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5/24 06:55:54
Name   Erzenico
Subject   커피야말로 데이터 사이언스가 아닐까?
저의 커피 생활은 대략 2008년 정도부터 시작했으니 그리 길지도 그리 짧지도 않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기간을 돈이 없으니 드립을 먹든지 얻어먹든지 하는 생활의 연속이었습니다만
전공의 기간 동안에는 의국에 마련된 캡슐머신(2년차) 전자동 머신(3년차 이후)을 체험할 기회도 있었고
무엇보다 약 한 달 보름 전까지 반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으로 내린 진한 에스프레소를 즐겼던 생활은
언제 또 다시 돌아올 지 기약이 없는 즐거운 나날들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의 지론은 커피든 차든 즐겁게 마시고 여유있는 시간을 잠시라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지만
'맛있는 커피'를 내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맛있는 커피란 한 마디로 정의 내리기는 어렵지만, 아로마/테이스트/애프터 테이스트가 조화를 이루면서
원산지에 따른 개성과 로스터가 그 개성을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의도된 맛을 정확히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그 과정이 witchcraft처럼 한 번에 뙇! 하고 나타날 수는 없기 때문에
많은 로스터들은 생두를 소량으로 로스팅해보면서 테이스팅 노트를 작성하고
그 노트를 기반으로 새로운 원두나 기존 생산지의 new crop에 적용하여 시행착오를 줄이고는 합니다.
이것이 로스팅 단계에서의 데이터 사이언스...일 수 있겠습니다.

그러면 추출 단계에서는 어떨까.

에스프레소 추출은 마치 공식처럼 88-96℃, 9 bar, 25-35sec이 가장 좋은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오랜 기간동안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찾아낸 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에스프레소의 맛이라는 것도 기준이 조금씩 바뀔 수 있고
더 좋은 방법은 없을까 연구하는 바리스타들이 종종 두각을 나타내면서
6 bar 안팎의 저기압 추출이나 80도 초반대의 저온 추출 등 다양한 시도들을 적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는 합니다.
이 과정 역시 지난한 반복 추출과 테이스팅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업지요.
푸어오버는 물을 끼얹는 방법도 제각각이고 드리퍼도 다양한 등 감성적인 접근이 아무래도 우선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가장 근본적인 문제 '몇 그램의 원두로 몇 밀리리터의 커피를 추출할 것인가'의 비율과
'물은 얼마나 첨가, 혹은 안할 것인가?'하는 후첨의 문제가 남아있습니다.
예전 이에 대해 고민을 하면서 찾아본 결과, 재미있게도 푸어오버의 경우는 한 사람이 다양한 비율을 시도한 자료보다는
여러 사람이 자신의 비율을 공유한 자료가 더 많더군요.
그렇다 하더라도 그 역시 리뷰 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나름의 또 데이터 사이언스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맛의 특징 등이 주관적이라는 한계를 제외하면 말입니다.

물론 커피가 정답을 추구하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이걸 데이터 사이언스라고 할 수 있느냐하는 부분은 논란의 여지가 있고
테이스팅 노트를 잘 공유하지 않는다는 점 역시 사이언스와는 거리가 있는 특징이긴 하지만
세상 일 갖다붙이려면 어디라도 갖다붙이는 거 아니겠습니까.

이상 에스프레소 머신 팔고 병원 들어와서 드립이나 하려니 왠지 처량해서 자신을 달래는 물건으로 커피 저울을 산 Erzenico였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6-04 08:0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5
  • 커피 마이쪙
  • 코피 이야기는 무조건 추천인 것이야!!
  • 이단이다!!
  • 소소한 즐거움이 찾아드시기를!
  • 춫천


지금여기
전 아침에 핸드드립하면서 커피향 올라오는 거 맡는 게 행복하더군요. 마시는 것보다 냄새가 더 행복할 때도....
4
무더니
향으로 커피 즐기는 사람으로서
222222222
Erzenico
갈기만 하는 것은 어떨까요?
지금여기
아니 마시는 것도 좋아합니다. 냄새가 더 좋아서 그렇지 ㅎㅎㅎ 하루에 세잔은 마셔요...
Erzenico
세 잔씩 먹다보면 커피 안 마시면 막 찌뿌둥하지 않으세요?
지금여기
아뇨 카페인이 이미 제 몸엔 효과가 없어요. 마시고 바로 잘 수 있어서...

그냥 맛과 향으로 즐기는 것뿐 ㅠ
TEMPLATE
사무실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뽑는 커피가 맛이 없습니다. 청소도 자주해주는 것 같은데, 원두를 뭘 가져다가 놔도 맛이 없어요. 몇달간 고통받다가 사무실에서는 모카포트로 정착했습니다.
1
Erzenico
머신에 분쇄날이 이상이 있거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데...전자동 중에 의외로 제대로 된 에스프레소가 안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요
la fleur
ㅠㅠㅠㅠ 저는 삼실에 에스프레소 머신 밖에 없어서 슬풉니다... 물 타먹는 커피 시러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
1
Erzenico
에스프레소를 드셔보시는 건
전에 탐라에도 썼지만 10센치의 아메리카노 이후에 확실히 아메리카노 주문량이 는 것 같습니다. 사실 미국 사람들은 아메리카노 잘 안먹죠. 다양한 종류의 브루 커피들이 메인이고 아메리카노는 어떤데는 스페셜티로 취급하기도 하고 여튼 별종입니다. 아무리 허접한 카페 가도 최소 다크로스트, 미디엄로스트 두가지는 있고 다크도 보통 프렌치나 이탈리안 따로 취급하기도 하고 말입니다.
또 한가지는, 아무 것도 안타먹는 비율도 한국이 가장 높지 않나 싶습니다. 이것도 참 드라마틱한 변화인게, 2-2-2를 외치던 90년대, 맥심 모카 골드를 외치던... 더 보기
전에 탐라에도 썼지만 10센치의 아메리카노 이후에 확실히 아메리카노 주문량이 는 것 같습니다. 사실 미국 사람들은 아메리카노 잘 안먹죠. 다양한 종류의 브루 커피들이 메인이고 아메리카노는 어떤데는 스페셜티로 취급하기도 하고 여튼 별종입니다. 아무리 허접한 카페 가도 최소 다크로스트, 미디엄로스트 두가지는 있고 다크도 보통 프렌치나 이탈리안 따로 취급하기도 하고 말입니다.
또 한가지는, 아무 것도 안타먹는 비율도 한국이 가장 높지 않나 싶습니다. 이것도 참 드라마틱한 변화인게, 2-2-2를 외치던 90년대, 맥심 모카 골드를 외치던 00년대에는 소위 '블랙커피'를 먹는 사람들을 별종 취급했는데 요즘은 그냥 디폴트가 바로 블랙이죠. 오히려 외국가면 어떻게 그냥 커피를 먹느냐 하면서 우유 넣어 먹는 사람들 많이 봅니다. 여튼 한국의 빠른 변화가 커피에 가장 잘 녹아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그 와중에 지나친 스벅 편중이라던지, 브루에 대한 인식 부족, 중배전 커피의 멸종 등은 아쉽습니다. 필즈 커피 가서 모히또 한잔 하고 싶다.

이 댓글은 스벅의 베란다 커피를 먹으며 작성되었습니다.
5
Erzenico
사실 전 유러피언 커피 문화가 좋지만...

일단 암것도 안 타먹는 커피 문화에는 아메리카노 노래도 일조했지만 westernized lifestyle의 영향도 있다봅니다. 음식이 느끼한데 크리미한 밀크 폼을 먹기에는 부담스러웠던 것이 아닐까요?
즐거운 커피 소비를 연구하시는 여러분 덕분에 제가 마트가서 아무 원두나 집어와서 내려도 커피가 맛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오늘도 아메리카노에 찬물을 더 타서 마십니다.
2
Erzenico
ㅎㅎ 즐거운 커피생활하시길!
맛이가 있는 카폐의 커피는 맛있지만, 보통때는 저렴한 아메리카노로 퉁쳐버리네요. 그럴 때는 탄맛만 안났으면....하고 바랍니다.
1
Erzenico
탄맛이 안나고 저렴하면 거길 당분간 자주 가게 되겠네요
무더니
에소보다 드립을 더 좋아하는 파로서 아침에 회사서 드립내리는 시간을 즐겼는데,
요샌 아침출근하자마자 일하기도하고 좀 뭐랄까 열정도 좀 떨어져서 내리는 빈도수가 확줄었네요......
급 슬프당.

드립만해도 추출율이랑 이것저것 과학적인 방법론을 넣는게 트렌드인느낌이고,
이러다간 진짜 기계가 내려주는 드립먹겠다 싶을 때도 있지만
그래도 내 방식대로 각자의 개성대로 과학을 버리고 먹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1
Erzenico
드립 기계는 이미 실존합니다
무더니
알고있습니다 ㅎㅎ 제가가는 단골매장도 쓰고있고
다만 바리스타가 사라지고 다 그걸로 전환되는 상상이랄까요
Erzenico
아 ㅎㅎ 가끔씩 고장나면 때려줄 사람만 있으면 되려나요
배바지
일리 캡슐 감사합니다
1
Erzenico
안 마셔봤지만 캡슐이 비약적인 발전중인듯 하더군요
배바지
네스프레소 버츄오는 회전추출로 크레마를 왕창뽑고, 캡슐에 따라 물을 자동 조절하더군요...
CONTAXS2
크레마가 아니라 그냥 거품이더라구요.... ㅠ
배바지
동생 집들이 선물로 사주고 한 잔 들이켰는데 거품이었군요... 거품이라니 ... 거품이라니...
생존주의
저는 머신으로 내리는 에스프레소보다 드립을 더 좋아하는데요, 내릴 때의 향이라던지 재미도 재미지만 무엇보다 제 성격탓이 큰거 같아요. 머신으로 내렸는데 맛이 별로면 아 이게 뭐야 기계가 꼬졌나 하고 신경질이 나는데, 제가 내리면 맛이 좀 없어도 음 내 잘못이군. 하고 넘어갈 수 있어서...ㅋㅋㅋ 쓰고보니 진짜 성격 이상한 것 같네요.
5
Erzenico
ㅋㅋㅋ 남(?) 탓을 싫어하시는군요
1
생존주의
어 음... 남탓을 하는 비열한 성격이랄까... 그렇습니다.ㅋㅋ 그래서 게임도 스타 n:n이나 롤같은걸 못해요. 지면 아 쟤때문에 졌어! 이러거든요.ㅋㅋ 걍 1:1하면 깔끔하게 내가 부족하구나~ 합니다.ㅎㅎ
Erzenico
남탓을 하는 스스로를 싫어하시는 것이었군요!! 이 무슨 자기혐오 ㅠㅠ
1
밖에서 라떼만 사 마시던 사람이 얼렁뚱땅 드립 머신을 사면서 원두도 사고 그라인더도 사고 행복한 커피 생활 중입니다. 약-중배전 원두들 그라인딩해서 마시면 향부터 해서 넘나 행복함니다...
1
Erzenico
ㅎㅎ 좋더라구요
맥주만땅
데이터 사이언스를 구현한 스트롱홀드 로스터 지르자!!!!!!
2
Erzenico
로스팅은 로스터의 몫으로 남겨두겠습니다
파란아게하
커피는 안 마시지만 잘 읽었어용 춫천
Erzenico
앗 ㅎㅎ 그러시구나..
춫천 감사합니다!
Azurespace
캡슐커피는 정말 일정한 품질을 위해 데이터사이언스 같은게 적용될 법도 할 것 같네요..
Erzenico
사실 이미 하고 있을겁니다.
말이 데이터 사이언스지 사실 어떻게 보면 고전적 귀납법이죠.
1일 2커피 없이는 못살아요 흑흑 캡슐커피 한번도 안마셔보았는데, 항상 궁금해하고 있어요.
글 잘 읽었어요 !
Erzenico
아하...캡슐 기회되면 좋은 걸로 한번 드셔보시면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0 일상/생각자아비판 - 커뮤니티의 유혹 7 epic 18/02/09 7017 18
541 음악Cool Jazz - 그대여, 그 쿨몽둥이는 내려놓아요. 4 Erzenico 17/11/07 7116 7
561 음악[번외] Jazz For Christmas Time - 국내 스트리밍 사이트를 중심으로 (3) 4 Erzenico 17/12/11 7328 3
566 의료/건강완벽한 보건의료제도는 없다 ('완벽한 보건의료제도를 찾아서'를 읽고) 18 Erzenico 17/12/26 7510 24
603 음악Bossa Nova - 이파네마 해변에서 밀려온 파도 7 Erzenico 18/03/16 7132 9
637 일상/생각커피야말로 데이터 사이언스가 아닐까? 39 Erzenico 18/05/24 7261 15
1163 일상/생각그 식탁은 널 위한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 2 Erzenico 22/01/22 4579 29
247 기타원어민도 못푸는 수능34번 문제? 34 Event Horizon 16/08/09 8475 12
266 기타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더 퍼스트 어벤져 37 Event Horizon 16/09/16 6969 13
269 과학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월급 D 루팡 31 Event Horizon 16/09/22 9548 12
764 체육/스포츠슈퍼볼 53(Super Bowl LIII) 프리뷰 (약스압) 5 Fate 19/02/02 7165 11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8175 38
835 체육/스포츠파퀴아오-서먼 : Who will be resurrected? 5 Fate 19/07/21 7199 27
912 과학기업의 품질보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Fate 20/01/22 6454 19
933 역사인도에 대하여 7 Fate 20/03/13 7236 20
940 역사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23 Fate 20/03/26 6669 39
1022 체육/스포츠로마첸코-로페즈 : 초속과 변칙 5 Fate 20/10/18 6299 9
1201 경제최근 한전 적자에 대한 해설 34 Folcwine 22/05/13 4989 10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1114 24
903 일상/생각[펌글] 좋은게 좋은거라는 분위기가 세상을 망쳐왔다 21 Groot 19/12/27 6075 8
578 일상/생각이불킥하게 만드는 이야기. 28 HanaBi 18/01/16 6416 21
164 기타인도네시아 이야기 28 Hitam 16/03/01 6743 11
705 기타퇴근하기전에 쓰는 나의 창업 실패기 7 HKboY 18/09/28 7002 16
597 경제'식근론'에 대한 단상, 한국은 독립국이 맞는가? 25 hojai 18/02/23 9236 6
430 문학[인터뷰 번역] 코맥 매카시의 독기를 품은 소설(1992 뉴욕타임즈) 8 Homo_Skeptic 17/05/13 9425 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