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8/05/28 19:00:07 |
Name | 기아트윈스 |
Subject | 권력과 프라이버시 |
권력도 재화와 비슷해서 가치를 저장해줄 매체가 필요해요. 개인의 일신에 카리스마의 형태로 보관하기, 한 가문/혈통에 계승신화의 형태로 저장하기 등등은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매체구요. 또다른 유명한 권력저장방식이 바로 프라이버시예요. 대체로 한 사람이 보유하는 프라이버시는 그 사람의 권력 보유량에 비례해요. 계급이 낮을 수록 지킬 수 있는 프라이버시가 (자의반 타의반) 줄어드는 반면 계급이 높을 수록 여러가지 수단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원하는 만큼 확보할 수 있지요. 명백한 곳에선 신화가 발생하지 않아요. 신화는 세간의 접근이 차단된 곳에서 발생하지요. 올림포스 꼭대기, 신단수, 동해바다, 킬리만자로, 하늘위 등등 '구중궁궐'은 그래서 세속에 재현된 올림포스예요. 인위적으로 서울 한가운데 만들어둔 절대적인 프라이버시의 영역, 신화의 원천, 권력의 저장소. 그래서 가만보면 전통왕조가 위기에 처하면 궁궐재건축에 들어가요. 옛날 사학자들은 이런 행위를 두고 '미친 놈/년이 이토록 위급한 시점에 쓰잘데기 없는 데다 돈을 쏟아부었다'고 막 쌍욕하고 그랬어요. 그런데 요즘들어 수정사학(revisionist history) 좋아하는 분들은 오히려. '야 냉정하게 바라봐야지. 왕조가 권력누수로 망해가는데 뭐라도 해야할 거 아냐. 누수를 막기 위해 권력발전소 같은 걸 지었던 거 아니겠어' 라고들 해요.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무기체계의 발달과 더불어 도시건축도 혁신적으로 변했어요. 더이상 사람들은 요새와 성곽을 만들지 않게 됐지요. 하지만 대포와 로켓의 발달은 권력의 저장방식에는 별다른 변화를 주지 못했어요. 한양성곽이 무너졌지만 청와대는 경복궁과 별 차이 없는 방식으로 권력을 저장하고 생산했지요. 그런데 21세기에 이르러 사정이 조금 달라졌어요. 미디어의 발달 덕분인데, 미디어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각 개인의 채증능력과 정보확산능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로 인해 프라이버시의 절대총량이 (체감상) 크게 줄었어요. 그래서 권력의 저장방식으로서 프라이버시의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깎여나갔지요. 폭로전과 여론전이 이전보다 훨씬 쉽고 훨씬 효과적으로 수행됨에따라 '내 프라이버시를 지키기보단 상대방의 프라이버시를 공격함으로써 타격을 입혀야겠다'는 발상의 전환이 발생했고, 2010년 정도를 전후로 이 아이디어가 최초로 국내 정치권 안에서 '채택'된 게 2012년 댓글부대 사건이었다...고 생각해요. 이런 경향을 가장 극적인 형태로 보여준 건 역시 박근혜 탄핵사건이에요. 사법부를 완전히 우회해서, 혐의에 대한 판단은 커녕 수사조차 제대로 하기 전에 여론의 힘만으로 대통령을 사실상 날려버렸지요. 헌재의 판단은 사실상 여론재판결과에 대한 '추인'에 가까웠구요 ㅎㅎ 결과적으론 잘 되긴 했는데 (경협주도 떡상하고ㅋ) 그 절차란게 돌이켜보면 참 별 거 없어요. 적극적인 언론 하나 끼고서 벌인 대규모 유죄추정 미투운동에 불과했던 것... 고은, 정봉주, 이명희, 조현민 건들은 디테일이야 조금씩 다를지언정 본질적으로는 현대에 들어 달라진 여론전의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에요. 기존에 그들의 권력을 지탱해주던 희미한 구중궁궐(프라이버시) 실드가 벗겨지면서 백주대낮에 빨개벗겨 내던져지니까 저렇게 타작을 당하게 된 거지요. 탈신화화랄까. 이 중에 사법부의 판단이 나온 케이스가 하나도 없다는 것도 주목할 만해요. 여러분이 이걸 반기든 아니든 이제 프라이버시의 시대는 가고 크고작은 폭로와 여론전의 시대가 온 것입니다. 그러므로 현명한 시민 여러분은 어서 빨리 싸이월드 미니홈피부터 삭제하도록 합시다. (타임라인용 글감이었는데 넘나 길어서 튕겨나온 것)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6-11 07:4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7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네... 문명 시리즈로 비유하자면 구중궁궐 '원더' 가 권력발전소 효과를 내던 건 현대 이전까지고... 현대 들어선 효과가 반감되거나 사라진 거죠.
네. 아마 좀 더 새로운 미디어에 친화적인 형태로 적응하지 않을까 싶어요. 얼마 전에 보니까 오바마부부가 프로덕션 하나 설립해서 넷플릭스와 공급계약을 맺었더라구요. 전통적으로 미국대통령은 퇴임후 자서전을 내는 방식으로 권력을 행사했는데 이젠 넷플릭스를 쓰는 시대로 바뀌었다는 게 참 신기하지요.
현 청와대가 트렌디하다 느낀 게 대통령의 프라이버시의 일부를 대중에 완전 오픈함으로써 대중들로 하여금 대통령이 가까이 있다는 이미지와 친근감을 주고 있죠. 청와대 청원시스템도 그런 것일테고
잘 읽었습니다. 평소에 제가 생각하던 부분과 겹치는 부분이 많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인간은 통제가능한 공간을 갖기 원한다."라는 명제로 출발합니다.
그런 공간을 가지기 위해 권력을 추구하고, 아무리 작은 권력이라도 갖게 되면 제일먼저 하는 것이 그런 공간의 확장이라고 보거든요.
그런 공간 속에 자신을 감추는 것이 프라이버시를 의미하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외에도 권력자들이 원하는 것은 프라이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력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서서,
외부로 영향력을 가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생각해요.
최고급 승용차... 더 보기
저 같은 경우에는 "인간은 통제가능한 공간을 갖기 원한다."라는 명제로 출발합니다.
그런 공간을 가지기 위해 권력을 추구하고, 아무리 작은 권력이라도 갖게 되면 제일먼저 하는 것이 그런 공간의 확장이라고 보거든요.
그런 공간 속에 자신을 감추는 것이 프라이버시를 의미하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외에도 권력자들이 원하는 것은 프라이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력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서서,
외부로 영향력을 가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생각해요.
최고급 승용차... 더 보기
잘 읽었습니다. 평소에 제가 생각하던 부분과 겹치는 부분이 많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인간은 통제가능한 공간을 갖기 원한다."라는 명제로 출발합니다.
그런 공간을 가지기 위해 권력을 추구하고, 아무리 작은 권력이라도 갖게 되면 제일먼저 하는 것이 그런 공간의 확장이라고 보거든요.
그런 공간 속에 자신을 감추는 것이 프라이버시를 의미하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외에도 권력자들이 원하는 것은 프라이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력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서서,
외부로 영향력을 가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생각해요.
최고급 승용차의 덕목을 꼽을 때 "승차감"도 좋지만 "하차감"도 좋다. 라는 우스갯 소리가 있는 것 처럼요.
미시적으로는 같은 교실 속에서도 선생님에게 부여되는 공간(교단과 교탁)은 학생들의 1인당 허용되는 공간에 비해 더 크고, 어느 회사든지 사장이나 임원방은 더 크고 독립된 공간을 부여하고, 똑같은 파티장에서도 셀럽에게는 자발적으로 혹은 비자발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할당해 주는 것.
거시적으로는 영토확장이라던지 신대륙 탐험, 우주 개발, 크고 웅장한 건축물 건립 등이 있겠죠.
저 같은 경우에는 "인간은 통제가능한 공간을 갖기 원한다."라는 명제로 출발합니다.
그런 공간을 가지기 위해 권력을 추구하고, 아무리 작은 권력이라도 갖게 되면 제일먼저 하는 것이 그런 공간의 확장이라고 보거든요.
그런 공간 속에 자신을 감추는 것이 프라이버시를 의미하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외에도 권력자들이 원하는 것은 프라이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력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서서,
외부로 영향력을 가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생각해요.
최고급 승용차의 덕목을 꼽을 때 "승차감"도 좋지만 "하차감"도 좋다. 라는 우스갯 소리가 있는 것 처럼요.
미시적으로는 같은 교실 속에서도 선생님에게 부여되는 공간(교단과 교탁)은 학생들의 1인당 허용되는 공간에 비해 더 크고, 어느 회사든지 사장이나 임원방은 더 크고 독립된 공간을 부여하고, 똑같은 파티장에서도 셀럽에게는 자발적으로 혹은 비자발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할당해 주는 것.
거시적으로는 영토확장이라던지 신대륙 탐험, 우주 개발, 크고 웅장한 건축물 건립 등이 있겠죠.
재밌는 주제인데요. 저는 아직 많이 몰라서이겠지만... 권력은 지식에서 나온다고 생각했어요. 프라이버시는 그 안에 있는 것쯤으로 생각했는데요.
대신에, 이미 권력이 있는 이들... 재벌들 자녀들은 가장 지키고 싶어하는 것이 프라이버시인 것 같구나를 어렴풋하게 느꼈는데요. 대신에 그들은 지식을 가진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형편이니깐 크게 지식은 필요한 것이지 절대적인 느낌은 아니구나 하는 그런 주관적인 생각을 했어요. 하지만, 그런 권력가들에게 프라이버시를 꼭 지켜야 하는 이유는, 그 프라이버시라는 것이 너무나 통속적인... 더 보기
대신에, 이미 권력이 있는 이들... 재벌들 자녀들은 가장 지키고 싶어하는 것이 프라이버시인 것 같구나를 어렴풋하게 느꼈는데요. 대신에 그들은 지식을 가진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형편이니깐 크게 지식은 필요한 것이지 절대적인 느낌은 아니구나 하는 그런 주관적인 생각을 했어요. 하지만, 그런 권력가들에게 프라이버시를 꼭 지켜야 하는 이유는, 그 프라이버시라는 것이 너무나 통속적인... 더 보기
재밌는 주제인데요. 저는 아직 많이 몰라서이겠지만... 권력은 지식에서 나온다고 생각했어요. 프라이버시는 그 안에 있는 것쯤으로 생각했는데요.
대신에, 이미 권력이 있는 이들... 재벌들 자녀들은 가장 지키고 싶어하는 것이 프라이버시인 것 같구나를 어렴풋하게 느꼈는데요. 대신에 그들은 지식을 가진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형편이니깐 크게 지식은 필요한 것이지 절대적인 느낌은 아니구나 하는 그런 주관적인 생각을 했어요. 하지만, 그런 권력가들에게 프라이버시를 꼭 지켜야 하는 이유는, 그 프라이버시라는 것이 너무나 통속적인 것을 본인들도 알기 때문에 자신과 권력이 없는 이들을 구별할 이유로 프라이버시가 꼭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어요.
인간 우리는 너무나 통속적이지 않나요? 클린턴 부터 트황... 이명희까지...
대신에, 이미 권력이 있는 이들... 재벌들 자녀들은 가장 지키고 싶어하는 것이 프라이버시인 것 같구나를 어렴풋하게 느꼈는데요. 대신에 그들은 지식을 가진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형편이니깐 크게 지식은 필요한 것이지 절대적인 느낌은 아니구나 하는 그런 주관적인 생각을 했어요. 하지만, 그런 권력가들에게 프라이버시를 꼭 지켜야 하는 이유는, 그 프라이버시라는 것이 너무나 통속적인 것을 본인들도 알기 때문에 자신과 권력이 없는 이들을 구별할 이유로 프라이버시가 꼭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어요.
인간 우리는 너무나 통속적이지 않나요? 클린턴 부터 트황... 이명희까지...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