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12/27 13:49:17수정됨
Name   Groot
Link #1   https://www.facebook.com/innamsik/posts/2917916664919793
Subject   [펌글] 좋은게 좋은거라는 분위기가 세상을 망쳐왔다
가끔 우리 또래 동료들과 대화하다보면 푸념섞인 이야기를 듣곤 한다. 대개 조직의 임원이나 간부들이다.

"요새 젊은 직원들... 참 알다가도 모르겠어. 당돌하다고나 할까?"

"무슨 일인데?"

"뭘 하나 지시해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아. 거침없이 의견을 개진하는건 물론이고, 때론 말도 안되는 톡백을 하기도 해"

"톡 백 (말대답) 이라니?"

"긴급한 기안 지시나, 야근을 해야하는 상황이라든가 생기면 왜 상급자가 규모있게 시간을 다스리지 못해 실무 직원들이 쓸 데 없이 고생하게 하느냐는 투야. 우리 때는 상상도 못했는데... 의리도 없어. 사회 생활 그렇게 하는 것 아닌데...."

하면서 들려준 몇가지 사례에 처음에는 나도 함께 흥분했다. 아무리 그래도 직장에서 불가항력적인 주말근무나 야근은 당연한건데 그걸 불편하게 여기고 왜 정확히 디렉션을 주지 않았느냐고 항변하는건 너무 버릇없는 게 아닐까 싶었다.

그리고 동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희한하게도 우리 결론은 예상과 다르게 맺어졌다. 대화하다보니 '아니다. 이건 후배들 문제가 아니라 선배들 즉 우리들 문제다'에 이르렀던 것이다. 의외였다.

젊은 친구들, 특히 90년대 이후 출생한 직원들의 논리는 간명하다.

좋은게 좋은거라는 분위기가 세상을 망쳐왔다는 것이다. 그 속에서 직장의 문화가 얼마나 왜곡되었는가에 관한 문제제기다. 90년대생은 어릴 적부터 작은 모순과 부조리에도 기 죽지 말고 문제제기 할 것을 배워왔다. 그게 옳은 일이었다. 아무리 별것 아닌것처럼 보여도 작은 부당함이나 규정울 어긋난 지시에는 거부하는 것이 옳다고 배워왔던 것이다. 선배 세대에게는 의리있게 함께 야근하는게 지혜였지만, 이 친구들에게는 이를 항변하여 고치는 것이 정의였던 것이다.

한 친구가 항변했단다. 자기도 직장생활 편하게 하고 싶다고. 간부들 지시, 대강 받아서 순종하면 자기 맘도 편하고 아무도 거리끼지 않는것 잘 안다고. 이렇게 까칠하게 굴면 자기에게 인사상 불이익이 올 가능성이 크다는 것도 잘 안다고. 그러나 할 말은 하겠노라는 이유가 있으니 그 작은 타협이 결국 전체 사회의 직장 문화를 불행하게 만든 것 아니냐고. 그러므로 이제부터라도 반드시 규정과 제도에 의해 정확히 따져가며 근무하는 것이 옳으니 자신은 옳다고 믿는바대로 직장생활하겠다는 항변이었던거다. 이 말을 듣는 우리 또래들은 사실 할 말이 없다.

상사의 지시나 권위에 죽는 시늉이라도 하고, 또 그래야만 회사가 돌아가는 것이라 믿고 직장생활해 온 선배 입장에서는 복장터질 노릇이겠지. 하지만 어쩌랴! 어쩌면 그런 문화가 현재의 부조리를 만든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결론을 우리 스스로도 동의할 수 밖에 없었다. 우리들은 허탈함과 함께 '바뀌이여 할 것은 결국 우리'라며 허탈한 웃음과 함께 소주잔을 부딪혔다.

===

십수년전만해도 외시나 행시 합격자 교육할 때 가끔 강조했던 부분이 있다. 바로 공무원의 servantship이었다. 국가의 동량이자 인재이기도 하지만 핵심은 소위 civil servant로서의 마음가짐임을 이야기하곤 했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런데 받아들이는 요즈음 교육생들의 감도는 확연히 다르다.

한번은 재외국민 영사조력을 위해 우리는 상상할 수 없는 험한 일도 감당해야 하고, 때론 오해도 받고 질시도 받지만 어쩌면 그게 우리의 숙명일지도 모른다고 신입직원들과 사석에서 이야기한 적이 있다. 그게 civil servant, foreign service officer들의 의무이기도 하다고. 그러면서 이라크 전당시 중동에서 있었던 몇가지 '위험했지만 감동적이고 헌신적인 재외국민 구출' 이야기를 들려주었었다.

수년전만해도 이 이야기를 영사 담당 신규 직원들에게 들려주었을 때, 다들 결연한 눈초리로 감동하며 듣곤 했다. 그런데 요새는 다르다.

"교수님. 저희도 공무원이라는 신분이 갖는 의미를 잘 알고 있고, 또 그것이 국민에 대해 어떤 태도와 자세로 일하라는 것인지 공감합니다. 실제로 그럴 자세도 되어있고, 그렇게 살것입니다.

그러나 그 모든 헌신과 봉사도 규정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국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위험지역에 들어간 재외국민에 대해서 국가의 영사조력 범위가 정해져있다면 '무슨 일이 있어도 구해온다'는 데 대해서는 반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가가 국민의 안전에 대해 책임져야 하는 것은 맞고 신성한 의무이지만, 국민의 자기 책임에 대해서도 명확히 인지시키는 것도 국가의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만큼 국가는 차가워야 하고 준엄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국가의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면 때론 "국가가 할 수 있는 일은 여기까지입니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 이상을 감수하라고 하는 것은 어쩌면 장기적으로 국민들에게 잘못된 시그널을 주는 것일테니까요."

나는 들으면서 마땅히 이 말을 반박할 논리가 떠오르지 않았다. 왜냐면, 이들의 말에 틀린게 하나도 없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국가는 국민 안전 시스템을 극대화하고 늘 업데이트하되 동시에 때론 차갑게 규정을 가지고 움직이기도 해야하기 때문이다.

===

요즘 부쩍 나이 든 세대가 젊은 세대를 걱정한다. 내 아버지 세대는 내 세대를 질타하고, 내 세대는 다음 세대를 염려한다. 그러나 그럴 필요가 없음을 '불편하지만' 하나하나 깨달아가고 있다. 때론 꺼칠꺼칠해서 마음에 안들때도 있지만, 하루가 다르게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이 세상은 젊은 세대들이 더 잘 이해하고 알고 있기 때문이다.

======================================================================================================================================
우연히 보게된 글인데, 참으로 와 닿습니다.

정시퇴근 하는게 일상인 자
회사내에서 개인의 희생을 요구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 하라,
그러한 것들이 없다면 우린 퇴근시간 이후의 노동은 절대 하지 않을것이다.
설령 있다손 치더라도 되도록이면 하지 않을것이다.
저녁에 보장된 개인의 삶을 원한다.

vs

남아서 좀 더 하는게 일상인 자
회사생활하면서 조직을 위해, 회사의 발전을위해 개인의 희생을 불가피 하다.
젊을때 이렇게 일해야 보람되고 개인역량도 빠르게 키울 수 있다.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1-07 21:0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8
  • 공감합니다
이 게시판에 등록된 Groot님의 최근 게시물


그저그런
환경도 다르죠.
고속 성장기에는 회사에 충성하고 야근과 회식에 몰빵하면, 정년도 채우고 서울에 집을 사는 중산층으로서의 삶을 누릴수 있었으니까요.
지금은 회사에서도 직원에게 충성심보다 마켓밸류를 요구하는데요 ㅎㅎ
요즘 세대라고 회사에 충성하기 싫겠습니까 문제는 과거엔 근속과 승진이란 보상이 따라왔지만 이제 그런거 없고 각자도생인걸 IMF이후로 전국민이 알게됐다는 점이죠 나는 물론 내가 충성한 상사도 회사에서 언제 잘릴지 모르는 하루살이들인데 계산기 두드려보면 지금 챙길걸 챙기는게 낫다는 결론이 나온거죠 그냥 모두들 시대에 맞게 현명하게 행동하는 겁니다
6
2020禁유튜브
우리 윗세대가 초과근무까지 하면서 노력하고 희생한 댓가를 누가 누렸냐는 것입니다.
본인도 분명 그 결실의 일부를 누렸겠지만, 제 짧은 소견에는 많은 부분을 기업의 장이나...다른 사람들이 가져간 것으로 생각되거든요. 본인에게 별로 득 될 것 없고 가진자들의 기득권만 더 공고히 할 희생은 이제는 하기가 싫은거죠.
3
듣보잡
[그리고 동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희한하게도 우리 결론은 예상과 다르게 맺어졌다. 대화하다보니 '아니다. 이건 후배들 문제가 아니라 선배들 즉 우리들 문제다'에 이르렀던 것이다. 의외였다.]
그래도 올바른 결론을 찾아낸 사람들 얘기라서 편-안해지네요 ㅋㅋ

우연찮게 저도 다른 좋은 글을 읽었는데 링크 공유해 봅니다.
https://www.notion.so/The-Fearless-Organization-4f553f5c5e5b42a3beafa072e5de4b65
재밌네요. 한국 특히 공기업 같은 곳에서는 상사의 권위, 체면, 업적이 중요하니까 솔직한 의견교환이 어렵죠.
문제가 있을 때 그걸 덮으려고만 하는 것도 책임지기 싫어서 라고 봅니다.
1
IMF 이후로 많이 변화했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의 희생에는 댓가와 희망이 있었다면 이제는 그 어떤 희생도 보상받지 못한다는걸 누구나 다 알게 되었으니까요.
로냐프
역시 젊은세대가 우리세대보다 낫군요.
네거리
맨 밑에 vs는 진짜 사족이군요.
제가 짧은 사회생활하면서 제또래 vs 상사들과의 갈등 요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ㅋㅋ
오쇼 라즈니쉬
맨 밑 vs는 누가 옳다라기보단 둘 다 맞는 말 같아요. 장단점이 있는 거죠.
불타는밀밭
맨밑 세번째 줄은 맞는 말이 아닌 거 같은데요. 돈 안받고 오래 일하면 회사만 좋죠. 실력은 별 안늘어요. 실력을 늘릴려면 따로 공부를 해야지...
안경쓴녀석
영사직원 이야기는 제 기준에선 좀 아닌 거 같습니다. 저러니 재외공관들이 욕을 쳐먹지 이생각부터 드는...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외교공무원이면 법규 위에 국익이 있는 것인데 말이죠.
1
오늘로도
해외에서 위험에 처한 국민을 방치하는 외교부의 사례가 워낙 많아서 공감이 가긴 합니다만 정부의 권고 사항을 무시 하고 피랍된 사람들을 궂이 구출하기 위해 애꿎은 말단 군인 이나 공무원이 리스크를 감수해야 합니까?
1
화이트카페모카
(회사)일 보다는 본인 취미생활을 중점으로
두고 사시던 분들 결국에는 그 취미생활 실증나거나 일에 더 몰두했으면 더 나은삶을 살았을텐데 라면서 힘드니까,승진 안될거야 마인드로
회피하듯이 살았다고 하더군요.
결국에는 사람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건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자부심과 그에 대한 보상이죠.
취미생활이 진짜 나자신과 뗄래야 뗄수없는 정도여야지 일은 단순히 금전적인 목적이고 진짜로
즐기는건 취미생활로써의 삶이 성립될듯
원론적으로는 본문 주장에 동감합니다. 저도 그렇게 살고 싶고(물론 그러질 못하죠) 근데 이게 정말 현실에 적용할때도 최선이냐 의문이 남는단 말이죠. 공산주의가 말만 들었을 땐 참 좋을거 같은데 실제로는 똥망하는 것처럼. 실제로 저렇게 편하게 남들의 잘못 - 심지어 상사의 잘못마저 - 쉽게 지적할 수 있는 직장/집단이 굉장히 효율이 좋을까 의문이란 말이죠.

옳지 못한 것에 대한 분노나 원칙을 지킨다는게 크게 틀린 일에만, 적절히 적용된다면 좋기만 하겠다만 실제로는 자기 편한데만 쓰는 사람이 많겠죠. 그리고 그런식으로 악용되는것이 있다보니 아얘 보수적인 곳이 나름의 장점도 있는 것이고. 아마 직장생활 하면서 이런 딜레마를 전혀 안느껴본 분도 없으실 것 같고요.
3
지난 글이지만..
제대로만 하면 최고의 효율이 나올겁니다.
정착되면 야근이나 예외적인 일이 발생될 경우가 거의 없어질테고, 그런일이 발생했다면 서로 공감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세상이 제대로 되는 일이 거의 없죠 ㅜㅜ
"실제로는 자기 편한데만 쓰는 사람이 많겠죠" 요 유혹에 넘어가기도 쉽구요
CONTAXND
난.... 꼰댄가봐 .. ㅠ 털썩
솔다이브
뭐 받는만큼만 하면되는거죠 뭐...

인생에 답이 있나요

내가 하고 내가 책임지는거죠 하고싶음 하고 아니면 말고
오늘도 20대 후반인 저는 회사에서 관행 혹은 어쩔 수 없다라는 미사여구를 붙인 비합리적인 행위에 대한 반기를 들고 왔습니다.

무조건 옳은 건 없다지만, 시대상에 맞는 행동상은 분명 있긴 마련입니다. 춫천.
저도 로하이님에 의견에 적극 동의 하는 바이나,

현재 회사 구성원 전체적인 비율로 봤을 땐, 저나 로하이님의 의견에 동의하면서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는 이들의 비율이 매우 적다는 현실이 개탄스러울 따름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5년 ~ 10년이 지나면 점점 점층적으로 문화가 바뀌지 않았겠읍니까? ㅎㅎ
1
젊은 꼰데들이 더 무서워요.
아는 것도 없이, 자신만의 논리로 터무니 없이 꼰데질 하거든요.

하지만,
이런 분위기들이 모인 변화의 결과들이..
제게도 좋더군요.

개인 이기주의로, 충분한 고려없는 객기로 빠지지만 않는다면 환영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0 문학[인터뷰 번역] 코맥 매카시의 독기를 품은 소설(1992 뉴욕타임즈) 8 Homo_Skeptic 17/05/13 9430 6
877 문학[자랑글] 구글독스 기반 독서관리 시트를 만들었읍니다 7 환경스페셜 19/10/20 6361 15
171 창작[조각글 18주차] 궁극의 질문 9 마스터충달 16/03/13 6444 4
199 일상/생각[조각글 24주차] 이해와 인정 사이 4 nickyo 16/05/02 5614 3
98 문학[조각글 2주차] (1주차와 약간 믹스, 약 기독) 노래는 가사지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5/10/30 6874 14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53 11
937 과학[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7075 12
229 역사[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6885 3
425 정치/사회[펌] 대선후보자제 성추행사건에 부쳐 112 기아트윈스 17/05/04 9424 14
275 일상/생각[펌] 시대로부터 밀려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46 기아트윈스 16/10/06 6129 14
858 일상/생각[펌] 자영업자의 시선으로 본 가난요인 43 멍청똑똑이 19/09/13 11471 89
903 일상/생각[펌글] 좋은게 좋은거라는 분위기가 세상을 망쳐왔다 21 Groot 19/12/27 6078 8
289 창작[한단설] For Sale : Baby shoes, never worn. 8 SCV 16/10/24 6968 11
306 창작[한단설] 손 없는 날 2 틸트 16/11/21 7174 11
1389 꿀팁/강좌[해석] 인스타 릴스 '사진찍는 꿀팁' 해석 24 *alchemist* 24/04/23 2925 16
182 기타[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6090 10
437 일상/생각[회고록] 그녀의 환한 미소 17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5/24 5252 13
341 일상/생각[회고록] 나 킴치 조아해요우 1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1/09 6077 18
4 게임[히어로즈] 이것만 알면 원숭이도 1인분은 한다 64 Azurespace 15/05/30 13945 76
1411 문학『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8 meson 24/10/12 1530 16
1079 IT/컴퓨터<소셜 딜레마>의 주된 주장들 9 호미밭의 파스꾼 21/04/06 5192 13
599 일상/생각#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41 새벽3시 18/02/28 7480 54
1226 정치/사회<20대 남성 53% "키스는 성관계 동의한 것">이라는 기사는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 보고서 원문 자료를 바탕으로 46 소요 22/07/25 5646 39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794 7
817 과학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7151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