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11/12 14:23:34
Name   모모스
Subject   화병과 우울증
화병 (Hwabyeong, Hwabyung)

화병 또는 울화병은 우리 나라에서 많이 나타나는 병입니다. 지금 전 국민이 이병을 앓고 있다고 봐야죠. 화를 참는 일이 반복되어 스트레스성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으로 미국 정신과 협회에는 1996년 화병을 한국 고유 문화 관련 증후군의 하나로 등록했고 이 병의 국제 표준어는 우리말에서 유래한 Hwabyeong 또는 Hwabyung이라고 합니다. 우리 나라 국민들 같이 착한 국민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일종의 우울증이죠.


우울증 (Depression)

우울증은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환입니다. 소심한 성격, 심리적인 위축감, 정신적인 충격,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울증은 슬픔이나 후회 등이 과도하게 나타나면서 발생하는데 어린 아이, 어른, 노인 등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 부자, 예술인, 권력자 등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발생하는데 지난 번에 말씀드린 미국 대통령 링컨을 비롯해 로마 2대 황제 티베리우스, 그 유명한 발레곡 "백조의 호수", "호도깍기인형" 을 작곡한 차이코프스키, "죄와 벌" 의 도스토예프스키, 프랑스 대사상가 루소, 헤밍웨이, 프로이트 까지 아주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에 시달렸습니다. 일반적으로 흥미상실, 체중감소, 수면장애, 죄책감 등이 동반됩니다. 우울증과 멀어 보이는 정상인들도 여러가지 원인으로 일정 기간 심한 우울에 빠지기도 하는데 요즘 같은 시기에는 누구나 화병,우울증에 빠지기 쉽습니다. 요즘 뉴스를 보면 아무리 낙천적인 사람이라도 없는 화병, 우울증이 생길 만큼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나는 세상입니다. 우울증상이 심해지면 피해의식, 환각, 환청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자살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환입니다.    


계절성 우울증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

특히  햇볕 부족으로도 일시적인 우울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계절성 우울증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 이라고 합니다. 우리보다 위도가 높은 유럽은 겨울철에 낮이 짧고 밤이 길어 겨울철 일조량이 부족하여 계절성 우울증에 쉽게 걸렸다고 합니다. 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장마철이 긴 초여름에 많이 나타났다고 하네요. 요즘은 장마철이 길지 않아서 별 의미는 없을 것 같아요. 햇볕 부족으로 체내 비타민D가 고갈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아직 비타민D와 세로토닌 (serotonin) 생성과의 관계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런 계절성 우울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세로토닌 (serotonin) 의 전구물질인 트립토판 (tryptophan) 함유 음식이나 콜레스테롤 비율이 높은 음식을 찾게 되는데 유럽인들은 주로 비오는 날이나 긴 겨울에 감자칩을 찾는데 우리 나라 사람들은 비오는 날 파전을 찾죠. 보통  활동량 감소, 탄수화물 과식, 과수면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우울증치료제 중 2세대 항우울제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이 많이 쓰이는데 그 유명한 푸로작 (fluoxetine) 이 대표적입니다.  


3세대 항우울제인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들도 많이 쓰이는데 이팩사 (Venlafaxine) 등이 대표적입니다.


항우울제 약물은 약 자체의 의존성은 별로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약에 대한 심리적인 의존성은 높은 편입니다.

우울증의 가장 큰 문제는 자살위험성이라고 소개해드렸죠. 정작 우울증이 가장 심할 때는 자살률이 높지 않습니다. 우울증이 심할 때는 일반적으로 몸 자체를 움직이지 못할 만큼 무기력합니다. 그래서 심한 우울증으로 자살을 하고자해도 실행에 옮길 수 없을 만큼 에너지 자체가 부족하여 실제 자살률이 높지 않습니다. 그래서 더 위험한 것이 우울증을 치료 후 어느 정도 호전된 사람들이나 치료 후 다시 우울증이 발병할 경우 자살 위험이 높아집니다. 즉 치료초기, 약물의 증감, 약물의 중단 등의 시기에 자살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이 때 우울증 환자들에게 더 주의를 해야하는 상당히 까다로운 질환이기도 합니다.

우울증 치료에 플라시보효과도 매우 높습니다. 우울증 치료에 상담을 하는 의사의 자상함, 친철, 믿음 등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즉 우울증 치료에 서로 이해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상대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 국민이 화병과 우울증에 시달리는 이쯤에

1. 너무 화를 참지 마시고
2. 밖에 나가 햇볕을 쬐시고
3. 파전 같은 느끼한 음식 드시고 (트립토판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주로 단백질과 견과류입니다.)
4. 서로 서로에게 이야기 나누면서 화병과 우울증을 날려버리세요.

이것 저것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이 화병과 우울증을 한방에 해결할려면 밖으로 나가야겠죠.

"1112 민중총궐기"로...서울시청광장으로 가면 되죠?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11-21 00:0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8
  • 우울우울!
  • 으앙 글 너무 좋아요


April_fool
소고기에도 트립토판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커피를 끊으면 우울함이 줄어들까요?
커피가 우울함 방지에 탁월하다고 들었습니다.
까페레인
우울증에는 밖으로 나간다는 의미에 많은 것들이 포함되어있는 것 같아요. 친구를 만나서 함께 이야기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스스로의 스트레스 해소도 되고 우울에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좋은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혹시나 시간이 되시면 망상에 대하여 어느정도까지 뇌신경과학이 발달해있는지 궁금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0 체육/스포츠국내 축구 이야기들 8 별비 16/09/02 7025 5
70 꿀팁/강좌뉴스를 제대로 읽어보자(스크롤 압박) 16 벨러 15/09/18 7445 12
808 일상/생각영업사원의 삶이란? 27 배워보자 19/05/26 8187 34
1207 정치/사회장애인 탈시설화 논쟁 12 방사능홍차 22/05/29 6138 27
869 일상/생각따뜻함에 대해서 22 19/09/29 246400 27
850 일상/생각여자는 헬스장 웨이트 존이 왜 불편할까에 대한 이야기 49 19/08/24 11355 52
8 일상/생각잘 지내요?.. (4) 8 박초롱 15/06/06 8488 0
7 일상/생각잘 지내요?.. (3) 11 박초롱 15/06/05 8252 0
6 일상/생각잘 지내요?.. (2) 9 박초롱 15/06/04 9577 0
5 일상/생각잘 지내요?.. 15 박초롱 15/06/04 10423 0
1377 꿀팁/강좌그거 조금 해주는거 어렵나? 10 바이엘 24/03/20 2873 13
1360 기타텃밭을 가꿉시다 20 바이엘 24/01/31 2448 10
1331 꿀팁/강좌귀농하려는 청년들에게 (시설하우스 기준) 18 바이엘 23/09/27 3192 8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946 51
287 기타당연한 육아는 없답니다 16 밀크티티 16/10/20 6953 22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767 19
323 기타딸바보와 바보딸 28 민달팽이 16/12/16 6960 26
795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21 미스터주 19/04/17 14268 37
1256 기타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의 세계관 최강자가 68 문학소녀 22/12/09 5448 74
1102 일상/생각귀여운 봉남씨가 없는 세상 36 문학소녀 21/07/09 5715 83
771 요리/음식영국 음식이 맛이 없는 과학적인 이유 119 문학소녀 19/02/22 12049 106
710 게임WOW(World Of Warcraft) 해야만 했던 이야기 76 문학소녀 18/10/02 9273 76
577 음악자장가의 공포 81 문학소녀 18/01/15 10462 65
583 체육/스포츠테니스를 araboza 22 무더니 18/01/25 8743 18
1235 과학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30 몸맘 22/09/05 6197 2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