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5/28 19:00:07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권력과 프라이버시
권력도 재화와 비슷해서 가치를 저장해줄 매체가 필요해요. 개인의 일신에 카리스마의 형태로 보관하기, 한 가문/혈통에 계승신화의 형태로 저장하기 등등은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매체구요.

또다른 유명한 권력저장방식이 바로 프라이버시예요. 대체로 한 사람이 보유하는 프라이버시는 그 사람의 권력 보유량에 비례해요. 계급이 낮을 수록 지킬 수 있는 프라이버시가 (자의반 타의반) 줄어드는 반면 계급이 높을 수록 여러가지 수단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원하는 만큼 확보할 수 있지요. 명백한 곳에선 신화가 발생하지 않아요. 신화는 세간의 접근이 차단된 곳에서 발생하지요. 올림포스 꼭대기, 신단수, 동해바다, 킬리만자로, 하늘위 등등 '구중궁궐'은 그래서 세속에 재현된 올림포스예요. 인위적으로 서울 한가운데 만들어둔 절대적인 프라이버시의 영역, 신화의 원천, 권력의 저장소.

그래서 가만보면 전통왕조가 위기에 처하면 궁궐재건축에 들어가요. 옛날 사학자들은 이런 행위를 두고 '미친 놈/년이 이토록 위급한 시점에 쓰잘데기 없는 데다 돈을 쏟아부었다'고 막 쌍욕하고 그랬어요. 그런데 요즘들어 수정사학(revisionist history) 좋아하는 분들은 오히려. '야 냉정하게 바라봐야지. 왕조가 권력누수로 망해가는데 뭐라도 해야할 거 아냐. 누수를 막기 위해 권력발전소 같은 걸 지었던 거 아니겠어' 라고들 해요.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무기체계의 발달과 더불어 도시건축도 혁신적으로 변했어요. 더이상 사람들은 요새와 성곽을 만들지 않게 됐지요. 하지만 대포와 로켓의 발달은 권력의 저장방식에는 별다른 변화를 주지 못했어요. 한양성곽이 무너졌지만 청와대는 경복궁과 별 차이 없는 방식으로 권력을 저장하고 생산했지요. 그런데 21세기에 이르러 사정이 조금 달라졌어요. 미디어의 발달 덕분인데, 미디어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각 개인의 채증능력과 정보확산능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로 인해 프라이버시의 절대총량이 (체감상) 크게 줄었어요. 그래서 권력의 저장방식으로서 프라이버시의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깎여나갔지요. 폭로전과 여론전이 이전보다 훨씬 쉽고 훨씬 효과적으로 수행됨에따라 '내 프라이버시를 지키기보단 상대방의 프라이버시를 공격함으로써 타격을 입혀야겠다'는 발상의 전환이 발생했고, 2010년 정도를 전후로 이 아이디어가 최초로 국내 정치권 안에서 '채택'된 게 2012년 댓글부대 사건이었다...고 생각해요.

이런 경향을 가장 극적인 형태로 보여준 건 역시 박근혜 탄핵사건이에요. 사법부를 완전히 우회해서, 혐의에 대한 판단은 커녕 수사조차 제대로 하기 전에 여론의 힘만으로 대통령을 사실상 날려버렸지요. 헌재의 판단은 사실상 여론재판결과에 대한 '추인'에 가까웠구요 ㅎㅎ 결과적으론 잘 되긴 했는데 (경협주도 떡상하고ㅋ) 그 절차란게 돌이켜보면 참 별 거 없어요. 적극적인 언론 하나 끼고서 벌인 대규모 유죄추정 미투운동에 불과했던 것...

고은, 정봉주, 이명희, 조현민 건들은 디테일이야 조금씩 다를지언정 본질적으로는 현대에 들어 달라진 여론전의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에요. 기존에 그들의 권력을 지탱해주던 희미한 구중궁궐(프라이버시) 실드가 벗겨지면서 백주대낮에 빨개벗겨 내던져지니까 저렇게 타작을 당하게 된 거지요. 탈신화화랄까. 이 중에 사법부의 판단이 나온 케이스가 하나도 없다는 것도 주목할 만해요.

여러분이 이걸 반기든 아니든 이제 프라이버시의 시대는 가고 크고작은 폭로와 여론전의 시대가 온 것입니다. 그러므로 현명한 시민 여러분은 어서 빨리 싸이월드 미니홈피부터 삭제하도록 합시다.

(타임라인용 글감이었는데 넘나 길어서 튕겨나온 것)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6-11 07:4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7
  • 나는 내 아내를 저장하지 못했습니다.
  • 춫천
  • 이렇게 완벽한 싸이월드 PPL이라니...


채능증력은 채증능력인가요?
1
기아트윈스
캠릿브지...기능재부.... 수정했습니다 ㅎㅎ
1
그러고보니 제가 평소 하던 생각들이...
다... 저런 권력 저장 역할을 하는 발전소들을
각개격파로 작살내자랑 다를게 없었긴 하군요.
기아트윈스
네... 문명 시리즈로 비유하자면 구중궁궐 '원더' 가 권력발전소 효과를 내던 건 현대 이전까지고... 현대 들어선 효과가 반감되거나 사라진 거죠.
1
호라타래
이후에 권력의 저장방식 구성 요소/비율이 어떻게 변할지도 쏠쏠한 주제겠네요. 잘 읽었습니당
1
기아트윈스
네. 아마 좀 더 새로운 미디어에 친화적인 형태로 적응하지 않을까 싶어요. 얼마 전에 보니까 오바마부부가 프로덕션 하나 설립해서 넷플릭스와 공급계약을 맺었더라구요. 전통적으로 미국대통령은 퇴임후 자서전을 내는 방식으로 권력을 행사했는데 이젠 넷플릭스를 쓰는 시대로 바뀌었다는 게 참 신기하지요.
2
현 청와대가 트렌디하다 느낀 게 대통령의 프라이버시의 일부를 대중에 완전 오픈함으로써 대중들로 하여금 대통령이 가까이 있다는 이미지와 친근감을 주고 있죠. 청와대 청원시스템도 그런 것일테고
3
기아트윈스
다름아니라 대통령 본인에게 그런 감이 있다는 인상을 받았던게 바로 그 광화문 공약 발표 때였어요. 청와대 프라이버시의 상징적 기능을 잘 알고 있는 거죠.
그렇게 말씀하시는걸 듣고 보니 그런거 같네요 ㅋ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선생님, 마소에서 윈도우를 USB에 넣어 파는 마당인데 이왕 이렇게 된거 USB 3.0에 저장해보는건 어떨까요?
기아트윈스
대웅제약 떡상하면 그 돈으로 사보겠읍니다.
파란아게하
예전에는 힘있는 사람만이
내가 널 키워주지 못하더라도 이바닥에서 X되게는 만들 수 있어. 조심해.
하며 권력을 휘두를 수 있었는데
이젠 아무리 보잘것 없는 누구라도
누군가를 특히 힘있고 인기있는 누군가를
빠르게 x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혁명'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아트윈스
네. 자동차마다 블랙박스가 생긴 것처럼 이젠 사람마다 블랙박스가 (어떻게 보면) 생긴 셈이지요. 지금은 누군가를 함부로 대하다간 X된다는 교훈이 사회 전반에 퍼지고있는 기간이 아닌가 싶어요.
알료사
타임라인 펑 기능 만드신 토비님께 충성충성 ㅋ
기아트윈스
ㅋㅋㅋㅋ
레지엔
당백전 가즈아
기아트윈스
경복궁도 그렇고 이화원도 그렇고....ㅎㅎ
말씀을 듣고 싸이를 잊혀졌던 제 싸이를 털었더니 엄청난 사진들이 쏟아졌습니다.

친구들 놀리러 가즈아
1
기아트윈스
???: 너희들은 싸이월드를 소중히하지 않았지....
1
기아트윈스
어려서부터 페북 인스타 유튭 등으로 단련된 애들이랑 나이먹고(?) 이게 중요한거라든데 하고 배운 사람들하고 감각이 많이 다르지요. 자기가 신세대 정치의 달인이라도 되는양 처신하는 이재명씨를 보면 그저 애잔할 뿐이에요.
소맥술사
지금 이 글 자체도 재밌는 포인트가 많지만, '권력' 하나로 퉁치지 않고 '권위'라든가 '카리스마(적 권위)'라든가 해서 개념을 좀 더 세분화해 보면 더 흥미롭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아무튼 잘 읽었습니다.
기아트윈스
감사합니다. 막글이라 헛점이 많으니 이해바랍니다 ;)
잘 읽었습니다. 평소에 제가 생각하던 부분과 겹치는 부분이 많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인간은 통제가능한 공간을 갖기 원한다."라는 명제로 출발합니다.
그런 공간을 가지기 위해 권력을 추구하고, 아무리 작은 권력이라도 갖게 되면 제일먼저 하는 것이 그런 공간의 확장이라고 보거든요.
그런 공간 속에 자신을 감추는 것이 프라이버시를 의미하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외에도 권력자들이 원하는 것은 프라이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력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서서,
외부로 영향력을 가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생각해요.

최고급 승용차... 더 보기
잘 읽었습니다. 평소에 제가 생각하던 부분과 겹치는 부분이 많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인간은 통제가능한 공간을 갖기 원한다."라는 명제로 출발합니다.
그런 공간을 가지기 위해 권력을 추구하고, 아무리 작은 권력이라도 갖게 되면 제일먼저 하는 것이 그런 공간의 확장이라고 보거든요.
그런 공간 속에 자신을 감추는 것이 프라이버시를 의미하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외에도 권력자들이 원하는 것은 프라이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력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서서,
외부로 영향력을 가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생각해요.

최고급 승용차의 덕목을 꼽을 때 "승차감"도 좋지만 "하차감"도 좋다. 라는 우스갯 소리가 있는 것 처럼요.

미시적으로는 같은 교실 속에서도 선생님에게 부여되는 공간(교단과 교탁)은 학생들의 1인당 허용되는 공간에 비해 더 크고, 어느 회사든지 사장이나 임원방은 더 크고 독립된 공간을 부여하고, 똑같은 파티장에서도 셀럽에게는 자발적으로 혹은 비자발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할당해 주는 것.
거시적으로는 영토확장이라던지 신대륙 탐험, 우주 개발, 크고 웅장한 건축물 건립 등이 있겠죠.
1
기아트윈스
맞아요. 공간통제는 권력의 핵심이지요. 교탁, 교무실, 교단, 교사용 화장실...

생각해보니 주거지 부동산가격 문제도 비슷한 방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과거나 지금이나 힘이 있는 이들은 좋은 곳(?)에 모여살면서 '격'이 떨어지는 이가 자신들 근처로 이사오는 걸 막지요. 차이가 있다면 예전엔 법률적 특권(6두품미만 출입금지 ㅋ) 등을 이용했다면 지금은 금권으로 막는다는 정도...? (보유자산 10억 미만 출입금지 ㅋ)
기쁨평안
그렇네요. 돈으로 막지만 돈마저 많은 졸부(트럼프)는 사교계에서 막고..ㅎ
정말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이야기는 아니고요. 제가 아는 사람 이야기인데요. 이 친구가 맨날 술만 마시면 하는 소리가,

"세계정부, 직접 민주주의(혹은 현 민주주의 이후의 체제), 인간 개개의 완전한 독립."

인데요. 본문과 같은 변화, 같은 역사적 진행속도(?)에 비췄을 때, 가능한 이야기인지, 가능하다면 얼마나 기다려야할지 알고 싶습셉습니다. 아님 대충 생각하시는 거라도. -_-)/
기아트윈스
에... 저야 잘 모르지요...^^;;; 하지만 만약 제가 그 친구분과 술을 한 잔 했더라면 '그래 니가 원하는 게 뭔진 알겠는데 그걸 왜 원하는 건데?' 라고 물어봤을 것 같아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적 관심을 사회적 관심으로 번역해서 말하곤 해요. 인간 개개의 완전한 독립이라는 사회적 명제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가정/학교/회사에서 자신이 충분한 독립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고 괴로워하고있을 공산이 커요. 술자리 대화주제로 거대담론은 넘나 안재밌는 것.... 직장이야기 학교이야기가 재밌죵 ㅋ
아하, 그렇군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ㅋㅋ
재밌는 주제인데요. 저는 아직 많이 몰라서이겠지만... 권력은 지식에서 나온다고 생각했어요. 프라이버시는 그 안에 있는 것쯤으로 생각했는데요.

대신에, 이미 권력이 있는 이들... 재벌들 자녀들은 가장 지키고 싶어하는 것이 프라이버시인 것 같구나를 어렴풋하게 느꼈는데요. 대신에 그들은 지식을 가진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형편이니깐 크게 지식은 필요한 것이지 절대적인 느낌은 아니구나 하는 그런 주관적인 생각을 했어요. 하지만, 그런 권력가들에게 프라이버시를 꼭 지켜야 하는 이유는, 그 프라이버시라는 것이 너무나 통속적인... 더 보기
재밌는 주제인데요. 저는 아직 많이 몰라서이겠지만... 권력은 지식에서 나온다고 생각했어요. 프라이버시는 그 안에 있는 것쯤으로 생각했는데요.

대신에, 이미 권력이 있는 이들... 재벌들 자녀들은 가장 지키고 싶어하는 것이 프라이버시인 것 같구나를 어렴풋하게 느꼈는데요. 대신에 그들은 지식을 가진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형편이니깐 크게 지식은 필요한 것이지 절대적인 느낌은 아니구나 하는 그런 주관적인 생각을 했어요. 하지만, 그런 권력가들에게 프라이버시를 꼭 지켜야 하는 이유는, 그 프라이버시라는 것이 너무나 통속적인 것을 본인들도 알기 때문에 자신과 권력이 없는 이들을 구별할 이유로 프라이버시가 꼭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어요.

인간 우리는 너무나 통속적이지 않나요? 클린턴 부터 트황... 이명희까지...
기아트윈스
글쵸. 카리스마는 비범함에서 나오는데 밥먹고 똥싸고 섹스하는 건 너무 평범하잖아요. 그래서 그분들에겐 평범함은 가리고 비범함만 드러내는 작업이 필요한 거 아니겠어요.
월화수목김사왈아
섹스하는건 비범힙니다 ㅂㄷㅂㄷ
인터넷 발달로 인해 시민들 개개인이 내는 발언력이 굉장히 강해진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시위같은 형태가 아니었다면 무시하면 그만이었는데...이게 개인적으로 그다지 긍정적으로만 보이지는 않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9 정치/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6 풀잎 19/09/15 6947 11
842 정치/사회한일간 역사갈등은 꼬일까 풀릴까? 데이빋 캉, 데이빋 레헤니, & 빅터 챠 (2013) 16 기아트윈스 19/08/10 6428 14
838 정치/사회경찰관 허위 초과근무와 부정수령 내부 고발자 경찰관 입니다. (인증샷 포함) 42 멈추지말자고 19/07/29 6728 53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8113 38
825 정치/사회정전 66년 만의 만남, 2019년의 대한민국은 빚을 졌다 6 The xian 19/06/30 5551 14
788 정치/사회제1저자, 교신저자, 학회, 자리싸움, 그리고 관행 25 烏鳳 19/04/03 6827 23
769 정치/사회북한은 어떻게 될까 - 어느 영국인의 관점 85 기아트윈스 19/02/12 9613 79
760 정치/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5835 19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786 35
741 정치/사회세계1% 연구자 논란 22 제로스 18/12/06 8360 21
739 정치/사회미국의 장애인 차별금지법과 George H. W. Bush 5 T.Robin 18/12/05 5506 6
735 정치/사회형벌의 목적, 책임주의, 그리고 음주운전 28 烏鳳 18/11/20 6691 35
724 정치/사회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25 Danial Plainview 18/11/04 6621 8
720 정치/사회Case Study : 포드 핀토(Ford Pinto)에 관련한 세 가지 이야기 21 Danial Plainview 18/10/31 6517 10
695 정치/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30 烏鳳 18/09/07 51275 85
694 정치/사회서구사회에 보이는 성별,인종에 대한 담론 29 rknight 18/09/08 8444 23
682 정치/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6 tannenbaum 18/08/14 9140 9
645 정치/사회다문화와 교육 -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15 호라타래 18/06/08 7262 16
641 정치/사회나도 노동법 알고 알바해서 인생의 좋은 경험 한번 얻어보자! 9 우주최강귀욤섹시 18/06/02 7502 25
638 정치/사회권력과 프라이버시 32 기아트윈스 18/05/28 6146 27
621 정치/사회픽션은 사회를 어떻게 이끄는가 (1) 13 Danial Plainview 18/04/22 6241 15
619 정치/사회범죄의 세계 - 임대차보증금 대출사기 17 烏鳳 18/04/20 6933 21
614 정치/사회슬라보예 지젝과 정치적 올바름 17 Eneloop 18/04/10 8056 17
613 정치/사회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여덟 가지 생각 5 Danial Plainview 18/04/08 7013 14
612 정치/사회미중갈등의 미래와 한국의 선택 19 Danial Plainview 18/04/08 6491 2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