어요ㅠ_ㅠ

보통 지점의 막내가 지점 전체의 통화를 세고 관리하는 '출납'이라는 업무를 맡는데, 일년 내내 신권을 조금씩 모아요. 명절 때 신권이 부족하면 고객들에게 모든 지점 직원들이 욕을 먹거든요. 제가 일년 간 본점 유관부서에 사정사정해서 모아 놓은 신권을 명절때 푸는 거죠.
보통 저희 지점의 일인 교부 한도는 오만원권 여섯 장, 만원짜리 스무 장, 오천원권 열 장, 천원권 스무 장입니다.
이렇게 쪼잔하게 교부하는 저희도 마음이 좋지는 않은데 방법이 없답니다...ㅠㅠ


2.민원에 너무나 취약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음

은행, 혹은 금감원 민원이라는 제도는 고객 보호를 위해 필수적이긴 하지만, 의외로 악용되는 경우도 많아요. 요새는 그래도 말도 안 되는 민원에 대해서는 행 내에서도 어느정도 이해를 해 주기는 하지만, 제가 입행했을 때만 해도 어떤 민원이 들어오더라도 지점 성적에 감점이 있었고, 따라서 상황에 상관 없이 직원이 피해를 입고, 고객에게 무조건 사과를 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어요. 업무가 조금만 맘에 안 들어도 '민원을 넣겠다'라고 협박성으로 이야기하시는 분들도 많고, 실제로 민원도 많이 들어와요. 은행원들은 대부분 자기네들을 쫌팽이 샌님이라고 생각하고, 정말 민원이 들어오면 (특히 여직원 분들은) 벌벌벌 떨어요. 민원 얘기하시면 양반인데, 앞 직원이 유약하게 생긴 여직원이거나 하면, 밤길 조심해라- 칼로 찔러버리겠다- 죽여버리겠다- 등 폭언도 꽤나 자주 받습니다. 업무하다가 실제로 창구에서 쓰러지시는 분들도 봤고... 펑펑 우는 분들은 일년에도 수 번 보구요 ㅎㅎ.

제가 받았던, 보았던 민원 중에 황당했던 것들은...

- 대출 심사 다 해 놓고 실행 예약까지 걸어놨는데, 그 전날에 현금서비스 풀로 쓰시는 분들.
당연히 대출은 못 나가고, 고객은 민원 걸어 지점은 난리가 나고, 상황을 설명 드리면 현금서비스가 대출인 줄 몰랐다/신용에 안 좋은지 몰랐다.
설명을 니가 제대로 안 해 주었으니 대출 해줘라. 못해? 그럼 금감원 민원 걸어야지.

- 20대 여성분이 통장 지참하여 출금 요청을 하는데, 통장에 신고된 사인을 펴놓고 거의 그리듯이 출금전표를 쓰시네요..? 신분증과 얼굴은 비슷한데 기존 거래 신청서를 까보니 필체가 엄청나게 다릅니다. 조용히 추궁하니 자기는 동생인데 언니의 허락을 맡고 대신 찾아주는거라고 하네요. 이 경우 업무는 불가능할 뿐 아니라, 언니가 동의하지 않았으면 범죄이니 주의하라고 안내해 드렸습다. 그리고 나니 저녁에 민원이 들어오네요. 은행원이 자기를 범죄자 취급해서 너무 불쾌하하시다네요. 역시 전화해 사과드렸습니다.

- 이 외에도 은행원이 업무를 하다 코를 팠다던가....(그분이 그러셨을 것 같지는 않은데), 표정이 나를 무시하는 것 같았다.. 라던지, 목소리가 너무 커서 옆사람이 내 금융정보를 다 들었다..... 뭐 여러가지 민원을 받습니다. 뭐 이제 해탈하기는 했어요ㅎㅎ. 최근에는 구청 입점 점포에서 근무했던 적이 있는데, 생각 외로 공무원분들은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욕을 들었을 떄라던지, 꽤나 전투적으로 방어하시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나가라고 소리를 같이 지르신다던지, 선생님!!!! 욕은 하지 마세요!!! 같이 소리지르신다던지...... 저희는 그걸 보면서 꽤나 대리만족을 느꼈던 기억이 나네요.




생각보다 글이 길어졌네요ㅎㅎ. 이래 징징거리는 글을 쭉 쓰긴 했지만 그래도 저는 은행원이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나름 재미도 있고.. 그렇습니다. 항상 글쓰기는 마무리가 어렵네요. 생각보다 고객을 마주할 떄나, 커뮤니티에서 은행/대출/금융상품 등에 대해서 잘못 알고 계신 부분도 많고, 소개하고 싶은 상품들도 종종 있는데(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이나, 청년전세자금대출.....등등) 시간이 나면 AMA도 한번 해보고 싶네요. 그럼 이만 글을 맺고, 나중에 다시 돌아와보도록 하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6-16 22:1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2
  • 달력 들어왔나요?
  • 신권 들어왔나요? ㅎㅎ 잘 읽었습니다
  • 신권 들어왔나요?
  • 달력 하나만 더주세요
  • 달력 필요 없습니다.
  • 초저리로 대출해주세요. (feat. 신불자)
  • 춫천
  • 달력 그냥달라고 하지않겠습니다
  • 신문들어왔나요?
  • 거 달력 얼마 합니까? 내 돈 주고 사겄소! 내 이래봬도 만주에서 말 좀 타던 사람이외다!
  • 카드받으러 왔읍니다.
  • 제가 먼저에요. 잠깐 볼일보러 다녀왔는데 번호 지나갔어요
  • 거 달력 얼마나 한다고 그걸 안주네!!! 내가 XX은행을 몇년째쓰고있는데! 으잉!
  • 에어컨 조금만 쐬다가 갈게오
이 게시판에 등록된 710.님의 최근 게시물


다람쥐
민원 ㅠㅠㅠㅠ 고생하시네요
공무원 분들 저렇게 대응하기도 하는군요 재밌어요 ㅋㅋㅋ
추천글에 신권 들어왔나욬ㅋㅋㅋㅋㅋ 넘 웃겨욬ㅋㅋㅋㅋ
(추천 코멘트 안보이게 할 수 없나요?) 멀미 나네요ㅠㅠㅋㅋㅋㅋㅋㅋㅋㅋ
12
사나남편
전 예전에 고등학교에서 미납금때문에 밤에 전화하니 이시간에 전화를 처하냐고 지랄해서 그러니간 너같은 놈때문에 집에도 못가고 전화처하고 있다 그러니 미안하다고 ..
파란아게하
사람상대가 제일 극한직업인것 같습니다
뭔가 다른데서 받은 걸 거기서 해소하고가나봄
그건 그렇고 북두신권 들어왔나용 우헤헿
알료사
개객기들
emotional labor ≠ 감정 노동

위 사실을 잘 이해하지 못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쿠르드
고생 많으셔요ㅎ.ㅎ... 사람 상대하는 일을 저도 많이 하는데 참 어렵구 또 돈이 얽히면 더 어렵더라고요. 입금 하랄 때는 절대 안 하다가 받을 거 있을 때는 매일 전화해서 쪼아대고 흑 그래도 미워하지 않겠어요 캬아아아악
진짜 별의 별 인간들 많죠. 직업에 회의가 들만큼...
화이트카페모카
이제 차장 올라가는 과장님 알고 계시는데
스트레스를 너무 받은 나머지 머리카락이 하얗더군요
마니에르
프로그램 개발자인데 개발 어려울때마다 그래도 사람 상대하는것보다 백만번 낫다고 항상 생각합니다.
우리 마누라도 은행13년차인데 잘 이해가 되네요. 화이팅하세요 :)
매스틱검
은행업무보러 기다리면서 지켜봐도 은행 상담창구 직원은 정말 극한직업이 맞는거 같아요...
그래도 돈은 많이 버시겠죠???!?!? 화이팅입니다 !!
개인적으로 은행업무를 많이 보는데, 은행갈일은 1년에 한두번이네요. 그것도 공인인증서 비번오류였던걸로 기억해요.
앞으로 스마트 뱅킹이 더욱 확대되면서 현재 많은 지점들의 은행원들의 생존경쟁은 더욱더 심화될거 같습니다.
그러나 스트레스는 극도로 올라가는데, 저같은 30~40대들 그리고 20대들은 스마트 뱅킹에 익숙하죠.
하지만 시간이지날 수록 은행에 방문하는 사람들은 40~70대 연령이 높은 사람들이 많이 갈것이고 더욱더 어려워질거같습니다.
직원들에게 변화에 대한 준비를 제공하고 최대한 정신적 스트레스로부터 자유하도록 회사가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친한친구가 25년 은행에서 근무해서 옆에서 소소하게 들었는데요.

아이들 키우면서 늘 마감지키고 밤 9시 넘어서 퇴근하고 실적때문에 고생했던 일이 생각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때문에 마스크쓰고 일해서 얼굴감정을 감추고 웃지 않고 일해서 너무 편하다고 말했는 친구 생각이나네요.

서울에서 일 시작할때는 국제부에서 시작했는데 아이생기고 휴가내니 바로 지점으로 ..ㅠㅠ 그런 시절도 있었네요. 원글님때문에 은행 이야기 더 알게되어서 감사히 읽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9 일상/생각집밥의 이상과 현실 42 이그나티우스 20/07/06 6304 46
973 일상/생각자격은 없다. 101 절름발이이리 20/06/22 8968 42
969 일상/생각참 사람 맘은 쉽게 변한다.. 25 whenyouinRome... 20/06/13 6990 49
966 일상/생각공부하다 심심해 쓰는 은행원의 넋두리 썰. 14 710. 20/06/06 6257 32
965 일상/생각흑인들이 죽을 수밖에 없는 국가 미국 21 가람 20/06/05 7020 68
962 일상/생각슈바와 신딸기. 24 Schweigen 20/05/26 5988 33
960 일상/생각웃음이 나오는 맛 13 지옥길은친절만땅 20/05/17 4873 11
959 일상/생각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 대한 반성, 무식함에 대한 고백 18 메존일각 20/05/16 6598 49
958 일상/생각제주도에서의 삶 16 사이시옷 20/05/13 6042 26
956 일상/생각나는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9 켈로그김 20/05/06 5441 34
955 일상/생각할아버지 이야기 10 私律 20/05/03 4756 17
954 일상/생각큰고모님 4 Schweigen 20/05/02 5368 27
953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6 ar15Lover 20/05/01 6280 5
951 일상/생각돈으로 헌신에 감사 표하기 28 구밀복검 20/04/22 7789 25
950 일상/생각자아를 형성해준 말들 30 ebling mis 20/04/21 6129 32
948 일상/생각아싸, 찐따, 혹은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11 이그나티우스 20/04/17 6533 17
941 일상/생각한국이 코로나19에 잘 대처하는 이유 24 그저그런 20/03/31 6624 10
922 일상/생각군대 친구 이야기 3 化神 20/02/15 5442 17
920 일상/생각아들놈이 대학병원에서 ADHD 판정을 받았습니다 70 아나키 20/02/06 8500 146
919 일상/생각사회주의 대 반사회주의 9 necessary evil 20/02/06 5878 30
918 일상/생각처음 느낀 늙음 3 행복한사람 20/02/03 5341 22
917 일상/생각엄마 덴마크가 나 놀렸어요 ㅜㅠ 69 구밀복검 20/01/29 13204 122
914 일상/생각멘탈이 탈탈 털린 개인카페 리모델링 후기 51 swear 20/01/23 7073 32
909 일상/생각습관 만들기 - 2달째 후기 47 카야 20/01/14 6624 37
904 일상/생각올해 읽은책 간단정리 15 오디너리안 19/12/27 5713 1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