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7/09 06:16:53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왜 일본 만화 속 학교엔 특활부 이야기만 가득한가 - 토마스 라마르
토마스 라마르(Thomas LaMarre) 선생의 발표를 듣고 왔습니다. 발표가 넘나 인상적이에서 나중에 찾아보니 위키피디아에 등재된 네임드였다능.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LaMarre 이하는 제가 듣고 요약한 내용입니다.



1. 일본의 중고등학교는 애니 속에서 어떻게 표상되는가.

라마르가 보기에 2000년대를 전후로 아주 중요한 변화가 있었답니다. 그 이전의 학원물의 공간적 배경은 교실-복도로 이루어져있으며, 사건은 대개 수업시간의 교실이나 쉬는시간의 복도에서 일어난다든가, 그게 아니라면 하교길에서 일어난다든가 합니다. 학내에서 교실-복도를 제외하고 무언가 일이 벌어지려면 고작해야 운동부 정도. 란마 같은 만화를 생각해보시면 대충 각이 나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 이 구도가 바뀝니다. 방과후 클럽/서클 활동이 들어오면서 학교생활은 이 '부서' 위주로 재편됩니다. 교실의 등장 비중 및 역할이 크게 축소되고 부서활동이 그 자리를 차지합니다. 케이온이나 두근두근 문예부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십시오. 학교 다니는 게 학교 다닐라고 다니는 게 아니라 부서활동 할라고 다니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



2. 왜 그런가

일본의 교육정책이 바뀐 게 큽니다. 90년대 말까지의 중고교 교실은 대입 전진기지로서의 역할이 컸습니다. 선생들은 애들 기강을 잡고 (discipline) 벌을 줍니다. 학생들은 옆에 앉은 섁기를 제치고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 노력합니다. 배틀로얄은 교실의 이러한 성격을 대표하는 작품이자, (어쩌면) 최후의 작품입니다.

2000년대에 들어 일본 정부는 모든 학생에게 특별활동 클럽에 들기를 장려하기 시작합니다. 밴드를 하거나, 다도를 하거나, 좀비아포칼립스를 하거나 (??), 추리를 하거나, 기타등등 뭘 해도 됩니다. 특활은 아이들에게 취미를 개발할 수 있는 시공간을 제공합니다. 일본 애니는 이런 변화를 즉각 받아들였습니다. 왜냐면, 쟝르융합에 아주 유리하거든요. 일본만화의 과반은 학원물인데, 현실의 학교에서 공부만 한다면 만화속 학교가 다룰 수 있는 소재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특활부 위주로 새롭게 재편된 학교는 학원물의 쟝르적 한계를 극복하게 해줍니다. 소재가 뭐가 됐든 대충 어디 고등학교 특활부에서 이런 걸 했다...고 하면 됨.



3. 좋은 거냐

좋을 수도 안좋을 수도 있습니다. 애들 쥐어짜서 동경대 보내는 교육은 미셸 푸코가 말했던 것처럼 유순한 몸뚱아리(docile body)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불균일한 개개인에게 강한 기율 (discipline)을 부여해서 고분고분한 인간상을 만들어낸다는 거지요.

특활부 위주의 학교는 유순한 몸뚱이를 만드는 데 적합한 공간이 아닙니다. 대신에, 쥬디스 버틀러가 말한 바 흥분시키기 쉬운 몸뚱아리 (excitable body)를 만들어내는 곳이라고 볼 여지가 있습니다. 유순한 몸뚱이는 국가가 요구하는 몸뚱이들입니다. 애들이 말을 잘 들어야 동원(mobilise)이 되거든요. 반면에 흥분시키기 쉬운 몸뚱아리는 자본이 요구하는 몸뚱이들입니다. 자본이 '자 이거 갖고 싶지?' 라고 말했을 때 맘이 흔들려서 '아아... 호시이데스..'하고 지갑을 열어주는 몸뚱아리들이 있어야 되거든요. 자극에 쉽게 반응하는 몸뚱아리를 조련하기 위해서는 일찍일찍 취미시장에 노출시키고 굿즈 맛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실위주의 학교 (금욕적 학교)보다 활동부 위주의 학교(취미발달 학교)가 더 적합니다.

또 한 가지 관련하여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은 일본 사회의 역동성이 상당히 감소했다는 점입니다. 이부분은 두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계층이동, 다른 하나는 이념입니다.

아득바득 동경대에 가야만 했던 사회는 그래도 '출세'가 가능한 사회였는데, 계층이동이 어려워진 지금은 그렇게 아득바득 공부하느니 걍 학교에서 열심히 기타나 치다가 졸업하고 바로 편의점 알바하면서 소소하게 살다 죽는 삶이....

일본사회가 무이념사회가 됐다는 것도 주목할 만합니다. 90년대까지는 그래도 '우뚝 일어서서 영광스런 일본을 건설하자' 정도의 이념은 있었는데 그 이후론 이렇다할 이념적 동력이 안보입니다. 딱히 우리 모두 열심히 살아서 어딘가로 함께 나아가겠다는 힘이 없으니 걍 어려서부터 기타나 치면서 너도 초식 나도 초식 하는 게 아닌가...;ㅅ;

라마르는 그래서 두 눈 부릅뜨고 발버둥치던 배틀로얄의 시대가 끝났다고해서 모든 교육 문제가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오히려 그 시대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종류의 문제가 나타났고, 특활만 하는 만화속 중고교생들의 모습은 그런 문제를 어렴풋이 시사해주는 일각일지도 모른다고 하네요.


4. 결론

이 아조시가 워낙 달변이라 발표 듣는 동안은 아 그렇구나 설명 참 시원시원하게 잘하시네 하고 넘어갔는데 이제사 복기해보니 어쩐지 헬조선의 향기가 킁킁 나는군요. 크큭... 과연 동조선과 서조선은 형제의 나라라는 것이로군요 (웃음)....

* 수박이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7-23 07:54)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0
  • 슬픈결론 흑흑
  • 춫천
  • 사스가 하카세


April_fool
센세, 귀가부는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그나저나 동아리 활동이 2000년대 들어서 장려되기 시작했다는 것은 신기하군요.
기아트윈스
덕력이 부족하여 거기까진 못봤습니다.

발표에선 97년인가 98년인가에 통과된 법령을 콕 찝어서 이야기했는데 메모를 못했어요. 하필 그 때가 배틀로얄 집필-발표 시기였다는 게 인상적이었음.
자공진
'유토리 교육'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던 1998년의 학습지도요령일까요...? https://ja.m.wikipedia.org/wiki/ゆとり教育
기아트윈스
그런가보네요. 링크에 따르면 1998년이 확실히 큰 분기였던 듯.
알료사
둘다 마음에 안드네요 끄응 유순한 몸뚱아리도.. 흥분하기 쉬운 몸뚱아리도.. 이념을 따라 우르르 몰려가는 사람들도, 이념이 없어지니 초식초식 하는 사람들도.. 아아.. 통찰력 좋은 글이란 이렇게 사람을 보잘것없이 보이게 만드는 것인가.. ㅜㅠ 끆끅

ㅎㅎ 잘읽었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어른들이 이런저런 좋은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아이들을 훌륭하게 키우려 노력하는데 그게 잘 안되잖아요? 이렇게 하면 이런 문제가 터져서 시스템 개편을 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서 갈팡질팡 하고 그동안 학생들만 피해본다 비판받고 하 ... 더 보기
둘다 마음에 안드네요 끄응 유순한 몸뚱아리도.. 흥분하기 쉬운 몸뚱아리도.. 이념을 따라 우르르 몰려가는 사람들도, 이념이 없어지니 초식초식 하는 사람들도.. 아아.. 통찰력 좋은 글이란 이렇게 사람을 보잘것없이 보이게 만드는 것인가.. ㅜㅠ 끆끅

ㅎㅎ 잘읽었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어른들이 이런저런 좋은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아이들을 훌륭하게 키우려 노력하는데 그게 잘 안되잖아요? 이렇게 하면 이런 문제가 터져서 시스템 개편을 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서 갈팡질팡 하고 그동안 학생들만 피해본다 비판받고 하 노답이네 ㅉㅉ 하는 절망에 빠져들고..

그런데 지금 기아트윈스님 글을 읽고, 아, 정말 다행이다. 교육시스템이란 것이 불완전할수밖에 없어 정말 다행이다, 만약에 잘 만들어진 교육시스템이 있어 그 의도대로 <유순한 몸뚱아리>든 <흥분하기 쉬운 몸뚱아리>든 무럭무럭 양성된다면 얼마나 끔찍한 세상인가, 하고..

시대마다 상상하기 힘든 <새로운 종류의 문제>가 발생하는 덕분에, 어쩌면 인간은 길들여지지 않고 개성을 지키고 자기만의 이념을 위해 흥분하며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아.. 아닌거 같아요.. 희망사항 같아요.. 허허허 출세와 계층이동의 가능성이 아니면 의욕이 없어지는게 인간이라는 평범한 결론에 왜 이렇게 힘이 빠질까요.. ㅜㅠ 말씀하신대로 옆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닌거 같아 더욱.. 그래도 이 논리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들을 개별적으로 여러번 겪을 수 있었던 저의 행운에 감사드립니다..
6
기아트윈스
글쵸. 교육을 아무리 건드려도 애들이 꼭 거기 맞춰서 자라진 않지요 ㅋㅋ 다만 그... 뭐랄까... 이건 그냥 개인적인 짐작인데, 전반적인 분위기? 그런 건 교육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긴 해요. 배틀로얄 분위기/교실이데아 분위기를 입시정책과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운 것처럼요. 교육정책은 그런 면에서 '교육'계를 넘어서는 영향력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러니 늘 예의주시 해야 ㅎㅎ

무이념의 세상, 계층이동이 없는 세상이 얼마나 힘빠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평소에 어렴풋이 짐작만 하던 건데 라마르 센세가 바로 그 이야기를... 더 보기
글쵸. 교육을 아무리 건드려도 애들이 꼭 거기 맞춰서 자라진 않지요 ㅋㅋ 다만 그... 뭐랄까... 이건 그냥 개인적인 짐작인데, 전반적인 분위기? 그런 건 교육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긴 해요. 배틀로얄 분위기/교실이데아 분위기를 입시정책과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운 것처럼요. 교육정책은 그런 면에서 '교육'계를 넘어서는 영향력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러니 늘 예의주시 해야 ㅎㅎ

무이념의 세상, 계층이동이 없는 세상이 얼마나 힘빠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평소에 어렴풋이 짐작만 하던 건데 라마르 센세가 바로 그 이야기를 콕 찝어줘서 속이 시원했어요. 왜 그렇잖아요. 둘 다 제 취향은 아니지만, 그래도 꿈이라곤 재산 불리는 것 밖에 없는 수꼴러의 개진개진한 눈보단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외치는 수꼴러의 날 선 눈빛이 쬐끔 낫지 않나요 ㅋ
2
알료사
요새 누가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외칩니까 흑흑 그래서 제가 강철비 같은 북한물을 보면서 인민을 위해 공화국을 위해 충성을 바치는 동무들을 보며 대리만족하지 않습니까 ㅜ 뭐가 보입니까 하니까 조국, 이라고 말하는 덩케르크 같은 국뽕물 우리는 못만드는겁니까 ㅜ
기아트윈스
선생님. 신에겐 아직 13%의 지지율을 자랑하는 이념보수가 있습니다.....만 별로 친하게 지내고 싶진 않군요 ㅠㅠ

그나저나 강철비가 좋은 영화인가보네요. 한 번 보라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들었는데 여기서 또 듣다니!
김우라만
2000년대 부터 일본의 이념은 우익아닙니까.
딱 혐한이 등장하기 시작한 때
기아트윈스
일본사 전문가 김시덕 선생이 그런 말을 한 적이 있어요. 일본사회가 대강 이런 교착상태에 빠지면 시원하게 전쟁 한 번 일으켜서 불만을 해소하곤 했대요. 그게 내전이 됐든 해외파병이 됐든. 그런데 이젠 전쟁으로 화풀이하기 어려운 세상이 되어버려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괜히 짜증/신경질만 내고 있는 상태... 라고 진단했는데 어쩐지 우익의 대두에 대해선 이 설명이 제일 맞아보였어요.
1
"경쟁을 해봤자 별 의미 없으니 경쟁따위 해서 뭐해..."같은 흐름으로 읽혀서 보기 좋아보이는 경쟁없는 입시의 그림자라고 해석해도 되겠네요.
1
기아트윈스
글쵸...
한국도 학종이후 동아리가 엄청 활성화되고 있죠. 일본이 한국의 미래인거야 많은 분들이 동의하는건데 저는 과연 그 갭이 몇 년인가가 더 궁금합니다. 내수시장도 더 작고, 사회의 신뢰도도 낮은 한국이 얼마나 더 버틸까를 생각해보면..
기아트윈스
네. 예전엔 '한국, 일본에 20년 뒤쳐저' 이런 헤드라인을 보면서 건전한 애국보수주의자인 기아트윈스는 '우리 민족의 영광을 위해 어서 저것들을 따라잡아야겠다'는 건전한 생각을 품었었더랬지요. 그런데 요즘 보면 한국이나 일본이나 시차가 없는 것 같은데 이게 그닥 기쁘지 않네요 ㅋㅋㅋㅋ
루키즈
제가 고등학교 졸업하고나니 한국에서 동아리 붐이 생기고 했던거 보면 아직 한 10년쯤 차이나는거 같습니다
사랑하는홍차에게
아 글 너무 재밌잖아!!! 하고 봤더니 글쓴 분이 역시....선생님 강의해주시면 안되나요!!!+_+ ㅋㅋㅋㅋ
기아트윈스
아직 박사학위도 못받은 석사나부랭이입니다 ㅠ.ㅠ 강의는 일단 포닥자리라도 잡고 나서...
잠깐... 두근두근 뭐요..????? 예시가 너무 ㅎㄷㄷ 한거 아닙니까 ㅎㄷㄷㄷ
1
April_fool

Just Monika.
1
기아트윈스
캬 이걸 놓치지 않고 잡아내시다니. 아조시 덕력 넘나 높은 거 아임미까.
제로스
학교생활!
케이온과 함께 올라와있는 예시의 상태가...?
기아트윈스

쉿....!
그러고 보면 그 이전의 학원물하고 많이 다르네요. 이것도 따지고 보면 하루히가 기점으로 나오려나요...
기아트윈스
하루히도 좋은 사례이긴 한데 학원물 쟝르의 변화 자체는 그보다 더 이를 거예요. 라마르 센세는 2000년대 극초반부터 특활중심 학원물이 마구 쏟아졌다고 말하면서 사례를 한 열 개 정도 댔는데 제가 덕력 끈이 짧아서 다 알아듣고 받아적지 못했어요.
교수님 덕력이 엄청나네요..학원물 10개를 말하래도 못하겠는데...
기아트윈스
교수님이 발표할 땐 편의점이라고 안하고 '콘비니'라고 하더라구요. 덕력 넘 높아서 깜놀.
커피최고
더쿠로서 리스트가 굉장히 궁금하다능....
뒷짐진강아지
역시 답은 내선일ㅊ... (웁웁)
키아핀
늦었지만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나코나코나
의외로 6-70년대에 동아리 활동이 흥성했는데(이 시기를 다룬 게 빙과, 69, 청년을 위한 독서클럽 등의 작품이죠)
중간에 침체기를 맞다가 00년대에 들어오면서 일거에 동아리 붐이 만개했습니다.

6-70년대는 반정부 반자본 시위가 일본을 휩쓸던 시절이었고, 00년대는 글에서 언급하신 유토리 교육시대였고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53 일상/생각도어락을 고친 것은 화성학과 치과보철학이었다 3 Merrlen 21/12/15 4728 31
1121 일상/생각손님들#1 7 Regenbogen 21/08/25 4371 31
1077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4 기아트윈스 21/04/02 8448 31
1063 일상/생각30평대 아파트 셀프 인테리어 후기 28 녹차김밥 21/02/22 7463 31
915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7257 31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761 31
615 영화인어공주, 외국어, 인싸 24 기아트윈스 18/04/10 8248 31
605 철학/종교감동(感動) 23 기아트윈스 18/03/22 7861 31
544 일상/생각무죄 판결 21 烏鳳 17/11/14 7917 31
1307 과학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505 31
388 일상/생각정리해고 당했던 날 47 소라게 17/03/15 6376 31
174 일상/생각수업시간 추억 한 폭 7 기아트윈스 16/03/26 5705 31
1366 체육/스포츠(데이터 주의)'빌드업 축구'는 없다. 우루과이전으로 돌아보는 벤투호의 빌드업. 13 joel 24/02/12 2910 30
1236 기타2022 걸그룹 4/6 31 헬리제의우울 22/09/06 4843 30
1189 경제넷플릭스: 주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19 코리몬테아스 22/04/21 5225 30
1158 꿀팁/강좌인체공학적 사무 환경 조성하기 33 구글 고랭이 21/12/31 6640 30
1133 정치/사회청소년, 정체성의 발전, 인종관계 15 소요 21/10/03 4865 30
1053 일상/생각34살, 그 하루를 기억하며 8 사이시옷(사이시옷) 21/01/21 5340 30
995 일상/생각풀 리모트가 내 주변에 끼친 영향 16 ikuk 20/08/12 5466 30
981 철학/종교자제력, 지배력, 그리고 이해력 13 기아트윈스 20/07/10 6704 30
919 일상/생각사회주의 대 반사회주의 9 necessary evil 20/02/06 5922 30
897 일상/생각아픈 것은 죄가 아닙니다. 27 해유 19/12/13 5929 30
660 문학왜 일본 만화 속 학교엔 특활부 이야기만 가득한가 - 토마스 라마르 31 기아트윈스 18/07/09 8468 30
635 일상/생각오물 대처법 6 하얀 18/05/20 6409 30
616 일상/생각오빠 변했네? 14 그럼에도불구하고 18/04/16 7347 3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