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8/01 17:38:57수정됨
Name   메존일각
Subject   <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풀잎님께서 사진 게시판에 올리신 '고려청자 사진'( https://kongcha.net/?b=16&n=1933 ) 중 잔탁이 눈에 띄어 간단히 써보는 글입니다.

나무를 베니 남산이 빨갛게 되었고 / 落木童南山
불을 피워 연기가 해를 가렸네 / 放火烟蔽日
청자잔을 구워내 / 陶出綠甆杯
열 중 우수한 하나를 골랐구나 / 揀選十取一
선명하게 푸른 옥빛이 나니 / 瑩然碧玉光
몇 번이나 매연 속에 파묻혔었나 / 幾被靑煤沒
영롱하기는 수정처럼 맑고 / 玲瓏肖水精
단단하기는 바위와 맞먹네 / 堅硬敵山骨
이제 알겠네 술잔 만든 솜씨는 / 迺知埏塡功
하늘의 조화를 빌려왔나 보구려 / 似借天工術
가늘게 꽃무늬를 놓았는데 / 微微點花紋
오묘한 것이 단청을 그린 것 같구나 / 妙逼丹靑筆
* 한국고전종합DB의 해석을 자의대로 조금 수정했습니다.

고려의 재상이었던 이규보(李奎報)의 문집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제8권의 시 중 일부입니다. 문집 내에는 청자에 대해 묘사한 시들이 여러 편 존재하는데, 본편은 고려청자를 설명할 때 서긍의 <고려도경> 등과 함께 가장 빈번히 인용되는 대목입니다. 김군(金君)이 청자 술잔을 두고 시를 지어 달라 하여 이규보가 백거이의 시운을 따라 시를 지은 것으로, 본래는 제목이 없었는데 후대에 시에서 청자에 대한 묘사 부분만을 떼어내어 '청자송(靑瓷頌)' 또는 '綠瓷杯(녹자배)' 정도로 부르는 모양입니다.


청자상감국화문잔탁(靑磁象嵌菊花文盞托) / 12~13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하늘의 기술을 빌려와(借天工術)' 완성된 청자 술잔 하나의 빼어난 자태를 세심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규보의 생전에 읖어진 것이니 최전성기를 맞이하던 13세기 초의 고려청자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죠.  

가마에 넣을 땔감용 나무를 많이 베어 산이 민둥산이가 된 모습이나 연기가 해를 가릴 만큼 강한 화력으로 청자를 공들여 굽는 모습이 머릿속에서 생생하게 그려집니다. 술잔에 새겨진 꽃무늬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니 순청자는 아니고 상감청자라는 것도 알 수 있네요. 당대나 지금이나 녹이나 청을 잘 구분하지 않는 것과는 별개로 청자의 빛깔을 비(翡)색 대신 녹(綠)색을 언급한 점도 흥미롭습니다.

참고로 동시기 중국의 청자는 용천요(龍泉窯, 현재의 저장성 용천현)의 것들이 가장 유명합니다. 아래의 사진들이 용천요 청자로 북송 말기부터 남송~원에 이르는 13~14세기에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시유를 두텁게 하여 투명한 느낌의 고려청자보다 불투명하고 뽀얀 느낌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좌) 청자어룡장식 꽃병(靑磁 魚龍裝飾 花甁) / 13세기 / 원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신안선 발굴)
(우) 마황반(馬蝗絆) / 13세기 / 남송 / 일본 국립박물관 소장 / 중요문화재(한국의 보물급)

여담인데 <동국이상국집>에서 '동국'은 동쪽 나라인 고려를 뜻하는 것이고, '이상국'은 저자인 이규보를 가리킵니다. 이규보가 고려의 재상 관직인 문하시랑(門下侍郞) 자리까지 올랐기 때문에 상국(相國)이란 호칭을 붙인 것이죠. 요즘 말로 치환하면 <대한민국 이총리 문집> 정도가 되겠네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8-13 11:4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7


    잔탁이라고 부르나보네요. 명칭을 어떻게 부르는지 몰라서 컵과 받침이라고 생각했는데요...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차나 커피 같은 걸 좋아하기때문에 더 흥미로왔는데..차가 아니라 술잔이었네요. 저는 차도 참 예쁘게 담아서 먹네라고... :)
    메존일각

    아 저건 찻잔과 찻받침이 맞을 겁니다. 저 정도로 화려하니 대단한 고급품이었겠죠. 제 지식 수준으로는 술잔이 어떻게 생겼는지 잘 모르겠어서 어쩔 수 없이 잔탁 사진을 썼습니다. ㅠㅠ 고려인들은 미치도록 술을 마셨다니까 저 잔탁은 어쩌면 술잔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겠죠.

    한데 청자 수요가 확 늘어난 건 차문화와 관련성이 큽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왕실, 귀족이나 사찰에서 차문화가 성행하기 시작했고 불교시대인 고려시대에 만개했거든요. 그게 청자의 고급짐과 딱 맞아 떨어져서 12세기부터 다구들이 엄청나게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 더 보기
    아 저건 찻잔과 찻받침이 맞을 겁니다. 저 정도로 화려하니 대단한 고급품이었겠죠. 제 지식 수준으로는 술잔이 어떻게 생겼는지 잘 모르겠어서 어쩔 수 없이 잔탁 사진을 썼습니다. ㅠㅠ 고려인들은 미치도록 술을 마셨다니까 저 잔탁은 어쩌면 술잔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겠죠.

    한데 청자 수요가 확 늘어난 건 차문화와 관련성이 큽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왕실, 귀족이나 사찰에서 차문화가 성행하기 시작했고 불교시대인 고려시대에 만개했거든요. 그게 청자의 고급짐과 딱 맞아 떨어져서 12세기부터 다구들이 엄청나게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여담인데 고려시대의 찻잔은 지금의 것과 비교하면 엄청 컸습니다. 일반적인 찻잔은 사진의 완(宛)이었는데 입지름이 12~15cm 정도이고 두 손으로 받치고 마셨습니다. 지금은 잔이 극히 작아졌지만 이때의 습관은 그대로 이어져서 두 손으로 마시는 것 같습니다.
    사실 차를 마시게되면 머그컵 정도의 양으로 마시게되니 큰 사이즈도 말이되는것 같아요. 설명감사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0 문학[인터뷰 번역] 코맥 매카시의 독기를 품은 소설(1992 뉴욕타임즈) 8 Homo_Skeptic 17/05/13 9430 6
    877 문학[자랑글] 구글독스 기반 독서관리 시트를 만들었읍니다 7 환경스페셜 19/10/20 6361 15
    171 창작[조각글 18주차] 궁극의 질문 9 마스터충달 16/03/13 6444 4
    199 일상/생각[조각글 24주차] 이해와 인정 사이 4 nickyo 16/05/02 5614 3
    98 문학[조각글 2주차] (1주차와 약간 믹스, 약 기독) 노래는 가사지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5/10/30 6874 14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53 11
    937 과학[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7075 12
    229 역사[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6885 3
    425 정치/사회[펌] 대선후보자제 성추행사건에 부쳐 112 기아트윈스 17/05/04 9424 14
    275 일상/생각[펌] 시대로부터 밀려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46 기아트윈스 16/10/06 6129 14
    858 일상/생각[펌] 자영업자의 시선으로 본 가난요인 43 멍청똑똑이 19/09/13 11471 89
    903 일상/생각[펌글] 좋은게 좋은거라는 분위기가 세상을 망쳐왔다 21 Groot 19/12/27 6079 8
    289 창작[한단설] For Sale : Baby shoes, never worn. 8 SCV 16/10/24 6968 11
    306 창작[한단설] 손 없는 날 2 틸트 16/11/21 7174 11
    1389 꿀팁/강좌[해석] 인스타 릴스 '사진찍는 꿀팁' 해석 24 *alchemist* 24/04/23 2925 16
    182 기타[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6090 10
    437 일상/생각[회고록] 그녀의 환한 미소 17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5/24 5252 13
    341 일상/생각[회고록] 나 킴치 조아해요우 1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1/09 6078 18
    4 게임[히어로즈] 이것만 알면 원숭이도 1인분은 한다 64 Azurespace 15/05/30 13945 76
    1411 문학『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8 meson 24/10/12 1530 16
    1079 IT/컴퓨터<소셜 딜레마>의 주된 주장들 9 호미밭의 파스꾼 21/04/06 5192 13
    599 일상/생각#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41 새벽3시 18/02/28 7481 54
    1226 정치/사회<20대 남성 53% "키스는 성관계 동의한 것">이라는 기사는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 보고서 원문 자료를 바탕으로 46 소요 22/07/25 5646 39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794 7
    817 과학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7152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