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11/16 20:54:22
Name   피아니시모
Subject   서원철폐



1.

서원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중 하나로 각 지방의 문화를 보여주는 곳이기도 했는 데 간단하게 인재양성소라고 보면 될 것입니다.
좀 더 정확히는 초기에는 단순한 교육기관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지방에 은거하는 학자들이 후학을 양성하기 시작했고 그렇게 양성된 후학들이 자신의 스승을 제사를 지내면서 사당의 역할을 겸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깐 결과적으로 서원은 유림들의 인재양성소 + 스승의 제사를 겸하는 곳이 된거죠.

명종 초기에 20곳도 되지 않던 서원은 선조 시기 퇴계 이황을 비롯한 성리학자들의 보급운동에 의해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해서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는 700여개가 넘게 된것입니다. 지금의 사립대학이 전국에 700개가 넘게 있었다고 생각하면 될...겁니다 아마?(..);;
그리고 이 서원은 곧 유림세력의 기반이 되었고 곧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곳이 되었습니다. 힘이 점점 쎼진거죠 물론 왕보다야 못했지만 왕이 무시할 수는 없었습니다.

얼핏보면 그냥 단순한 교육기관같지만 좀 큰 문제가 하나 있었습니다.


2.

우선 서원은 세금이 면제되었습니다(..) 이건 초기에 서원의 숫자가 얼마 안되었을 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인재양성소의 교육기관 역할도 겸했기때문에 오히려 장려했었죠. 문제는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조선후기때는 그 폐단이 너무 극심했다는데 있습니다.

당장 700개가 넘는 서원에서 세금이 걷히지 않았고 서원에 소속된 노비들은 국역에 동원되지 않았습니다. 서원이 증가할 수록 국가재정(돈 뿐만 아니라 인력면에서도)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거죠 거기에 더해 이 미친(..)자식들이 산 사람을 배향하기 시작하더니 세금 날로 먹기 위해 자기 조상이면 일단 (성현이든 아니든 상관없고) 제사 지내면서 모시기 시작하니 여간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서원은 신분제도의 불합리함을 내세우는 끝판왕격이 되었고 이는 양반과 유림들의 득세와 함께 가문, 학연과 지연으로 얼룩지기 시작하고 온갖 부정부패와 비리가 엮이기 시작합니다. 카르텔이나 다를바 없이 말이죠
이들의 폐악은 단순히 세금을 안내고 비리가 있다 수준에서 멈추는 게 아니라 평민과 천민에 대한 핍박으로 이어졌습니다. 앞서 서원은 세금을 내지 않고 군역 및 국역에 동원되지 않는다했는데 그를 이용하여 서원에 기생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니 결국 그러지 못하는 일반 평민이나 천민들에 대한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3.

조선정부라고 바보라서 이걸 인지하지 못한 건 아니었습니다. 당장 인조때만 해도 이 문제에 대해 어느정도 심각성을 인지하고는 있었습니다만 정치적으로 엮인 문제 + 특권계급으로 엮인 문제로 인해 제대로 된 논의조차 되지 않았고 그 논의가 제대로 이뤄진건 숙종때 가서야 진행이 됩니다.
이 서원문제에 대해 제대로 손을 대기 시작한건 숙종인데 숙종은 별것도 아닌 사사로운 목적으로 서원을 건설하거나 단순히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서원을 건설할 경우 처벌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연류된 유생들은 과거시험을 보지 못하게 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문제는 숙종시기 지속적으로 일어난 환국으로 인해 서인 - 남인 - 서인으로 이리저리 붕당의 정권(?)이 옮겨지는 와중에 되려 서원이 늘어나버렸다는 겁니다(..)

결국 이 문제는 다시 영조때 가서야 영조가 온갖 지랄을하며 서원에 대한 제재를 가하고 한 사람을 중복해서 제사지내지 못하게 하는 등 여러 노력을 했지만 900여개가 넘는 서원이 200개가 줄어 700개가 되는 수준에 그쳤죠(..) 200개씩이나 줄였지만 그 폐단을 완전히 막을 수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오히려 이떄즘가면 되려 서원은 완전히 타락하여 민중들의 고혈을 짜내기 시작했고 양반들(+유림)의 텃새는 그 만큼 심해졌고 심해지면 심해질수록 일반 백성들의 생활은 더더욱 어려워져갔습니다.



4.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자 가장 먼저 한 것은 바로 이 서원을 조져버리는 일이었습니다.
우선 대원군은 고종과 조대비의 권위를 빌려 서원의 개같은 점을 일일이 하나하나 따져나가기 시작했고
그 첫빠따로 만동묘 (만력제를 제사 지내는 곳)을 조져버립니다. 만동묘는 그 많은 서원중에서도 가히 끝판왕급의 서원으로 백성들에게 세금까지 받는 곳이었죠(..) 여기를 첫빠따로 족쳐버리기 시작하는 와중에 병인양요를 기점으로 서원을 대대적으로 족치기 시작합니다.

처음 유생들은 어이없어하면서 상소를 통해 극렬반대했지만 대원군뿐만 아니라 고종조차 서원에 대해 끔찍해하던 터라 그 상소를 본 고종이 "개소리좀 그만하고 철폐해 개자식들아"를 시전해버리면서 그들을 완전히 바보로 만들어버립니다(..)
당장 국왕과 최대권력자가 나서서 서원을 족치기 시작하니 알려진것과는 달리 실제 유생들은 별 말을 하지 못하고 반박도 못하는 상황이 됩니다. 워낙 조목조목 서원의 문제점을 파고들었던데다가 민심이 서원을 철폐하는 대원군쪽이었기때문이었죠

그렇다고 유생들이 가만히 있던 건 아니고 교묘한 방법을 썻는데 흥선대원군의 조상인 인평대군을 모시는 서원을 만들어 대원군이 더 이상 서원철폐를 하지 못하게 막아보려고 했는데 대원군이 이를 씹고 그 서원부터 족쳐버리면서 이 작전은 실패로 돌아갑니다(..)

1863년 시작된 서원철폐령은 1865년 서원게의 양대끝판왕 만동묘와 화양서원(송시열을 모시던 곳)을 완전히 작살내는 것으로 시작으로 전국에 700개가 넘던 서원중에 47개를 제외하면 싹 다 없애버리는 데 성공합니다.



5.


대원군의 힘이 워낙 강력했기때문에 유생들은 별 반박을 못했지만 불만이 없을 순 없었죠
그들은 수시로 상소를 올리면서 서원철폐가 너무 과격하며 그 폐단이 지나치다고(?) 지적질을 하기 시작합니다.(-_-)
그리고 대원군이 실각하자 만세를 외치며 곧장 서원복구를 요구하기 시작합니다
이에 고종은 만동묘를 복구시켜줍니다.


그리고 그것으로 끝납니다.
(..)
만동묘만 복구 시켜준것이며 그 만동묘조차 지방유생들이 아닌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게 합니다. 아예 유생들이 관여할 여지를 없애버린겁니다.
유생들은 일제히 반발하기 시작하며 상소를 올렸으나 고종 왈 "야이 x신들아 너넨 서원 없으면 성현 못모시냐 찐따들아?" 라면서 그들을 비웃으면서 싹 무시하기 시작했고 결국 지친 유생들은 서원복구를 포기하게 됩니다.
애초에 이 모든게 대원군떄문이라고만 생각하면서 고종을 믿었지만 실은 고종 역시 서원을 겁나게 싫어했었기때문에 다 소용없는 짓거리였던거죠(..)그나마도 고종이 만동묘를 복구시켜주면서 적당히 명분을 쌓은 뒤 일갈을 했으니 더는 할 말이 없었던 것도 컸꼬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11-28 10:04)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피아니시모님의 최근 게시물


    Ben사랑
    세금 안 내고 신선놀음하는 녀석들이 많으면, 그 나라는 필히 망합니다.
    레지엔
    이런 류의 이야기에 다 적용되는건데, 앞뒤 바꿔도 말이 됩니다. 망할 나라는 세금 안내고 신선놀음하는 놈들이 많죠. 권력 누수와 시스템의 붕괴를 시사하니까요. 인과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지 좀 의문입니다.
    Ben사랑
    생각해보니 다른 요인에 의해 망해가던 나라도 결국 시민들이 저런 세금 떼어먹는 모습을 보이더군요.
    피아니시모
    사실 신선놀음이라기보단 계급장놀이 + 삥뜯기라고 해야..
    레지엔
    이거슨 아랫글 저격...

    예전에 배우기로는 + 혼자 책 찾아보기로는 서원과 산림을 엮어서 조선 왕조와 정부가 공직에 나서지 않은 유생들에 의해서 상당히 흔들린 것처럼 쓴 글들이 많았는데, 요새는 그거 다 구라라는 글이 많더군요. 역사... 너무나 어려운 것...
    피아니시모
    사실 처음엔 은거해서 후학을 가르치는 수준이엇는데 나중엔 그게 과거시험에 대한 준비도 겸하게 되었고
    이 서원들은 각 당파들이 정치적 지지세력의 기반중 하나가 됩니다(..);;
    Ben사랑
    공자왈 맹자왈 실컷 떠들어대봤자, 거기에서 진정으로 배우지를 못했으니 백성을 착취하죠.

    따라서 저는 인간 개개인의 인성교육보단 시스템의 확립과 상호견제가 더 중요하다 생각해요.
    레지엔
    그게 제가 옛날에 봤던 책에는 숙종 이전을 근거로 산림이 판서에게 압력을 넣고 왕실의 행사에 전방위 비판을 가하고 면세 혜택을 늘리고... 이런 식의 서술이 많았거든요. 왜 유력집안이 한양에 모여살았는지에 대한 이야기도 의도적/비의도적으로 누락되어 있는게 많았고, 붕당의 근거세력이었음을 서술하는데 막상 서원의 힘이 막강했음을 보여주는 서술은 죄다 세도정치 시대 얘기고...
    피아니시모
    세도시기에 가서는 되려 서원의 정치적인 영향력은 무력화됩니다.
    붕당이 아니라 가문에 의해 좌지우지 되기 시작하니..
    대신 세도가문들과 함께 더 타락해서 백성들의 고혈을 짜는 데 더 집중하죠(..)
    삼성갤육
    ...

    학벌(서원/붕당)이 무력화 되고
    금수저(가문)가 득세하는
    현대 사회와 정확히 일치하는군요?
    피아니시모
    정확히는 학벌+사당이 백성(국민)을 등쳐먹고
    금수저 역시 단지 금수저에서 멈추지 않고 국민을 등쳐먹는다
    까지가 되면 성립이 됩니다..
    현대에도 먹히는 이야기네요. 사학재단 설립해서 세금띵가먹는 재벌들 참 많죠. 건국시기엔 국가가 돈이 없으니까 각종 혜택줘서라도 학교늘려야했지만 요즘시대에도 사립대들에 지원금 퍼줘가며 배불려줄 필요는 없는데 말이죠...
    피아니시모
    그렇네요 ㅎㅎ
    삼성갤육
    정리 들어갔습니다.

    아직까지는 모자란 부분이 많고, 앞으로 갈 길이 멉니다만
    적어도 그 쪽으로 방향을 잡고 나아가고 있습니다.

    국민이 그 방향에 힘을 보태줘야죠.
    Beer Inside
    고려말 사찰의 폐혜와 크게 차이가 없겠죠?
    피아니시모
    크게 차이는 없는데
    그걸 나라안에서 신문물을 받아들이면서 해소하고자 했던 노력이 있었던 고려말과 달리
    조선말은 그게 너무 어려웠죠..ㅠㅠ
    좋은 저격글이군요 (...)
    진짜 쉽게 건드릴수도 없는 문제인데... -_-; 흥선군이 대단하긴 했어요
    그때가 근대만 아니었다면...
    Ben사랑
    나름 개혁적이었으나 시대가..
    피아니시모
    쉽게 건드릴 수 없는 거였지만 해냈죠
    실질적인 권력자
    왕의 친부
    조대비의 권위
    3가지를 모두 갖춘데다가 대원군 스스로가 서원의 병폐에 대해 조목조목 읊을 수 있을 정도의 키워였다는 점
    더불어 서원으로부터 피빨리던 백성들의 민심까지 잡고 있었다는 점이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수 있는 힘이 되었죠
    흥선군은 정말 왕조인물로써는 꽤 개혁적인 인물이었던거 같습니다. 당백전같은거 보면 경제적인 면에서 완전 바보라 그렇지(..);;
    Beer Inside
    당백전 같은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완전 바보라기 보다는 자본주의로서 거쳐야 할 관문 같은 것이였죠.

    이후 박정희가 화폐개혁을 하려고 한 것은 역사로 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것이지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3 창작말 잘 듣던 개 6 하트필드 20/04/04 5677 4
    1399 기타 6 하얀 24/06/13 2278 28
    1344 일상/생각비오는 숲의 이야기 38 하얀 23/12/14 3130 56
    983 여행나무를 만나러 가는 여행 3 하얀 20/07/14 4546 11
    729 기타첫 정모 후기 24 하얀 18/11/11 7395 29
    671 여행후지산 산행기 13 하얀 18/07/28 7117 28
    635 일상/생각오물 대처법 6 하얀 18/05/20 6363 30
    623 일상/생각선배님의 참교육 12 하얀 18/04/29 7821 24
    588 문화/예술사라진 세계, 우아한 유령(Vanished World, Graceful Ghost) 9 하얀 18/02/06 8337 16
    370 정치/사회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 필요한 것들(국제 개발,원조의 경우) 7 하얀 17/02/19 6257 19
    1382 기타우리는 아이를 욕망할 수 있을까 22 하마소 24/04/03 3137 19
    1330 일상/생각아내는 아직 아이의 이가 몇 개인 지 모른다 2 하마소 23/09/25 3029 21
    1282 기타느긋함과 조급함 사이의 어딘가 8 하마소 23/03/08 3150 17
    1249 정치/사회슬픔과 가치 하마소 22/11/02 3501 15
    1238 기타난임일기 26 하마소 22/09/19 4306 58
    1225 일상/생각 6 하마소 22/07/21 3949 20
    302 기타서원철폐 21 피아니시모 16/11/16 6096 4
    258 역사예송논쟁 대충 알아보기 27 피아니시모 16/09/02 6572 8
    1097 정치/사회외신기사 소개 - 포퓰리즘 정치인이 일본에서 등장하기 힘든 이유 6 플레드 21/06/13 4893 12
    483 일상/생각인생은 다이어트. 12 프렉 17/07/26 7265 24
    628 일상/생각입학사정관했던 썰.txt 17 풍운재기 18/05/08 7589 21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112 10
    1381 일상/생각육아의 어려움 8 풀잎 24/04/03 2255 12
    1281 일상/생각직장내 차별, 저출산에 대한 고민 26 풀잎 23/03/05 4306 17
    1197 기타입시 이야기 16 풀잎 22/05/05 4387 2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