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07/22 19:51:50
Name   어느 멋진 날
Subject   그냥
2011년 7월 20일 도장 쾅쾅, 이 날은 단골이자 아주 이쁜 정실장님이 있던 헤어샵에서 할인 쿠폰에 도장을 찍던 날.
그로부터 4년후.
난 왜 이 글을 쓰고 있나싶어 곰곰히 생각해보니, 무더위에 지쳐 샤워를 하다 벌써 허리춤을 지나 엉덩이까지 내려온  머리 길이를 확인하곤 흠찟 놀라 언제부터 머리를 기르기 시작한건지 곰곰히 생각해보니 쿠폰에 적힌 2011년 7월 20일으로부터 4년 후.


머리를 기르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피드백(?)해주는건 가족들이다.
3달쯤 지나면 꼴 보기 싫다고 얼른 이발소 가서 깔끔하게 스포츠 머리로 밀고 오라는 어머니.
6달쯤 지나면 사회에 불만있냐? 집안에 불만있냐? 라고 진지하게 물어보시는 아버지.
1년쯤 되서야 뒤통수를 후려갈기며 징그럽다고 얼른 같이 머리 자르러 가자는 형.


그 다음으로 주변사람의 반응이다.
3달쯤 지나면 주변의 시선이 따갑다. 저 놈은 머리를 자르는건지 아니면 기르는건지 주변 사람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참 애매한 시기이기도 하다.
직접적으로 머리 자르라고 말하기도 뭣 하고 그렇다고 혹시 머리 기르는거에요? 라며  둘러 말하기도 애매하다. 모든게 애매한 시기다. 나 또한 머리가 긴것도 아니고 짧은것도 아니라 형태 잡기 또한 어려운 시기다.
6달쯤 지나면 이제서야 주변에서 머리 기르는걸 확실히 인지한다. 주변에서 여자들이 같이 머리하러 가자는 사람도 있고, 무슨 이유에서 머리를 기르는지 물어보는 사람도 있다.
1년쯤 지나니 새벽1시쯤에 자주가는 슈퍼 아저씨가 참 멋지게 기르셨네요라고 말해준다.


1년을 지나 2년을 향해가고, 머리가 찰랑 찰랑 흔들리며, 묶지 않으면 바람에 얼굴이 가려 걷기도 힘든때가 오기 시작한다.
이 시기부터부터 참 재미있다.
뭐가 재미있냐면 주변 사람의 반응이다.
어느 날인가 지하철 타고 버스로 환승할 일이 생겨 버스정류장에 서 있었다. 그랬더니 주변에 있던 할머니 할아버지가 나를 한번 쓱 살펴보신다.그리곤 바로 오는 버스에 타고 목적지에 가면서 갑론을박을 펼쳤다.
할머니 왈" 저 사람은 색시여 색시. 팔도 가냘프고 머리도 길고 곱상하게 생긴게 색시 맞구만"
할아버지 왈" 저 목젖을 보라니깐. 저게 어찌 여자여. 남자구만" 이라며 싸우다 결국 뒤에 앉은 여대생들한테까지 물어본다. 그리고 그들은 고심끝에 남자라는 결론을 내렸다.


남자가 머리를 기르기 시작하니 단골로 이용하는 농협 여직원이 알아보기 시작하고, 슈퍼 아저씨가 멋지게 기르셨네요라고 말 해주고, 예비군 동대장이 반갑다고 매번 악수를 해주시고, 어머니는 방바닥과 집안에 굴러다니는 머리카락을 보며, 너 때문에 청소기 다 고장나겠다.라며 구박을 하고, 아버지는 나를 순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모나 외숙모들은 명절에 내 머리를 가지고 역시 젊은사람이 머리를 기르니 이렇게 곱고 예쁘네 하면서 머리를 땋아주고 영양제까지 듬북 발라주시곤 했다. 구박하던 사람들이 말이다.


머리를 기른지 4년 되어가니 문제가 생긴다.안경을 쓰다 최근에 렌즈를 착용하기 시작했는데 신분증은 짧은 머리에 안경을 쓴 남자가 있고, 현실은 안경도 없고 머리 긴 남자가 있다. 이 부분에서 신분증을 요하는 부분에서 꽤나 난감하다. 가끔은 상대방이 당황하며 날 빤히 처다보는게 재미있긴 하다. 뭐 가끔은 이런맛에 머리 기르길 잘 했다는 생각도 든다. 일상이 지루하진 않으니깐 말이다.


머리 기르면서 오는 관심이 처음엔 부담스럽기도 하고 이상한 눈빛으로 바라보는게 싫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그게 더 좋아졌다.익숙함이란게 참 무서운게 초행길은 참 멀게만 느껴지고, 처음 살아보는 대형평수의 집은 마냥 넓어보이기만 해도 일주일을 못가 멀기만 했던 초행길은  짧게 느껴지고, 궁궐같이 넓었던 집은 좁게만 느껴진다. 마찬가지 어느순간 거울을 바라보며 꽤 많이 자란 내 머리길이에 놀라기도 하지만 이내 익숙해지며 짧은 머리를 했던 나를 상상할 수 없다. 그래도 4년 내내 익숙하지 않은게 있다. 주변에 남자들은 덜 하지만 호기심 많은 여중생, 여고생 또는 여대생들은 싱글벙글 웃으면서 머리는 무슨 이유르 기르는거에요? 라고 항상 꼬치꼬치 캐묻곤 한다. 그럼 나는 항상 그냥요. 이유 없어요. 라고 답 해준다. 사실 이 답을 듣는 사람 입장에선 좀 성의 없어보이고 대답하기 싫은 말투로 보일태지만, 나는 왜 머리를 기르기 시작했는지 모른다. 그냥 머리를 기르는것 같다. 딱히 이유도 없고 말이다.


언젠가인지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2000년 중반쯤 한 권의 책을 읽은 기억이 있다.의사가 쓴 책인데 참 슬픈 사연들이 많이 있었다. 눈물 뚝뚝 흘리면서 읽던 기억이 있었는데 얼마전에  자유게시판의 어떤 글의 댓글에서 Toby님이 추천해준 웹툰을 봤다. 암투병하는 사람에 관한 웹툰이였다. 옛날에 책 읽으면서 느꼈던것도 있고 해서 기부를 위해 머리를 자르기로 마음 먹었다. 사실 왜 머리 기르는지도 몰랐고 의미 없이 그냥 길렀던거니 그냥 자르는것보다 의미를 두고 자르자는 생각이였다. 마지막으로 2011년 7월 20일 도장이 쾅쾅 찍힌 쿠폰을 가지고 오렌만에 단골 헤어샵에 갔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기부를 위한것이니 잘 잘라달라고 부탁했다. 그랬더니 종종 머리 자르면서 기부하는분들이 있다고 했는데, 이렇게 다 큰 남자가 하는건 자기도 처음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머리 자르는건 무료로 잘라주고 싶다고 돈을 받지 않았다. 그렇게 머리를 자른걸 고무줄에 묶여서 바로 우체국으로 향했다. 소포에 고이 감싸서 보내고 나니 참 후련하다. 우체국 직원이 날 알아보더니 머리를 자르셨네요. 인물이 훤해지셨네요 라는 말을 듣고나니 뭔가 묘한 감정이 흘렀다.


4년동안의 익숙함에서 다시 이제 또 다른 익숙함에 익숙해질 타이밍이다. 머리 기르는걸 반대하던 어머니, 그리고 아버지가 어느정도 머리 길고나니 딸 같다며 좋아하시던 모습을 보며 약간 머리 기르는데 뿌듯함도 있었는데 이제 다시 징그러운 아들로 돌아왔다.어머니,아버지 순이 말고 아들 왔습니다.



그리고 2015년 7월 22일은 내 인생에 나름 기억 될만한 "어느 멋진 날"이 되지 않을까 싶다.


* Toby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07-31 00:1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
  • 소신있는 멋진 분입니다!
이 게시판에 등록된 어느 멋진 날님의 최근 게시물


王天君
짝짝짝
오. 아만자를 보셨군요.
머리를 잘라서 기부 할 수 있는지는 몰랐네요. 어쨌든 좋은일 하셨습니다.
기왕 머리를 자르셨으니 그 가벼움을 즐기실 수 있길 바랍니다.
darwin4078
네다풍..ㅠㅠ
마르코폴로
풍이 아니라도 기르실 수 있...
darwin4078
민두노총은 머리가 똑같이 길어지지 않아요.
머리가 자라나다 빠지기 때문에 머리를 기르면 짧은 머리카락 사이로 길어진 머리카락이 듬성듬성 자라는데 꼭 벌판에 강아지풀 올라온거 같은 느낌이죠.

거기다 머리 기르니 곱다, 예쁘다는 얘기 들으신걸로 봐서 두상도 작고 예쁘시며 바디라인도 나이스바디인걸로 추정됩니다.
저같은 전투모 62호+183cm에 90kg를 넘는 인간이 머리를 기르면 그냥... 하아... 총체적 난국이에여.
파란아게하
좋은 취지에 무료미용 동참하신 이쁜 정실장님 성격도 좋으시네요 고백해야겠다 아 자게네 ~실례 허허허
재밌는 일상 잘 읽었습니다.
저도 한때 어깨 정도까지 길러본 적이 있습니다.
머리스타일을 크게 신경 쓰는 편이 아니라 삭발과 장발을 오가며 프리하게 지냈었는데
특히 남자에게 헤어형태는 다분히 주변 사람들에게 얼마나 튀고 싶느냐 튀고 싶지않느냐 로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그냥 하고싶은대로 하고 살아도 되는데 흐흐흐
어제 황정민 FM 대행진 들으니.. 22cm 인가 넘으면 사회사업실 통해서 기증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더군요. 여튼 잘하셨습니다.
darwin4078
좋은 내용의 글에 엄한 리플을 달아서 죄송합니다. ㅠㅠ
곧내려갈게요
멋지십니다
레이드
휼륭한 결정이십니다. > < 좋아요.
난커피가더좋아
그냥 머리길렀다가 자르고 좋은일 한 얘기를 이렇게 재밌게 쓸수도 있구나...와. 감탄했습니다.
세인트
멋집니다. 좋은 글에 좋은 일까지. 잘 읽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2 정치/사회영국의 이슬람 트로이 목마 사건, 그리고 이에 대한 재조명 1 열한시육분 22/04/30 4198 14
1024 정치/사회공격적 현실주의자 Stephen M. Walt 교수가 바이든을 공개 지지하다. 6 열린음악회 20/10/29 4916 13
451 정치/사회작은 푸념 25 열대어 17/06/12 6687 15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737 15
396 일상/생각딸기 케이크의 추억 56 열대어 17/03/24 6346 21
382 일상/생각가난한 사랑 노래 23 열대어 17/03/08 5624 21
371 창작생선살 발라주는 사람 64 열대어 17/02/20 8818 19
459 일상/생각급식소 파업과 도시락 3 여름 소나기 후 17/06/30 5236 5
1092 일상/생각뒷산 새 1년 정리 43 엘에스디 21/05/25 5672 55
1012 문학토마 피케티 - 자본과 이데올로기 리뷰(아이티 혁명을 중심으로) 9 에피타 20/10/03 5671 21
1008 일상/생각나는 대체가능한 존재인가 15 에피타 20/09/23 5943 26
961 과학고등학교 수학만으로 수학 중수에서 수학 고수 되기 11 에텔레로사 20/05/22 6557 7
855 일상/생각평일 저녁 6시의 한강 다리에는 5 에스와이에르 19/09/04 5520 12
402 일상/생각쉽게 지킬 수 있는 몇 가지 맞춤법. 25 에밀 17/03/30 6010 10
1146 기타쓸까말까 고민하다 쓰는 육아템 3 33 엄마곰도 귀엽다 21/11/23 5766 25
610 기타아기가 태어나기 전 준비물 01 18 엄마곰도 귀엽다 18/04/04 6874 18
679 여행오키나와 숙소 몇개 알려드립니다 +_+ 18 얼그레이 18/08/10 7585 13
601 일상/생각정의의 이름으로 널! 용서하지않겠다! 35 얼그레이 18/03/06 7501 45
647 기타부모님 감사합니다. 6 얼그레이 18/06/11 5911 14
132 문화/예술[스압] 미드 시트콤 추천 30선★ 34 얼그레이 15/12/20 11513 7
82 일상/생각수줍수줍..이런걸 한번 해봤어요.. 23 얼그레이 15/09/29 8721 21
1265 일상/생각같이 게임했던 누나 이야기.. 3 어제내린비 23/01/12 3917 18
50 일상/생각그냥 12 어느 멋진 날 15/07/22 6764 1
1204 일상/생각형의 전화를 끊고서, 진토닉 한 잔을 말았다. 4 양양꼬치 22/05/26 4368 33
1361 일상/생각전세보증금 분쟁부터 임차권 등기명령 해제까지 (4, 完) 6 양라곱 24/01/31 4449 3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